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 Empirical Study on China s use of Force since 1949 : Patterns and Variations : 1949년 이후 중국의 무력 사용에 관한 실증 연구 : 패턴과 변수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겨레

Advisor
조영남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hina's use of forceBalance of powerShare of US national power in East AsiaEncirclement of Alliancethe deterrence effect of US interventionSalience of territorial disput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3. 8. 조영남.
Abstract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오늘이 동아시아의 내일이 될 수 있다123는 문제의식 하에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 등 무력사용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무력사용은 2001년 9·11 테러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중국의 상대적 부상이라는 추이 속에서 미국과 중국 間 세력전이의
맥락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중국의 무력사용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중국의 위기관리 패턴, 중국의 전략문화, 무력사용 관련 국제규범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같은 사례연구와 규범연구 위주로 이루어졌지만, 체계적인 양적연구는 수적으로도 부족하고 연구의 범위가 냉전 시기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연구는 베일에 쌓여 있는 중국의 행위패턴을 사실에 입각하여 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중 間 세력전이를 둘러싼 구조적 차원의 논의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美 미시간 대학교 The Correlates of War Project에서 새롭게 발표한 세계의 군사적 갈등 데이터(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Data)를 바탕으로 중국의 무력사용에 관한 양적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1949년 이후 중국은 어떠한 조건에서 무력을 사용하였는가?이다. 이에 대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 본 논문은 중국의 무력사용에 관한 구조적 관점과 행위자 관점을 근거로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上記 MID 데이터에서 1949년부터 2012년까지 발생한 197건 중국의 군사 갈등 사례를 추출하였다. 구체적인 검증 방법으로 군사갈등 사례에서 중국의 무력사용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가설에서 제시한 독립변수와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회귀분석에 앞서 197건의 사례에 대한 기술적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분석을 통해 중국의 시기별, 대상별 무력사용의추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통계 분석에서 도출한 추이와 변수를 바탕으로 시기별 사례를 분석하고, 중국의 무력사용 패턴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鄧小平 시기를 제외하고 동아시아에 서 차지하는 미국의 국력에 균형을 맞추었다. 특히 毛澤東 시기 중국은 동맹으로부터 포위되었다는 인식에 따라 세력 또는 위협 균형 차원에서 미국의 동맹과 準동맹에게 무력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미국의 군사개입에 따른 억지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군사적 개입이 오히려 중국이 포위되었다는 인식을 강화 시킬 경우 세력 또는 위협 균형 차원에서 무력을 사용하는 억지의 역설(Paradox of deterence)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편, 1969년 중국과 소련의 국경분쟁과 미중 間 데탕트 이후 중소 間 공산진영 內 갈등과 경쟁이 격화되자 鄧小平 시기에는 소련, 소련의 동맹과 준동맹에 대한 무력사용이 주를 이루었다.

