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terminants of Crop Diversifi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농작물 다각화 결정요인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클라라

Advisor
Donghwan An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rop diversification,Sustainable Agriculture,Food Security,Panel Data,Southeast Asi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 2023. 8. Donghwan An.
Abstract
동남아시아의 농업 부문은 지난 수십 년간 상당한 구조적 변화를 겪었지만,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특정 작물의 대규모 경작, 기후 변화 및 식량 불안과 같은 우려로 인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실행 가능한 해결책으로 농작물 다각화가 필요 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시아 8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베트남)의 작물 다각화 현황과 그것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기술 (비료 사용량 및 관개), 기후 조건 (온도 및 강우량), 식량 및 비 식량 작물의 생산성, 국민총소득 (GNI), 농경지의 경작지 점유율, 농촌 인구 1인당 경작지 및 수출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1988년 ~ 2020년의 패널 데이터와 Simpson의 다양성 지수를 사용하여 작물 다양성을 측정했다. 농작물 다각화의 결정 요인은 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국가 Dummy에 대한 제어를 통해 평가되었다. 이분산성(heteroskedasticity)과 단면적 상관관계의 문제로 인해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GLS)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농작물 다각화는 비료사용량, 관개, 농작물 수확량 지수, 국민총소득, 농촌 인구 1인당 경작지, 그리고 연구기간 동안 수출지수의 집중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료 사용량과 농촌 인구 1인당 경작지의 증가, 수출을 위한 제한된 수의 작물에 대한 의존도는 작물 다각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agricultural sector in Southeast Asia has gone through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s in the past few decades, although these changes vary across the region. Concerns such as large-scale 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climate change and food insecurity, have led to the need for crop diversification as a viable solution to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rop diversification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it in eight countries of Southeast Asia: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Myanmar,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Various factors were considered including technology (fertilizer consumption and irrigation), climatic conditions (temperature and rainfall), productivity of both food and non-food crops, gross national income (GNI), share of cropland area in agricultural land, arable land per rural capita and export activities. The study uses panel data from 1988 to 2020, and Simpsons Diversification Index to measure crop diversification. The determinants of crop diversification were evaluated using fixed effects model, with control for country dummy. To address issues of heteroskedasticity and cross-sectional correlation, the study use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GLS) estimation approach. The study found that crop diversifi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fertilizer consumption, irrigation systems coverage, crop yield index, income levels, arable land per rural capita, and concentration of export. However, an increase in fertilizer consumption and arable land per rural capita, as well as reliance on a limited number of crops for exports,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crop diversifica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66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8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