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세대간 공유주거에 대한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공간인식 차이 연구 : Differences of Spatial Awareness between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in Intergenerational Homeshare: A Case Study Based on the City of Seouls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olicy
서울시 한지붕 세대공감 정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태규

Advisor
박소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1인가구초고령사회세대교류공유주거홈셰어한지붕세대공감청년주거복지고령자복지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3. 8. 박소현.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roject, a form of shared housing between generations, conducted in the city of Seoul. While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aimed at finding policy and operational improvement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settlement of this intergenerational housing model as a successful new housing approach, it has not delved deeply into the essential perspectives of the participants.
The struggle for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concept to establish itself successfully is evident in its quantitative performance, which falls short of the goals set in Seoul's housing supply plan until 2018, as announced at the end of 2014. The city aimed to supply a total of 20,096 units of privately-rented housing by 2018, including 3,096 units for community-based initiatives such as intergenerational homeshare (room sharing), car sharing, and vacant house utilization. Specifically, out of the planned supply of 3,096 units for community-based rental housing, the target for intergenerational homeshare was set at 2,000 units. However, examining the outcomes of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initiative reveals a decreasing trend in contracts from 2017 onwards, with an average of 220 contracts per year between 2016 and 2019, indicating that the actual supply is around 11% of the target. Given this situation, it is challenging to consider the new housing approach as having successfully established itself.
Interviews with the personnel responsible for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olicy in Nowon-gu, Seoul, highlighted that the project's difficulties stem primarily from the lack of participation from the elderly population. Interviews with officials from Seoul's Housing Policy department further affirmed the difficulty in locating suitable elderly participants. This problem persisted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pilot program, where despite recommending trustworthy university students through interviews at the district level,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individuals remained low. For example, based on data from 2015 in Seongbuk-gu, while 20 elderly individuals offered homes, there were 30 matching university students and 74 individuals on the waiting list. Consequently, the scarcity of applications from elderly homeowners appears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quantitative growth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However, if a sufficient supply is achieved to meet the demand of waiting students, can we consider the concept to have successfully settled? When examining the case of Seongbuk-gu from 2015, among the six districts simultaneously involved in the project, it stood out with 24 cases, along with Nowon-gu at 28 cases. In contrast, other districts displayed less than 10 cases. If the supply were supported by the waiting students' demand, could we consider it a success? While the exact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waiting list is limited by the data preserved at the district level, considering the average annual contract number of 220 for intergenerational homeshare from 2016 to 2019 and assuming that the maximum demand of students waiting is twice that of Seongbuk-gu in 2015, around 660 matches could be possible. However, this number still falls significantly short when compared to the target of 2,000 units set by 2018.
Examining international cases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Le Pari Solidaire in France, which began its home-sharing program centered in Paris in 2004, saw participation of 6,500 units until 2017. This represents an average annual participation of 364 units over 14 years, which is lower than the estimated 660 matches if all applicants were matched in Seoul. However, considering the population sizes, with Paris having 2.16 million inhabitants compared to Seoul's 9.77 million, it's evident that intergenerational homeshare in Seoul has more room for quantitative growth. Thu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tergenerational homeshare in Seoul is struggling to achieve sufficient quantitative growth compared to the city's housing supply plan. The underlying issue appears to be the insufficient participation from both elderly homeowners and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viewpoints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roviding a more fundamental approach to comprehend this phenomenon, rather than just offering policy and operational improvements.
Chapter 2 explores the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shared housing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delving into the position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within this framework. The chapter also discusses the context and current status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focusing on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roject initiated by the city of Seoul. Additionally, a review of domestic community-based share housing and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recedents underscores the necessity and distinctiveness of this study.
In Chapter 3, the aim was to extract the preconceptions (considerations) that potential participants deem significant during their process of perceiving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To gather various preconceptions influencing the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percep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th prospective and actual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participants, exploring preconceptions held prior to engagement. Through this process, pivotal points at which preconceptions manifest during participants'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were illuminated. With the objective of collecting a wide array of possible preconceptions, potential participants within different life stage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ming five distinct groups: university students, graduate students, working professionals,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nd elderly individuals cohabitating in households of two or mo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45 young and elderly individuals, from whom preconceptions were gathered. Subsequently, the preconceptions categorized and organize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were highlighted, revealing the multifaceted impact of diverse preconceptions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Among the prospective participants, the young adult group yielded 31 preconceptions, while the elderly group yielded 34 preconceptions.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conceptions between potential young and elderly participant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otential participants, both young and elderly individuals shared similar preconcep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cohabitants, physical attributes of living environments, economic advantages, and policy-based positivity towards intergenerational homeshare. However, mor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young individuals entering the homes of the elderly and elderly individuals sharing their homes with young occupants. These divergent preconceptions were found to stem from generational difference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age on shaping these preconceptions. Moreover, it was discovered that personal past housing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d participants when discussing their preconceptions. In Chapter 4, these personal past housing experiences were incorporated to better understand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to establish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interviews. Thus, factors related to housing experiences—physical, personal, and social—were reorganized to derive an analysis matrix for the interviews in Chapter 4.
