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Job Quality in Gig Economy: Platforms Power Versus Gig Workers Resisting Strategies : 긱 이코노미의 일자리 질: 플랫폼의 힘 대 긱 근로자의 저항 전략 긱 워커의 들리지 않는 목소리(알제리 승차호출 플랫폼 사례)
- The Unheard Voice of Gig Workers (Case of Algerian Ride-Hailing Platfor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와히바

Advisor
Jörn Altmann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Gig EconomyRide-hailingJob QualityPlatform PowerWorker ResistanceVoiceWorkaround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23. 8. Jörn Altmann .
Abstract
The gig economy may be seen as the most recent stage in the evolution of unconventional types of work. In 2019, it produced around $204 billion in gross volume worldwide, with 58% generated from transportation-based services. It also represents a new junction in capitalist production, whose effects must be treated seriously by regulators, researchers, workers, and other key parties. There is increasing apprehension worldwide about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jobs, consequently impacting work conditions.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work is mainly linked to the labor market being reshaped worldwide. The gig economy is considered an essential factor that causes this reshape due to its significant and fast expansion while providing fewer rights than the ones enjoyed by traditional workers.
This research is motivated by the growing concerns related to the decline in job standards and aggravation of social inequalities accelerated by gig work, which may lead to failur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unequal power distribution between platforms and gig workers. Moreover, when work conditions are unfair, yet workers withdraw their voices, we should ask why.
Additionally, this research is also motivated by policymakers' challenges when designing adequate policies to guarantee equitable jobs in the gig economy. One major issue is that gig work is quite different from traditional employment, and the mechanisms of gig work quality are not fully known, and research examining the quality of work quality and workers' voices in the gig economy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gap mainly results from adopting a simplistic approach to modeling quality of jobs, which lacks a concurrent and comprehensive view integrating platforms' power and gig workers' resistance while designing the mechanisms that rule the quality of work. This research comprises two stud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n empirical study.
In the first study, we explore and analyze comprehensibly how academic research addressed the quality of gig work by perform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fair work lens was adopted through its eight fair work principles (contract, communication, management, governance, use of data, pay, representation, and work conditions) to guide data extraction. A narrative synthesis is utilized for analysis, where different concepts were set out and inductively put into relation, and a conceptualization of them was provided. The adopted method is operationalized using a panoply of guidelines and tools to conduct this research.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he quality appraisal process, 45 studies were retained. Most examined primary studies show that the gig economy barely complies with fair work according to the tool we utilize, which accentuates our concerns.
Additionally, the inducted cause-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eight fair work principles are constant across studies with diversified contexts, displaying various settings and empirical methods. The primary studies gave consistent results, proving that the proposed relationships are robust and transferable. Therefore, we were able to build a conceptual model that depicts the interrelations among the job quality determinants, where the work conditions fairness is a potential proxy for gig work quality, as it is the ultimate output of the proposed causal model. Contract fairness is found to be a cornerstone root cause that shapes the rest of job quality determinants.
The identified cause-effect relationships revealed exciting results that confirm, on the one hand, the dominating role of platforms in shaping the quality of gig work through having control over the contract design, algorithmic management, communication, governance, use of data, pay, right to representation, and therefore, gig workers' work conditions as a result. On the other hand, we found evidence in the literature that workers' resistance, mainly their collective voice, contributes to shaping management, communication, pay, and work conditions. However, the gig economy is currently beyond the scope of traditional collective bargaining and unionization.
Additionally, some gig workers perform workarounds to attenuate the exerted platforms' controlling power through algorithmic management to enhance their pay and working condi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firmed that gig workers' resistance shapes the quality of their work. Nevertheless, the literature lacks a deep understanding of what shapes gig workers' voices and resistance in general. Most examined publications have provided descriptive studies, interpreting occurrences of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group action while disregarding the far more frequent lack of collective protest in comparable circumstances. Moreover, the literature lacks comprehensive and holistic analyses that focus on the interrelations of platforms' power and gig workers' resistance and do not simultaneously capture this interplay. Ou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timulates and endorses our empirical study to uncover the interplay between platforms' power and gig workers' resisting strategies, focusing on voice mechanisms.
