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볼륨의 풍경 : SANAA의 공동주택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Landscape of Volume : A Study on the Design Strategy of SANAAs Collective Hous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지선

Advisor
백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볼륨 풍경공동주택 디자인 전략외부공간SANAA도시 주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3. 8. 백진.
Abstract
본 연구는 전후 주택난에 대응하여 효율을 중시하며 표준화된 주거공간을 양산해온 기존의 공동주택 계획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건축가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공동주택 계획은 공동의 영역보다 개인 공간을 강조하며 전용면적의 변형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거주자의 생활공간만을 따로 떼어놓고 개발하는 자족적 계획은 단위주호 내 생활과 공용공간에서의 생활을 구분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변환경과 무관하게 독자적인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아파트 단지로 특징되는 도시 경관을 만들었다. 이후 우리나라의 주거계획이나 도시 현상에 대한 비판과 해결책을 찾아보려는 노력이 지속되어왔지만, 이렇다 할 성공적인 사례가 등장하지 못하였다.

현대 일본 건축가 SANAA는 우리나라의 주거 상황과 유사하게 실내공간과 도시 주거 공간에 대한 고밀도 개발을 강조하는 공동주택 계획의 문제를 다룬 바 있다. 이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진행된 SANAA의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에 나타나며, 이 연구에서 SANAA는 공동주택 계획에 '외부공간'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SANAA가 공동주택의 문제 해결전략으로써 강조하는 외부공간은 우리나라의 서울특별시 건축물 심의기준에서도 제시하고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구체적으로 외부공간을 어떻게 공동주택 계획에 포함시켜야 하는지 제시되지 않았다. 반대로 SANAA의 연구는 30여년 전에 진행되었지만, 공동주택 계획에 외부공간을 적용하여 새로운 도시 주거 유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볼륨 풍경이라 명명하였다. 그러나 SANAA의 연구는 세지마의 「Recent Projects」논문을 제외하고는 학계에서 연구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세지마의 논문에서도 5가지 볼륨 풍경(Volume Landscape) 유형을 소개하는데 그치고 있고, 외부공간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시켰는지 설명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에서 제시한 볼륨 풍경 유형을 면밀히 분석하여 SANAA가 외부공간을 어떻게 공동주택 계획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러나 SANAA의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는 30여년 전에 진행된 건축가의 이상적인 실험으로 SANAA의 공동주택 디자인 전략이 실현되는 과정을 살펴본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이에 SANAA의 10가지 공동주택 사례를 분석하여 볼륨 풍경 유형에서 나타난 디자인 전략의 실현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3장에서는 SANAA의 외부공간을 포함한 공동주택 디자인 전략을 면밀히 이해하기 위하여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에 나타난 SANAA의 언술을 통해 도출한 분석 틀에 입각하여 5가지 볼륨 풍경 유형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 설정한 분석틀은 1) 옥외 생활공간과 연계한 주거동 배치계획, 2) 외부환경에 면하는 주거동 계획, 3) 외부공간을 포함한 단위주택의 평면계획, 이 세 가지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분석 틀에 의해 분석한 결과 층별 볼륨 풍경 유형에 따라서 SANAA는 실외 공간의 성격과 규모를 달리하는 주거동의 배치 계획으로 제안된 주거 생활을 구현하는 옥외생활공간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주거동의 배치계획으로 조화로운 도시 경관에 통합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외부환경에 면하는 주거동 계획으로 일조와 외부환경에 노출 등의 기회를 거주자에게 제공하였고, 주거동의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개별정원, 썬룸, 테라스방과 같은 외부공간을 포함한 단위주택의 평면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생활공간에 포함하여 주거의 다양성과 층별 유형의 고유성을 도입하였다.

