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apturing Queerness in Korean Film : 한국 영화 속 퀴어 요소 포착하기: 2000년대 및 2010년대 대한민국의 상업영화와 독립영화에 나타난 성소수자 정체성 묘사방식
Depictions of LGBTQ+ identities in South Korean Commercial and Independent film in the 2000s and 2010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스틀러

Advisor
Jeehwan Park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Queer CinemaLGBTQ+Korean mediagender-blendingflower bo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3. 8. Jeehwan Park.
Abstract
2000년대 초반부터 퀴어 등장인물과 플롯은 한국 상업영화계에 진출하였다. 이에 따라 자국 내 LGBTQ+ 커뮤니티에 대한, 여전한 거리감은 있지만,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한국 영화 내에서 늘어난 퀴어의 존재감은 현재까지 일상 속의 성소수자에게 거리감을 두는 한국 사회에서 상업 영화가 퀴어를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한국 퀴어 영화들에 대한 제한적인 연구는 장르의 성장과 상업성으로의 이동에 대해 이루어졌지만 상업 영화가 성소수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살펴보지 못했다. 2000년대의 영화인 왕의 남자와 후회하지 않아, 그리고 2010년의 영화인 아가씨와 꿈의 제인을 통해, 두 시대의 상업 영화 모두 퀴어를 거리두기 기법을 사용해 한국 사회의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그려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퀴어 정체성을 상품화한다거나, 동성애 관계를 이성적인 관계의 규율에 맞춰서 그려낸다든지, 퀴어 등장인물을 여러 플롯 라인을 통해 가리는 행동들이 존재한다. 반대로 이 시기의 독립영화들은 퀴어 요소를 현재 사회와 문화에 배치하면서 보다 더 직접적으로 퀴어 요소들을 다루었다. 상업영화와 독립영화들의 비교를 통해 대중을 위한 영화들은 관객이 본인과 퀴어 사이의 거리감을 두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 거리를 영화에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이런 현상을 강화하고 있다.
Since the early 2000s queer characters and storylines have made their way into South Korean commercial film. This has been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positive, though distant, attitudes towards the LGBTQ+ community in South Korea. The increased presence of queerness in Korean films begs the question of how commercial films approach queer content in a society that shows a hesitance to fully accept queerness into everyday Korean life. The limited studies on Korean Queer Cinema have analyzed the genres growth and move to commercial film but have failed to look at what influence the latter has had on approaches to queer topics. Through analysis of the films The King and the Clown (Wang ŭi namja, 2005) and No Regret (Huhoehaji ana, 2006) from the 2000s and The Handmaiden (Agassi, 2016) and Jane (Kkumŭi chein, 2017) from the 2010s, I find that commercial films in both decades place queerness outside of Korean society using distancing techniques. These include commodifying queer identities, mapping homosexual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onto heterosexual ones, and masking their queer characters and storylines with multiple plot points. The independent films in these periods approached queerness more openly, placing their queer elements directly into Korean culture and society without masking the presence of queer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commercial and independent films, it is revealed that films catering to general audiences are aware of the distance Korean viewers keep between themselves and queerness and utilize this distance in their films, reinforcing this phenomen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5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5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