The second research uses a deductive approach and a quantitative empirical method. It addresses the lack of voice theorization due to the scarcity of comprehensive studies on the interplay between platforms' power and gig workers' resistance. Examining the quality phenomenon through concurrently using both lenses, power, and resistance, may further strengthen the the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voice and the quality of gig work.
Previous research has had a tendency to clarify episodes of successfully realized collective mobilization while neglecting the far more frequent shortage of collective protest in comparable situations. It is problematic because it focuses exclusively on instances where workers raised their collective voice. Nevertheless, the gig economy voice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and the voice theory is underdeveloped. Researchers still did not develop and tested robust conceptual models that explain the mechanisms shaping the gig worker's voice. While adopting a robust theoretical approach, our study proposes an integrative research model confronting platforms' power to gig workers' resistance. Additionally, we utilize the concept of anger to manifest the drivers' feelings towards the unfairness of the job quality determinants resulting from the exerted power by platforms on them.
Through this study, we aim (1) to examine the role of platforms' power in shaping gig workers' anger; (2)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platforms' power, as well as gig workers' anger, play in stimulating covert and/or overt gig workers resistance strategies; (3) to reveal the role of platforms' power in hindering angry gig workers from raising their voice.
We utilize the original model of Hirschman (1970) exit, voice, and loyalty as an overarching model for this research. However, we propose a different conceptualization by using gig workers' anger as a predictor instead of dissatisfaction and by adding a new outcome; the workarounds. Based on our SLR, we predict the gig workers' workaround as one of the expected behavioral outcomes. Additionally, we consider communication among gig worker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xy of gig workers' anger and gig workers' voice and workarounds. As a moderator, we tested the platforms' ideological power.
We use the lens of power theory to explain the control exerted by the platforms on the gig workers, shaping their anger. Additionally, we adapt the anger concept based on prior literature presenting the gig workers' anger as being linked to unfair pay, management, and work conditions. We extend its components to include unfair contracts, as the multifaceted nature of platforms' control generates diversified sources of anger. Also, we integrat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s it is considered a significant source of anger based on prior literature.
Afterward, we attempt to see workers' anger components through a power lens, where we consider the unfairness of contract and pay as the platforms' decision-making power, and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unfairness mirrors the platforms' non-decision-making power exerted on the gig workers, as asserted by prior literature. The workers' perception of the exerted platforms' power, through the perceived unfairness resulting from it, reveals the degree of gig workers' anger. At this stage, we develop anger interplay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developed in the SLR, which provides an insightful conception of the interplay among the job quality determinants based on their fairness.
Knowing that power and resistance are intricately intertwined in a complicated and usually paradoxical way. We proceed with integrating the power lens with the resistance lens to reach our target, which is developing a model where we can concurrently test the action and reaction, and how platforms' control triggers and even shape the resistance of gig workers.
We us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39 Algerian ride-hailing drivers and apply PLS-SEM to evaluat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test the hypotheses and beyond.
The results deliver the following significant findings: (1) platforms' decision and non-decision-making powers, as well as manipulation power, raise drivers' anger's proxy (work conditions fairness), whereas the platforms' ideological power decreases it, through its indirect negative impact (mediated by the driv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driver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their work conditions; (2) the total effect of platforms' decision and non-decision-making powers, as well as manipulation power is insignificant to drivers' participation in collective actions. Paradoxically, platform ideological power significantly negatively impacts drivers' participation in collective actions.
Additionally, on the one hand, the total effect of platforms' decisions and non-decision-making powers and manipulation power raise communication, workarounds, and the intention to exit, while decreasing the direct appeal 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platforms' ideological power hinders the drivers'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voice, raises their loyalty, as well as their direct appeal to the platform, and decreases their workarounds as well as their intention to exit platforms; (3) Anger through its proxy (work conditions fairnes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 with drivers' participation to collective ac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participation in collective action is mediated by communication. Based on this finding, we confirmed the crucial role of both the ideological and manipulation powers of platforms in redirecting the drivers' anger from being against platforms to becoming against themselves and each other, therefore, destroying drivers' rationale behind raising their voices. Additionally, we could see the critical role of communication in redirecting the drivers' anger back again towards platforms, therefore stimulating collective action. However, the results statistically demonstrated that the role of communication tends to be less significant than the role of platforms' ideological power.
