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거울면을 가진 장신구 연구 : Study of Jewelry with Mirror Surfac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민복기-
dc.contributor.advisor백경찬-
dc.contributor.author송유경-
dc.date.accessioned2023-11-20T04:31:00Z-
dc.date.available2023-11-20T04:31:00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93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672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38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3. 8. 민복기-
dc.description백경찬.-
dc.description.abstract거울은 예술과 과학 그리고 유희가 혼합된 도구로써 우리의 외면과 내면을 비추며 다양한 모습을 담아 내왔다. 상이 맺히는 면은 기능적인 역할에 머물지 않고 여러 관점으로 확장되어 사유와 인식의 깊이를 넓힌다. 이렇듯 거울면이 지닌 물리적, 개념적인 속성을 고찰하며 새로운 장신구의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작품 연구는 상이 맺히는 반사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우선, 익숙한 것을 낯선 시선으로 바라보는 비일상성을 표현하기 위해 거울의 후면에 상이 맺히는 아크릴거울의 제작 및 변형 방법을 연구하였다. 불규칙한 그래픽과 상이 맺히는 희미한 반사면은 일상적으로 매일 마주하던 모습을 새로운 방식으로 투사하였다.
다음으로 실상과 허상의 혼재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의 거울면 제작을 연구하였다. 전면에 상이 맺히는 스테인리스 스틸은 현실과 가상이 가장 가까이 맞닿아 있다. 이에 자성이 포함된 스테인리스 스틸의 특성을 이용하여 반쪽 형상을 한 오브제와 함께 구조적인 조립과 결합을 시도하였다. 이 시도를 통해 반쪽의 오브제가 거울면과 유연하게 결합, 분리되게 함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선행 작업에서 느꼈던 아크릴거울의 기술적인 한계를 금속 거울면을 사용하여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갈륨페인팅을 통해 거울 표면에 회화적인 효과를 유도하였다. 갈륨의 낮은 융점은 페인팅이 고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에폭시 레진의 물성연구는 거울면의 전면과 후면, 나아가 적층을 이용한 다중의 면으로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신체와의 연결을 위해 뒷받침되어야 하는 장신구의 잠금장식은 갈륨이 발리지 않은 여백으로 인해 형태가 그대로 노출되었으나 이를 숨기지 않고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으로 해결하였다. 이는 착용되었을 때 더 풍부한 공간감을 형성하는 조형적 장치가 되었다.
거울에 나를 비추어 보는 것은 결국 자신을 찾기 위해 애쓰는 행위임과 동시에 누구보다도 자신을 이해하고 성찰하며 무언가를 찾아가는 과정으로서 장신구 제작 연구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거울면을 표현하기 위해 재료와 기법에 대한 실험을 거듭하는 동안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였지만, 이 또한 다음 작업의 촉매제가 되어 일상적이고 사소한 것에 대한 관찰과 탐구를 이어 나갈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액체와 고체를 자유롭게 오가는 갈륨의 조형적 가능성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거울면이 내재하고 있는 무한한 가치를 표현하는 현대 장신구의 한 영역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dc.description.abstractMirrors are a mix of art, science, and play, reflecting our outer and inner selves in a variety of ways. The mirror surface is not limited to a functional role, but expands to multiple perspectives, expanding the depth of thought and perce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hysical and conceptual properties of the mirror surface and show the expressive potential of new jewelry.
The research was organized into three main part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surface where the image is portrayed. First, I researched how to make and transform an acrylic mirror with an image on the back. The purpose was to express the non-ordinary by observing the familiar with unfamiliar eyes. The irregular graphics and the faint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projects a new way of looking at everyday life.
Next, I researched the production of mirror surfaces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that is covered with a layer of phase. It is aimed to express images that blend the reality and the illusion, shifting the gaze to the space in the mirror. In this case, I attempted to use the magnetic properties of stainless steel to create structural form by combining half-shaped objects. Through this attempt, I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enrich the meaning of the work by allowing the half-shaped object to flexibly join and separate from the mirror surface, and to overcome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acrylic mirrors that I felt in my previous works by using metal mirror surfaces.