In Chapter 4, interviews with actual participants from different generation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using the matrix derived in Chapter 3. Through interviews with eight pairs of young and elderly actual participants engaged in shared housing, the considerations mentioned by potential participants were examined and deeply validated. Additionally, the actual participants' past housing experiences were investigated alongside their perceptions to provid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past housing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shared housing experiences. This process revealed the factors that actual participants from different generations weighted more or less significantly, and these finding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 of physical, personal, and social factors.
Furthermore, the perceptions of actual young and elderly participants were compared. While common perceptions were identified among actual participants, differences in the considerations of these perceptions were also obser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and elderly groups. For instance, young individuals placed greater emphasis on shared spaces, living environment quality, and indoor spaciousness, while elderly participants focused more on economic aspects such as rent and management fees. Additionally, positive policy orientation towards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was more prevalent among the elderly, whereas young individuals demonstrated lesser consideration for policy orientations. These resul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hysical, personal, and social factors.
In Chapter 5, the objective was to compare and discus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examining both shared perception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Using insights from Chapter 3 about potential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insights from Chapter 4 about actual participants' experiences, a comparison was made to identify shared and differing perceptions between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followed by an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f the underlying caus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ions were provided in the categories of physical, personal, and social factors regarding the direction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policies. Recommendations included pre-identifying elderly housing with suitable spatial structures for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promoting awareness and selecting potential participants to encourage participation, supporting remodeling of elderly housing structures to enable better shared housing experiences, emphasizing demographic considerations during promotional stages, expanding the target audience to parents, providing flexible lease contract periods, and addressing economic burdens and management fees through special clauses or local government support.
In Chapter 6, the study was summarized,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the challenges faced by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a concept that aims to simultaneously address housing welfare concerns for the youth and social welfare issues for the elderly within an aging society. Rather than seeking answers from operational systems or policy-related matters, the study sought to derive insights directly from the participants. To achieve thi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otential participants and actual participants of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Deeply prob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s representing each group, including young individuals receiving shared housing and elderly individuals providing shared housing. Through these interviews, the study illuminated preconceptions held by potential participants,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contributing to the challenges faced by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while interpreting these preconcep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young and elderly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se preconceptions were also prevalent within the actual experiences of intergenerational shared housing and validated these insights from both young and elderly participants' viewpoints. It was evident that variations emerged within the perceptions of actual participants, corresponding to the perspectives of young and elderly participants.
The profound exploration of the perceptions of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in intergenerational homeshare aimed to uncover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conceptions held by potential participants 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ctual participants.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provide a practical foundation for alleviating potential biases and preconceptions held by potential participants, thereby diverging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that focuses on policy and operational aspects. This research endeavor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potential and actual participants, thereby offering a distinctive perspective on the challenges posed by intergenerational homeshare and laying the groundwork for innovative sol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serve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rgenerational homeshare and its participants.