In a nutshell, platforms exert power by imposing unfair contracts generating unfair pay, unfair algorithmic management, potential violations of drivers' psychological contracts, and unfair work conditions. This unfairness stimulates drivers' anger; however, this anger is not necessarily directed towards platforms (mostly,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nger's components and voice). This fact impacts the drivers' resisting strategies and hinders their voice, rendering their suffering silent. We believe this empirical study helps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hear the unheard voice of a particular category of gig workers before it becomes late.
Upon the findings of the SLR and the empirical study, several implications are derived and presented in this research to inspire academicians and policymakers when designing their initiatives to clarify further and rebalanc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ifferent stakeholders of the ride-hailing ecosystem.
This work adds to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 by combining power theory and resistance theoretical concepts. We use Hirschman (1970) exit, voice, and loyalty as the overarching framework of the phenomena, where we extend the model by adding workarounds as one of the main adopted resistance strategies by the gig workers. Additionally, we contribute to the theory by adding antecedents that lead to the workaround phenomena, which have not been examined by prior research. Furthermore, we extend the dynamic model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by demonstrating that platform manipulation power, "platforms' decision, and non-decision-making powers" through unfair contracts and algorithmic management raise its dynamicit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more frequent PC violations. In contrast, ideological power decreases PC violation frequency.
긱 이코노미는 비관례적인 형태의 노동 진화에서 가장 뒤늦은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2019년에 긱 이노코미는 전세계를 통틀어 2040억 달러의 총액을 생산하였으며 이 중 58%는 교통 기반 서비스에서 생성되었다. 긱 이코노미는 또한 규제당국, 연구자, 노동자, 그리고 다른 핵심 이해관계자에 의해 효과가 심각하게 다뤄져야 할 자본주의 생산에서의 새로운 접점을 대표한다. 결과적으로 작업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직무의 질 악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인 결과에 대해서 전세계적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직무의 질 악화는 주로 노동 시장이 전셰계적으로 변형되는 것과 주로 관련이 있다. 긱 이코노미는 전통적인 노동자들이 향유하고 있던 것보다 적은 권리를 제공하는 한편, 상당하고 빠른 확장으로 인해, 이러한 변형을 일으키는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이 연구는 직무 기준(job standard)의 하락, 그리고 긱 노동에 의해 가속화된 사회적 불평등의 악화와 관련하여 높아지는 우려(이러한 우려는 플랫폼과 긱 노동자 사이에 있는 불평등한 권력 분배로 인해 노동 시장의 실패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에 의해서 동기를 부여 받았다. 더군다나, 노동 환경이 불평등하지만 노동자들이 그들의 항의를 하지 않을 때, 우리는 그러한 이유를 물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이 연구는 또한 긱 이코노미에서 평등한 일자리를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정책들을 설계할 때에 정책입안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들에 의해 동기부여 받기도 했다. 한 가지 중대한 문제는 바로 긱 노동은 전통적인 고용형태와는 꽤나 다르다는 것이고, 긱 노동 질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직무의 질과 긱 이코노미에서의 노동자의 항의를 조사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이 차이는 주로 직무의 질을 모델링하는 간단한 접근법(이러한 접근법은 긱 이코노미에서 직무 질을 결정짓는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한편, 플랫폼의 권력뿐만 아니라 긱 노동자의 저항을 통합하는 동시적이고 포괄적인 시각이 부족하다)의 도입으로부터 나타난다. 이 연구는 체계적인 학문 검토, 경험적인 연구, 두 가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연구에서 우리는 체계적인 학문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학문적인 연구가 어떻게 긱 이코노미에서의 직무의 질을 밝혔는지 포괄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한다.