4장에서는 SANAA의 10가지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통해서 볼륨 풍경 유형에서 나타난 디자인 전략의 실현되었는지 검토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층 공동주택 사례인 기후 아파트는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와 동일한 시기에 진행되어서인지 볼륨 풍경 유형에서의 디자인 전략이 거의 그대로 구현되었다. 그러나 저층과 중층 공동주택 사례는 디자인 전략이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부공간에 대한 건축가의 이상이 실제 사례들에서는 거주 생활의 불편을 야기하였던 것을 확인하였다. SANAA의 도시 주거 연구(Metropolitan Housing Studies)에서 외부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주거생활, 주거동의 다양성, 도시 경관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 반면, 외부공간을 개인공간과 얼마나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는가에 따라서 거주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공동주택 계획 내 '외부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주거 유형의 다양화, 주거생활, 도시 경관 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ANAA의 10가지 공동주택 사례 분석을 통해 개방성에 대한 건축가의 환상이 과도하게 실현되었을 때, 거주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가의 이상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오히려 거주생활의 질을 높이려면 공동으로 거주하는 공동주택에서 거주자들에게 공용공간인 '외부공간'을 적절하게 분배하고, '외부공간'으로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서 공용공간과 개인 공간 사이에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추가로 밝혀내었다. 외부공간을 공동주택 계획에 반영할 때 개방성, 내밀함, 공용공간과 개인공간 사이에 균형과 같은 세부적인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의 차이가 SANAA가 제시한 5가지 볼륨 풍경(Volume Landscape) 유형을 넘어 다양한 범위의 주거 유형을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도시 주거의 문제 해결책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외부공간에 대한 공동주택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 한 가지 사례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는 향후 도시 계획가나 주택 공급 관리를 담당하는 정책 입안자와 같은 관련자들이 공동주택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existing apartment plans that have mass-produced standardized residential spaces with an emphasis on efficiency in response to post-war housing shortages, and to examine the cases of architects who suggested ways to solve them. Existing apartment plans have repeatedly transformed the dedicated area by emphasizing personal space rather than the common area. Such a self-sufficient plan to develop only the living space of the residents separately caused a phenomenon that distinguished life in the unit housing and life in the public space. As a result, it created an urban landscape characterized by an "apartment complex" that can create its own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Korea. Since then, efforts have continued to be made to criticize and find solutions to Korea's housing plans and urban phenomena, but no successful cases have emerged.

Modern Japanese architect SANAA dealt with the problem of apartment planning that emphasizes high-density development of indoor and urban residential spaces, similar to the residential situation in Korea. This appears in SANAA's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conducted from 1994 to 1995, and in this study, SANAA proposed to include 'external space' in the apartment plan. The "external space" that SANAA emphasizes as a problem-solving strategy for apartment houses is one of the measures proposed in Kore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uilding Review Standards." However, in Korea, it has not been specifically suggested how to include 'external space' in the apartment plan. Conversely, SANAA's research was conducted more than 30 years ago, but since it presented five new types of urban housing by applying "external space" to apartment plans, this study examined how SANAA wanted to apply "external space" to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However, SANAA's research has not been treated as a study except for Sejima's "Recent Projects" paper, which has not received attention from academia so far. Sejima's "Recent Projects" paper also introduces only five types of "Volume Landscape," and explains how "external space" was applied in detail. Therefore, in Chapter 3 of this study, three analysis frameworks were set through the words of SANAA in the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to closely understand SANAA's apartment design strategies, including "external space."

The three analysis frameworks are as follows:
1) A Study on the Layout of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Outdoor Living Space
2) Planning of Residential Buildings facing the External Environment
3) Plan of Unit Housing including Outdoor Space

Based on these three analysis frameworks, the five "Volume Landscape" presented by SANAA in the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outdoor living space was created that embodies the proposed residential life by planning the placement of residential buildings that differ in the nature and size of outdoor spaces depending on the type of floor. 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integrated into a harmonious urban landscape with such a residential building layout plan. The second was the residential building plan facing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provided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such as sunlight and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external environment as a factor that could create diversity in the residential build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external spaces can be included in living spaces to introduce diversity of housing and uniqueness of floor-type types through plans that include "external spaces" such as individual gardens, sunrooms, and terrace rooms in the floor-type unit housing plan.

However, SANAA's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has not been studied so far to examine the process of realizing SANAA's design strategy, which exists in the literature, as an ideal experiment by an architect conducted more than 30 years ago. In addition, because the architect's ideal may not have been realized depending on realistic conditions, Chapter 4 reviewed whether the design strategy in the 'volume landscape' type was actually implemented and analyzed in a time se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limate apartments, an example of high-rise apartment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so the design strategy in the 'volume landscape' type was almost implemented. However, the case of low-rise and middle-rise apartment houses confirmed that the design strategy changed over tim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rchitect's abnormality in the 'external space' caused inconvenience in living life in actual cases. SANAA's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ternal space" and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residential life, diversity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urban landscape, while confirming that the quality of living can be reduced or improved according to how properly 'external space' is balanced with personal space.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case of SANAA's apartment houses, it was concluded that blindly accepting the ideal of an architect was not a solution. Instead,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detailed factors such as openness, confidentiality, and bala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s when reflecting 'external space' in apartment plans. And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can lead to a wide range of housing types beyond the five apartment types proposed by SANAA in the Metropolitan Housing Studie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including 'external space' in the apartment housing plan can create various housing types. However, through the analysis of 10 apartment housing cases, when the architect's abnormal balance on openness was not achieved, it caused inconvenience to resi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it was further revealed that the bala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s is important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external space" is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residents in communal apartments and opened to "external spa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