본 연구는 한지붕 세대공감 이라는 이름으로 서울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 세대 간 공유주거 방식인 세대간 공유주거(Intergenerational homeshare) 사업이 새로운 주거 방식으로서 성공적인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해 기존 연구들의 관심이 정책적, 운영적 개선안을 찾고 있는 것에 비해 보다 본질적인 참여자의 관점은 깊이 있게 살펴보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세대간 공유주거가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서울시에서 2014년 말에 발표한 2018년 까지의 임대주택 공급계획에서 설정한 목표에 못 미치는 양적 성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서울시에서는 2018년까지 서울형 민간임대주택을 총 2만 96호 공급하고자 하였고, 그 중 세대간 공유주거(룸셰어링), 나눔카, 빈집활용 포함하는 공동체형은 3,096호 공급이 목표였다. 특히 공동체형 민간임대주택의 공급물량으로 계획한 3,096호 중 세대간 공유주거는 2천 호 공급을 목표로 하였는데, 세대간 공유주거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이 공급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2016년 부터 2019년 까지의 기간 중 2017년을 기점으로 점점 감소하는 추세로 연 평균 220 건의 계약이 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세대간 공유주거 공급량이 목표치의 11% 정도로 하회하고 있는 현황을 볼 때, 이 새로운 주거방식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울시 노원구의 한지붕 세대공감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이유는 결국 고령자의 참여부진에서 기인한다고 말했다. 또한 주무부서인 서울시 주택정책과 관계자와의 인터뷰에서도, 지원하려는 어르신을 찾는 게 쉽지 않다는 데 동의했다. 이는 시범사업을 임대주택과에서 진행하던 초기부터 있었던 문제로, 자치구별로 면접을 통해 믿을 만한 대학생을 추천해주더라도 고령자의 참여가 저조하였다. 2015년 성북구를 기준으로, 고령자는 20명이 홈을 제공하고 있었고, 매칭 대학생은 총 30명, 대기자는 74명이 있었다. 따라서, 홈 제공자인 고령자의 신청이 더 적은 현상이 세대간 공유주거의 양적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계약을 대기중인 학생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급만 이루어지면 정착에 성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일까? 2015년에 사업을 동시에 진행했던 6개 자치구 중 성북구는 노원구와 더불어 각각 24건, 28건으로 다른 자치구들이 10건 이하의 사례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사례를 보유한 자치구였다. 이러한 성북구의 세대간 공유주거를 신청한 대학생 대기자 수를 보면, 계약이 성사된 수인 30건의 2배 정도 까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들 수요만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급이 뒷받침 된다면 정착에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신청 후 대기자들의 수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자치구에 보존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수의 추정은 불가하지만, 담당자 인터뷰 및 일부 기록 등의 제한된 정보로 다음과 같이 가정해볼 수 있었다. 세대간 공유주거의 2016년부터 2019년 까지의 연평균 계약 수인 220건이 나타나고 있고, 신청 후 대기 중인 대학생이 2015년의 성북구에서와 같이 최대 2배수까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충분한 고령자의 주거공급으로 모든 대학생 수요가 충족되었을 때 660건이 매칭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2018년 까지의 공급 목표로 삼았던 2,000호와 비교하면 성공적으로 정착했다고 보기에는 여전이 적은 숫자이다.
한편, 세대간 공유주거의 국외 사례 중 프랑스의 Le Pari Solodaire는 2004년부터 파리를 중심으로 홈셰어 프로그램을 시작한 NPO로 2017년 까지 총 6,500호가 참여하였다. 이는 14년간 연평균 364건의 참여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앞서 추정한 서울시의 모든 신청자가 매칭되었을 경우의 연평균 참여량인 660건보다 적은 수다. 그러나, 도시의 특성을 살펴보면, 파리의 인구수는 216만 명으로 서울시의 인구수인 977만 명과 비교하였을 때 인구 규모 면에서 서울이 약 4.5배 더 큰 도시이다. 따라서 서울시의 인구 규모에서는 세대간 공유주거가 아직 양적으로 더욱 성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추정치에 근거하여 세대간 공유주거 사업에서 고령자의 공급 부족이 현재의 가장 큰 문제이지만, 대학생의 수요 또한 여전히 충분하지 못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대간 공유주거가 서울시의 임대주택 공급계획과 달리 양적으로 충분히 증가하지 않고 있는 현상을 새로운 주거방식이 정착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정착 난항은 사업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세대간 공유주거 사업의 참여자인 고령자와 대학생의 신청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담당자 인터뷰 및 문헌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시선에서 그들이 세대간 공유주거를 어떻게 인지하고 바라보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정책적, 운영적 측면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보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더 본질적인 접근이라고 생각하였다.
2장에서는 거시적 관점으로 공유주거의 배경과 정의 그 안에서의 세대간 공유주거의 위치를 살폈다. 또한, 세대간 공유주거의 배경과 현황에 관해 설명하고, 서울시에서 도입한 세대간 공유주거 사업인 한지붕 세대공감의 방식과 목적, 현황을 밝혔다. 그 후, 주거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이슈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국내 공동체 주거와 세대간 공유주거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차별성을 이야기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국내 세대간 공유주거 정책과 운영에 대한 top-down 방식의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 관점에서는 그들의 주거행태를 밝혀내는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세대간 공유주거의 참여자를 중심으로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들이 세대간 공유주거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그들의 비 경험/경험에 기인한 인식 차이를 통해 세대간 공유주거가 가지고 있는 참여자 신청 저조라는 문제에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발견하려는 시도였다.