공평한 노동 렌즈의 여덟 가지 원칙(계약, 소통, 관리, 통치, 데이터 사용, 지불, 대표, 그리고 노동 환경)을 통해서, 데이터 추출을 이끌기 위해 공평한 노동 렌즈가 도입되었다. 서사적인 통합(narrative synthesis)은 서로 다른 개념들이 착수되고 귀납적으로 연관되며 이러한 개념들의 개념화가 제공된 분석을 위해 활용되었다. 도입된 방식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도구의 갑옷을 활용함으로써 운영화되었다. 귀납과 배제 기준, 그리고 질 감정 절차에 기반하여, 45개의 연구들이 보유되었다. 대다수의 검사된 주요 연구들은 우리가 활용하는 도구에 의하면 긱 이코노미가 공평한 작업을 거의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우리의 우려를 강조하는 셈이다. 추가적으로, 여덟 가지의 노동 원칙 중에서 유도된 인과 관계는 다양화된 문맥 상황에서의 연구 간에도 변하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범위의 설정과 경험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주요 연구들은 제안된 관계들이 굳건하며 이전이 가능하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일관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따라서, 우리는 직무 질 행렬식 사이에 상호연관성을 묘사하는 개념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이 직무의 질 행렬식에서는 노동 환경 공정성이 제안된 원인 모델에서 궁극적인 산출물이고, 계약 공정성은 나머지 직무 질 행렬식의 형태를 만드는 근본 원인 토대로 밝혀졌기 때문에 노동 환경 공정성이 긱 노동의 질을 위한 잠재적인 대리인이다.
식별된 인과관계는 한편으로는 계약 설계, 알고리즘적인 관리, 소통, 통치, 데이터 사용, 대표의 권한, 그리고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긱 노동자의 노동 환경에 대한 통제를 통해 긱 이코노미 내에서 직무 질을 형성해내는 플랫폼의 지배적인 역할 흥미로운 결과를 밝혀냈다.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는 긱 이코노미가 현재 전통적인 집단적인 교섭과 조합의 범위를 벗어나긴 했지만 주로 노동자들의 집단적인 항의인 노동자의 저항력이 관리와 소통, 그리고 지불과 작업 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학문에서 증거를 찾았다.
추가적으로 몇몇 긱 노동자들은 알고리즘 관리를 통해 플랫폼의 행사된 통제력을 약하게 하기 위한 해결책들을 수행하는데, 이는 그들의 지불을 향상시키고, 그러함으로써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우리는 긱 노동자들의 저항은 그들의 직무 질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학문은 무엇이 긱 노동자의 항의와 일반적인 저항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 사실, 대다수의 검증된 간행물들은 비교 가능한 상황에서의 포괄적인 항의의 훨씬 빈번한 부재를 무시하는 한편, 대부분 단체 행동의 성공적인 실현의 발생을 해석하는 기술적인 연구를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이 학문은 플랫폼의 권력과 긱 노동자의 저항에 대한 상호 연관성에 집중하는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분석이 부족하고 이 상호작용을 동시다발적으로 포착하지 못한다. 우리의 체계적인 학문 검토는 항의 메커니즘에 집중하면서 플랫폼의 권력과 긱 노동자의 저항 전략 간의 상호작용을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리의 경험적인 연구를 자극하고 지지한다.