탈냉전 시기 중국의 무력사용 비중은 냉전 시기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많은 군사적 갈등 빈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무력사용(use of force) 대신 무력 시현(display of force)의 형태로 군사적 갈등을 빚고 있다. 이는 중국의 핵전력 발전에 따라 미중 間 최소 핵 억지(nuclear deterrence)가 작동하면서 적대의 정도(degree of hostility)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력 시현이 주로 미국과 (準)동맹을 대상으로 한 것을 감안할 때, 여전히 미국과 미국의(準)동맹에 대하여 세력균형 차원에서 공세성(assertiveness)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미중 間 군사적 충돌은 생각 보다 우발적이고 작은 일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다. 탈냉전 시기 미국에 유일하게 무력을 사용한 2001년 미-중 間 군용기 충돌 사건은 양측이 역내에서 무력을 시위하는 과정에서 무력 충돌로 이어진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탈냉전 시기 중국의 무력사용은 미국과의 군용기 충돌을 제외하면 영토 분쟁이 있는 국가들을 대상(베트남, 필리핀, 인도 등)으로 했다. 이들은 미국의 동맹이 아니거나 동맹이지만 유사시 군사적 개입을 보장받지 못한 국가들이다. 탈냉전 시기에도 미국의 군사적 개입에 따른 억지효과가 작동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중국과 영토분쟁에 있는 국가들이 이러한 억지효과를 누리기 위해 미국과의 동맹 또는 안보제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의 동맹과 주변국으로부터 포위되었다는 毛澤東 시기의 동맹의 포위 인식이 부활될 수 있으며, 1962년 중인 국경분쟁과 같이 억지의 역설이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중국이 완전한 영토를 한 축으로 핵심이익(核心利益)의 외연을 지속 확대하는 가운데, 핵심이익에 대해 무력사용의 가능성을 不 배제한 바, 향후 중국과의 영토분쟁에있어서 미국 개입의 억지효과는 무력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학번: 2014-24312
With Russia invading Ukraine in 2022,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taking place on the use of force, including Chinas unification of Taiwan by force, under the awareness that Ukraine may be the East Asia of tomorrow. In particular, Chinas use of force has drawn attention in the context of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amid the trend of the relative declin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relative rise of China following the September 11 attacks in 2001 and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Previous research on Chinas use of force has focused on case studies and normative studies such as Chinas crisis-management patterns, strategic culture, and position on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the use of force. Still, systematic quantitative studies are lacking, 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remains in the Cold War. However, such quantitative research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able to unveil Chinas behavior patterns based on facts but also contributing to theoretical discussions over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ntitative study on Chinas use of force based on the newly published-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Data by The Correlates of War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2020.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Under what conditions has China used force since 1949? To derive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thesis presented hypotheses based on the structural and agent-level perspectives on Chinas use of force.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197 cases of military conflicts with China from 1949 to 2012 were extracted from the MID data. As a specific methodology,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between whether China has used force in military conflic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presented in the hypotheses. Prior to regression analysis, the trend of the use of force by period and object was examin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inally,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ses by period based on the trends and
variables derived from statistical analysis and explained Chinas patterns in the use of for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na balanced against the U.S. national power in East Asia except for the Deng period(1977-1991). During the Mao period, China tended to use force against the U.S. alliance and the quasi-alliance in terms of the balance of power and threat as China perceived that it was encircled by the alliance. In addition, the U.S. military intervention also caused the deterrence effect during this period. However, if these military interventions strengthened the perception that China was encircled, a paradox of deterrence occurred. Thus, China used force even against the states that were not allied with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as competition between communist regimes intensified after the Soviet-China border dispute and the U.S.-China détente in 1969, China mainly used its force against the Soviet Union and its quasi-allies.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Chinas use of force de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Cold War period. However, Chinas military conflicts with other countries still peaked in the form of displaying force an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military conflicts among East Asian countri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degree of hostility decreased due to the U.S.-China minimum nuclear deterrence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s nuclear capabilities. Nevertheless, China was still assertive in terms of the balance of power, considering the display of force was mainly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its (quasi) allies in the U.S.-led world. Thus, future 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may occur in little, unexpected events. The 2001 U.S.-China military aircraft crash was the only case showing the armed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ir displaying force in the region.

In addition to the aircraft collision with the United States, Chinas use of force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was also against the countries with territorial disputes (Vietnam, the Philippines, India, etc.), which either were not US allies or were not guaranteed U.S. military intervention in contingency. Given that the U.S. military intervention still had a deterrence effect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countries in territorial disputes with China could strengthen their alliance or security alignment with the United States to enjoy such a deterrence effect.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alliance encirclement during the Mao period that the US allies and neighboring countries encircled China could be revived. Also, a paradox of deterrence, as it was in the China-India border disputes in 1962, may emerge. In particular, as China continued to expand the scope of core interests in terms of territorial integrity, and it di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using force with regard to its core interests, the deterrent effect of U.S. intervention in future territorial disputes with China could be neutralized.

Student Number: 2014-24312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5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5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