3장에서는 잠재적 참여자들이 세대간 공유주거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입견(고려사항)들을 도출하고자 했다. 참여대상자들의 세대간 공유주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선입견들을 수집하기 위해서 세대간 공유주거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들로부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참여 전 시점에서의 선입견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대상자들이 세대간 공유주거를 인식할 때, 어떤 지점들에서 선입견이 나타나는지 밝혔다. 가능한 다양한 선입견을 수집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연구대상인 잠재적 참여자들을 생애주기에 따라 5개 집단을 모집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대학생, 대학원생, 직장인, 독거 고령자, 2인가구 이상 동거 고령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인터뷰를 통해 총 45명의 청년과 고령자로부터 선입견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렇게 수집한 집단별 선입견들을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류 및 정리하였으며,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선입견들이 복합적으로 세대간 공유주거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조명하였다. 잠재적 참여자 중 청년 집단의 경우 31개의 선입견을 도출하였으며, 고령자 집단의 경우 34개의 선입견을 도출하였다.
또한, 잠재적 참여자 청년과 고령자 집단의 선입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잠재적 참여자라는 입장에서 청년과 고령자는 공유주거에 대해 동거인의 특성과 상호 관계, 주거환경의 물리적 특성, 경제적 측면의 이점, 정책적으로 긍정 등의 유사한 선입견들도 많았으나, 더 깊이 있는 인터뷰를 통해 고령자의 집에 들어가서 살게 되는 청년의 입장과 청년들에게 자신의 주거를 공유하게 되는 고령자의 견해 차이, 연령에 따른 세대 차이에서 기인하여 두 집단이 다른 선입견을 내어놓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잠재적 참여자들이 선입견을 이야기할 때, 그들의 개인적인 과거 주거경험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고, 4장 인터뷰에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실제 참여자의 인식을 이해하는 데 그들의 과거 주거경험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함께 조사하고자 했다. 따라서, 주거경험 요인인 물리적 요인,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고려사항들을 재정리하여 4장 인터뷰를 위한 분석 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3장에서 도출된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세대간 공유주거 실제 참여자를 인터뷰하였다. 청년과 고령자가 한 쌍을 이루는 8개 실제 사례의 인터뷰를 통해 잠재적 참여자들이 언급한 고려사항들에 대해 실제 세대간 공유주거 참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확인하고 심층 검증하였다. 심층 검증 과정에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자 실제 참여자의 과거 주거경험 함께 조사하였다. 따라서, 과거 주거경험으로부터 현재 세대간 공유주거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맥락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 세대간 공유주거 실제 참여자들이 비중 있게 고려하는 사항과 적게 고려하는 사항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별로 실제 참여자 청년과 고령자의 인식을 각각 도출하여 분석 매트릭스에 따라 종합하였다.
또한, 도출된 실제 참여자 청년과 고령자 집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제 참여자의 관점에서 공통된 인식도 있었지만, 그 안에서도 청년과 고령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인식에 대한 고려 비중의 차이도 나타났다. 결과 일부를 예로 들면, 공유공간과 주거환경의 질, 실내 여유공간 등에 대해서는 청년들만 높은 고려를 하고 있었으며, 세대간 차이에 대해서도 고령자보다 청년들이 고려하는 비중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한편, 청년보다 고령자들이 공유주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임대료와 관리비에 대한 경제적 영역을 더 많이 고려하고 있었으며, 대학생들은 경제활동이 한정적임에 따라 주거비를 부모로부터 지원받고 있었기 때문에 세대간 공유주거 참여시 그들이 가진 경제적 여력에 대한 고려 비중은 작게 나타났다. 또한, 고령자들로부터 세대간 공유주거의 정책적 취지에 대한 긍정이 높게 나타나 참여를 독려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청년들의 경우, 정책적 취지를 거의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물리적 요인,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범주에 따라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인식을 비교하여 두 집단의 인식 차이를 밝히고 그 원인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3장에서는 잠재적 참여자들이 고려하는 세대간 공유주거의 인식에 대해 밝혔으며, 4장에서는 실제 참여자들이 세대간 공유주거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잠재적 참여자들의 인식에 대해 심층 검증을 진행했다. 이렇게 도출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여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공통된 인식과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인식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세대간 공유주거에 대해 고려하고 있는 공통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청년 집단의 경우 13개의 공통된 인식이 도출되었다: 독립된 개인공간, 주택의 위치, 개인의 성향, 주거의 의미, 거주자 관계, 공유공간에 대한 고려, 주거환경의 질, 세대간 차이, 동거인의 인구학적 특성, 부모님의 의견, 저렴한 주거비, 실내 여유공간, 거주기간. 