두번째 연구는 연역적인 접근법을 채택하고 경험적이고 양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플랫폼의 권력과 긱 노동자의 저항 간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의 부족함으로 인해 항의가설화의 부재를 밝혀낸다. 권력과 저항이라는 양쪽 렌즈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직무 질 현상을 검사하는 것은 항의의 이론화와 개념화를 더욱 강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긱 이코노미에서의 직무 질에 대한 이론화와 개념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연구들은 노동자들의 집단적인 행동이 발생한 곳에 집중하였는데, 이는 집단적인 행동의 성공적인 현실화의 예시에 집중함으로써 문제가 있다. 이전 연구는 비슷한 상황에서의 집단적인 시위의 훨씬 더 흔한 부재를 무시하는 한편, 고려되고 있는 현상의 성공적인 실현화의 사례를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긱 이코노미 항의 연구는 아직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항의 이론은 아직 발전이 덜 되었다. 사실, 연구자들은 여전히 긱 노동자의 항의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강직한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고 시험하지 않았다. 강직한 이론적인 접근법을 채택하는 한편, 우리 연구는 플랫폼의 권력과 긱 노동자들의 저항을 마주보게 함으로써 통합적인 연구 모델을 제안한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플랫폼에 의해 드라이버들에게 행사되는 권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직무 질 행렬식의 불공정성으로부터, 이를 향한 드라이버의 감정을 명백히 하기 위해 분노라는 개념을 활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1) 긱 노동자들의 분노를 형상하는 플랫폼의 권력의 역할을 검증하고 (2) 긱 노동자들의 불명확하고/불명확하거나 명확한 저항 전략을 자극하는 데 플랫폼의 권력과 긱 노동자들의 분노가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3) 분노한 긱 노동자들이 항의를 하는 데 방해하는 플랫폼의 권력 역할을 밝혀내고자 한다.
우리는 허쉬만 (1970) 이탈, 항의, 그리고 충성의 본래 모델을 이 연구를 위해 가장 중요한 모델로서 활용한다. 하지만 긱 노동자들의 분노를 불만족으로서보다는 예언자로서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해결방법인 새로운 산출물을 추가함으로써 우리는 다른 개념화를 제안한다. 우리는 긱 노동자의 해결방법이 우리 SLR에 기반한 예견된 행동적 결과일 것을 예상한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긱 노동자 간 의사소통을 긱 노동자들의 분노 프록시와 긱 노동자들의 항의, 그리고 해결방법들 간 관계의 중재자로 여기고 있다. 우리는 중재자로서, 플랫폼의 이념적인 권력을 시험해봤다.
우리는 긱 노동자들에게 플랫폼에 의해 가해진 통제를 설명하기 위해 권력 이론의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긱 노동자들의 분노를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긱 노동자들의 분노가 불공정한 지불, 불공정한 관리, 그리고 불공정한 작업 환경과 연관된 것으로 소개하는 이전 학문에 기반한 분노 개념을 채택한다. 다면적인 종류의 플랫폼 통제가 분노의 여러 원천들을 생성하면서 우리는 불공정한 계약들을 포함시키고자 불공정한 요소를 확장한다. 또한, 심리적인 계약 위반이 이전 학문에 기반한 상당한 분노의 원천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우리는 심리적인 계약 위반을 통합한다.
이후에는 이전 학문에 의해 주장된 바와 같이, 관리와 의사소통 불공정성이 긱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플랫폼의 비의사결정적인 권력을 미러링하는 한편, 우리는 노동자들의 분노 요소를 계약과 지불의 불공정성을 플랫폼의 의사결정 권력으로 고려하는 권력 렌즈를 통해 보고자 한다. 사실, 인식된 불공정성을 통한, 인식된 불공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플랫폼의 가해진 권력에 대한 노동자들의 인식은 긱 노동자들의 분노를 밝혀낸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SLR에서 개발된 개념화 모델에 기반한 분노 상호작용을 개발한다. 이 분노 상호작용은 공정성에 기반하여 직무 질 행렬식 간 상호작용의 통찰력 있는 개념을 제공한다.
권력과 저항이 복잡하고 그리고 주로 역설적인 방법으로 얽혀 있다는 것을 알면서. 우리는 우리의 목표, 즉 행동과 반응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 그리고 플랫폼의 통제가 어떻게 긱 노동자의 저항을 촉발하고 심지어는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알기 위해 권력 렌즈를 저항 렌즈와 통합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339명의 알제리 출신의 라이드 헤일링 드라이버들로부터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는 제안된 연구 모델을 평가하고 가설들과 그 너머를 시험하기 위해 최소자승추정법 (PLS-SEM)를 적용한다.