The research on gallium paintings made it possible to induce a painterly effect on the mirror surface. However, due to the low melting point of gallium, the painting was not fixed, and epoxy resin was used to solve this problem. Experimental research into the properties of epoxy resin allowed the mirror surface of the gallium paintings to be composed of front and back surfaces, and even multiple surfaces using lamination to create the illusion of depth. A problem arose when attaching the pin back, which is essential to connect the jewelry to the body. The pin back was still exposed through the non-gallium areas, but the solution was to actively showcasing it rather than hiding it. The result is a sculptural device that creates a richer sense of space when worn.
Looking at oneself in the mirror is an act of struggling to find oneself, but it is also a process of understanding, reflecting, and searching for something more than anyone else, which became an important basis for researching jewelry production. While experimenting with materials and techniques to express the mirror surface, I experienced frustration and failure, but this also became a catalyst for my next work, allowing me to continue my observation and exploration of everyday and trivial things. In particular, gallium has not enough research and examples as an artistic expression, so follow-up research on its physical properties and wearability should be followed.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revitalization of contemporary jewelry that expresses the infinite value inherent in mirror surfac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II. 거울면의 일반적 고찰 5
1. 예술적 담론 5
1.1. 확장성 6
1.2. 환영성 10
1.3. 이중성 15
2. 연구에 응용한 빛의 특성 20
2.1. 빛의 성질과 반사 법칙 20
2.2. 금속의 광학적 특성 22
2.3. 광학적 특성의 응용 24
III. 작품 연구 27
1. 아크릴거울을 활용한 장신구 27
1.1. 볼륨감이 있는 거울면 성형 연구 29
1.2. 아크릴 거울면의 질감 연구 34
1.3. 전해주조를 활용한 프레임 연구 35
1.4. 연구 작품 42
1.5. 거울의 이중성의 발견 48
2. 스테인리스 스틸을 활용한 장신구 50
2.1. 실상과 거울상의 관계에 대한 소고 51
2.2. 대칭성을 가지는 형상 연구 53
2.3. 가변적 거울상 이미지 연구 58
2.4. 거울상을 극대화한 프레임 연구 61
2.5. 연구 작품 63
2.6. 금속을 이용한 거울면의 한계와 거울 제작의 필요성 79
3. 갈륨페인팅을 활용한 장신구 81
3.1. 갈륨의 활용 가능성 81
3.1.1. 산업적 활용 81
3.3.2. 반사율을 이용한 활용 85
3.3.3. 유동성을 이용한 활용 87
3.3.4. 융점을 이용한 복제 가능성 90
3.3.5. 질감과 결을 이용한 표현 가능성 93
3.2. 갈륨페인팅을 위한 표면 96
3.2.1. 투명함에 대한 고찰 96
3.2.2. 아크릴의 적용 100
3.2.3. 에폭시 레진의 적용 103
3.3. 적층을 이용한 다층 갈륨페인팅 109
3.3.1. 전면과 후면 109
3.3.1.1. 연구 작품 112
3.3.2. 새로운 공간의 구축 118
3.3.2.1. 연구 작품 121
3.3.3. 갈륨페인팅의 확장 131
3.3.3.1. 연구 작품 135
3.3.4. 뒷장식의 확장과 새로운 매체의 완충 139
3.3.4.1. 연구 작품 144
IV. 결론 153
참고문헌 155
Abstract 160
-
dc.format.extent16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거울-
dc.subject반사-
dc.subject아크릴-
dc.subject스테인리스 스틸-
dc.subject갈륨-
dc.subject.ddc745.5-
dc.title거울면을 가진 장신구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f Jewelry with Mirror Surfac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ng, Yookyung-
dc.contributor.department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3-08-
dc.contributor.major금속공예-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938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938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