고령자 집단의 경우 9개의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공통된 인식이 도출되었다: 화장실 공유 여부, 고령자 주택의 규모, 개인의 성향, 거주자 관계, 청년 입장에서의 생각, 고령자의 경제력, 관리비 부담, 임대료에 대한 관점, 공유주거 참여이유. 한편,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청년 집단의 경우 6개의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가 다르게 생각하는 인식이 도출되었다: 식사 제공 문제, 정책 취지에 대한 긍정, 아파트 공간구조의 특성, 공유에 적합한 공간구조 고려(새로운 공간 요구), 경제적 계획, 경제적 여력. 고령자 집단의 경우 7개의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가 다르게 생각하는 인식이 도출되었다: 아파트 공간구조의 특성, 타인과 동거에 대한 부담, 식사 제공 문제, 자녀를 위한 여분의 공간 필요, 자녀의 의견, 본인을 위한 여유공간의 필요, 이웃 주민들과의 관계. 이렇게 나타난 공통된 인식과 상이한 인식에 대하여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그 원인을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세대간 공유주거 정책의 방향성에 대하여 물리적 요인,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의 범주에서 제언할 수 있었다. 물리적 요인 범주에서는 세대간 공유주거에 적합한 공간구조를 가진 고령자 주택을 미리 파악하고, 예비 참여자를 선정하여 참여를 독려하도록 제언하였다. 또한, 고령자 주택의 공간구조에 따라 리모델링을 하면 더 나은 공유주거 생활이 가능한 사례들이 존재하였던 조사 결과에 기인하여, 정부의 고령자 주택 리모델링 지원이 요구됨을 지적하였다. 개인적 요인 범주에서는 잠재적 참여자들이 동거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므로 세대간 공유주거의 홍보 단계에서 동거인의 성별을 동성으로 연계해준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또한, 홍보의 대상을 학생들뿐만 아니라 부모로 확대하여 청년들의 주거선택 주도권을 가진 부모 세대에게 정보전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짧은 거주기간이 장점으로 지목되었던 점에서 기인하여 거주 계약기간을 기존의 6개월 단위에서 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특약조항을 하나의 기본 선택지로 두어 학생들이 부담을 덜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사회적 요인 범주에서는 여름철, 겨울철 증가하는 관리비에 부담을 느끼는 고령자들을 위해 청년들이 이를 한시적으로 분담할 수 있도록 하는 특약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서울시 또는 자치구로부터의 경제적인 지원을 제언하였다. 또한, 고령자들이 자녀에게 의존하고 싶지 않아 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홍보 단계에서 고령자들이 세대간 공유주거의 임대료를 통해 자녀에게 경제적 의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을 지적했다. 식사 제공에 대해서도 청년과 고령자 상호 부담을 배제할 수 있도록 과거의 하숙과 다른 점을 홍보 단계에서부터 강조하여 명시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며, 세대간 공유주거에서의 실제 경험들을 통해 발생하는 요구와 문제들을 자체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견고히 할 것을 제언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사회에서 청년의 주거복지 문제와 고령자의 사회복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세대간 공유주거가 정착에 난항을 겪고 있는 현상을 살펴보고,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는 원인을 운영체계나 정책적 문제에서 찾고자 한 것이 아닌 참여자로부터 찾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세대간 공유주거 참여자를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주거를 공유받는 입장의 청년과 주거를 공유하는 입장의 고령자로 이루어진 각 집단의 대상자들을 각각 심층 인터뷰를 통해 깊이 있는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세대간 공유주거가 정착에 난항을 겪고 있는 원인으로 지적되는 잠재적 참여자의 선입견들을 청년과 고령자의 입장에서 각각 밝히고 잠재적 참여자 내에서도 청년과 고령자의 입장에 따라 선입견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또한, 이 선입견들이 세대간 공유주거의 실제 경험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지, 실제 참여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청년과 고령자의 입장을 구분하여 심층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실제 참여자 내에서도 청년과 고령자의 입장에 따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남을 밝혔다.
이러한 세대간 공유주거의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의 세대간 공유주거에 대한 인식의 심층적 고찰은 잠재적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들과 실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여, 경험해보지 못하였기에 잠재적 참여자가 가질 수 있는 실제와 다른 선입견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 마련의 실질적인 토대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였다. 이는 기존의 정책과 운영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참여자를 중심으로 잠재적 참여자와 실제 참여자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새로운 시각에서의 세대간 공유주거의 문제점을 찾고자 한 것이며 이러한 점에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세대간 공유주거의 정착과 참여자들을 위한 지원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6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