결과들은 다음의 주요 발견을 전달한다. (1)플랫폼의 의사결정, 그리고 비의사결정 권력, 그리고 통제는 드라이버의 분노 프록시(작업 환경 공정성)를 높이는 반면, 플랫폼의 이념적인 권력은 드라이버들의 작업 환경의 공정성에 대한 드라이버의 인식에 대한 간접적인 부정적 영향(드라이버의 심리적인 계약 위반에 의해 조정됨)을 통해 이를 감소시킨다. (2) 플랫폼의 의사결정과 비의사결정적인 권력, 그리고 통제 권력의 총 효과는 집단적인 행동에서의 드라이버들의 참여에 크게 영향을 미지치 않았다. 역설적으로, 플랫폼 이념 권력은 집단적인 행동에서의 드라이버들의 참여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다.
추가적으로, 한 편에서는, 플랫폼의 의사결정과 비의사결정적인 권력, 그리고 통제 권력의 총 효과는 소통, 해결방법, 그리고 이탈할 의향을 높인다. 반면에, 이는 직접적인 호소와 충성심을 감소시킨다. 다른 한편에서는 플랫폼의 이념적인 권력은 드라이버의 소통과 집단적인 항의를 방해하고 드라이버의 충성심과 플랫폼으로의 직접적인 호소를 높이고 드라이버들의 해결방법과 플랫폼을 이탈할 의향을 낮춘다. (3) 프록시를 통한 분노 (작업 환경 공정성)는 집단적인 행위에 드라이버의 참여와 상당한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하지만, 분노와 집단 행위로의 참여 간의 관계는 소통에 의해 중재된다. 이 발견을 통해서, 우리는 이 둘의 중대한 역할 즉, 드라이버의 분노를 플랫폼에 반하는 것에서부터 드라이버들끼리 반하는 것으로 리다이렉트함으로써 항의를 하는 것과 관련된 드라이버의 원리를 파괴하는 플랫폼의 이념적이고 통제 권력을 찾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드라이버의 분노를 플랫폼으로 다시 향하도록 리다이렉트하는, 그럼으로써 집단 행동을 자극하는 소통의 중요한 역할을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소통의 역할은 플랫폼의 이념적인 권력 역할보다 덜 중요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플랫폼은 불공정한 지불, 불공정한 알고리즘 관리, 드라이버의 심리적인 계약의 잠재적인 위반, 그리고 불공정한 작업 환경을 생성하는 불공정한 계약을 부과함으로써 권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이 불공정성은 드라이버들의 분노를 자극한다. 하지만 이 분노는 꼭 플랫폼(대부분의 경우에서는, 분노의 요소와 항의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을 향한 것이 아니다. 이 사실은 드라이버의 저항 전략에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항의를 방해함으로써 드라이버들의 고통을 조용하게 한다. 우리는 이 경험적인 연구가 학술자들, 그리고 실무자들이 늦기 전에 특정 분야의 긱 노동자들의 듣지 못한 항의를 들을 수 있게 도와줄 것이라고 믿는다.
SLR과 경험적인 연구의 발견을 통해서, 학술자들, 그리고 라이드 헤일링 생태계에 속해 있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를 재조정하고 더 명백히 하기 위해 정책입안자들이 계획을 설계할 때에 정책입안자들을 고무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여러 함의가 도출되고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권력 이론을 저항 이론적인 개념과 통합함으로써 학문에 기여한다. 우리는 허쉬만(1970) 이탈, 항의, 충성심을 긱 노동자들에 의해 주로 채택된 저항 전략으로, 해결방법을 추가함으로써 모델을 확장하는 현상의 가장 중요한 뼈대로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이전 연구에 의해 검사되지 않았던, 해결방법 현상으로 이끄는 전례를 추가함으로써 이론에 기여한다. 더 나아가, 우리는 플랫폼 통제 권력, 플랫폼 의사결정, 그리고 비의사결정적인 권력을 입증함으로써, 불공정한 계약, 그리고 불공정한 알고리즘적인 관리를 통해서, 이념적인 권력이 PC 위반 빈도를 낮추는 한편 더 빈번한 PC 위반의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역동성을 높이고 심리적인 계약 이론의 역동적인 모델을 확장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5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7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