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주의 인쇄물에 나타난 구축주의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t Design in Printed Materials of Korean Social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선아

Advisor
김민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구축주의사회주의생산주의민족주의국제주의타이포그래피카프일제강점기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디자인역사문화전공), 2023. 8. 김민수.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onstructivism as formed in the Korean context through an analysis of images and typography in the print materials of Korea with socialist tenden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20s and 1930s. For a long time, constructivism in Korea has gener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Russian avant-garde movement or identified with the Japanese concept of 構成主義, leading to its perception as a geometric abstract art style imported from the west, rather than acknowledging its inherent political and revolutionary nature and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design concepts worldwide.
In this study, constructivism in Korea is examined in relation to contemporary contexts, and its origins in Korean design history are explored through recent interpret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print material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deriv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onstructivism unique to Korea.
Chapter 1 serves as an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providing the research objectives, methods, and a literature review. Among the existing studies that primarily focused on formal and visual analyses, work by Kim Min-soo published in 2022 addressed constructivism in Korea as a concept based on productive principles similar to the Russian context and explored how it aimed to overcome the colonial situation, focusing on the struggles of Kim Bok-jin and Yi Sang. Within this broader framework of constructivism's emergence as Art of Life in a deficient social situation and its intense pursuit of new art, this paper highlights the unique features observed in the domain of these print materials.
Chapter 2 begins with an exploration of the roots of the avant-garde movement by explaining how it originated from the exploration of folklore and religion in Russian society during the 19th century and how it evolved in connection with th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The chapter briefly touches on the process of constructivism's emergence within this movement through discussions on the socialization and theory of art. As constructivism was intertwined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cerns related to identity formation and modern self-development, it reflected a socio-revolutionary movement seeking to produce and construct life in a new era through artistic means. Moreover, it pursued an internationalist agenda due to its political background of transnational solidarity, which resulted in its distinct geometric visual style. Additionally, the Soviet government, facing challenging economic conditions and a diverse ethnic makeup, sought to create a new national script and effectively utilized constructivism in print media. Notably, the use of sans-serif typefaces was prominent in typography due to the socialist internationalist nature and aesthetic of scientific mechanization.
Chapter 3 delves in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socialist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eriod during which constructivism was introduced. The study demonstrates how Korean socialist movements used print media to disseminate their ideas, achieving their goal of pre-announcing socialism in Korea despite the domestic situation of colonial governance and the demands of the Komintern. The dissemination of socialist ideas through print materials played a crucial role, similar to the situation in Russia. Socialist publications such as Seonbong, Jeokgi, and Sinsaenghwal were published within the Korean community in the region, and their editing indicated a recognition of the role of effective design for propaganda purposes. Additionally, despite strong censorship of socialist-related literature, various cultural publications disguised as literature or religious texts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socialist ideas, affirming the substantial role of print materials in the propagation of ideology.
Conscious constructivism(意識的構成主義) from Japan, which is believed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constructivism, was form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Murayama Tomoyoshi, who witnessed the activities of the Expressionist movement in Germany. After his return to Japan, he shared his directions for future-oriented art and was influenced by the Eastern orientation and self-expressive nature of Russian late Expressionism through the trends of Futurism and Palmov in Japan at that time. However, Korean artists did not merely accept this concept passively. Instead, they critically recognized the bourgeois nature of the newly forming Japanese art and ideologically understood modern art in Korea more profoundly. Accordingly, they put forth their argument of art as a weapon for constructing a new modern life in Korea. Kim Bok-jin, in his contribution The Art Movement of Advertisements Painting in Sanggongsegye in February of 1923, and later in Emerging Art and its Objectives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revealed the transition of art from an art of aesthetic appreciation to an art of everyday life and industrial production, accepting Stepanova's ideological constructivism while proposing a practical methodology applicable in the Korean production environment. Subsequently, various critiques of the daily visual environment of Korea, such as the Gyeongseong Commercial Store Signboard Contest and Jongno Market Display Window Review Report, continued this art discourse. This unfolding art discourse demonstrates that constructivism was perceived as a tool for social change and political struggle, strongly associated with usefulness to society and class consciousness, rather than being merely accepted as a geometric art form in Korea, reflecting its strategic application to the solving of unique real-life challenges in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20s, debates on proletarian art emerged among Korean artists, including Kim Hwa-san, Yun Gi-jeong, Kim Yong-jun, and Im Hwa. These debates exemplified the dialectical process of how the notion of art as a political weapon for struggle, deemed the historical mission of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was adopted within the KAPF. Particularly, the progression of art discourse from constructivism's ideological view of art as part of revolutionary change in society to the subsequent popularization of art, i.e., Art Bolshevikization, exemplifies a strategic use of a mixed style evident in socialist print materials in Korea. The first shift in the direction of the KAPF in 1927 aligns with the conscious art declaration of Alexei Gan, wherein the purpose was to construct a new and historically necessary form of social reality, signifying a transition to political struggle within the Korean context. Art played a crucial role in this movement. In the second shift of the KAPF in the early 1930s, the discussion continued through the Art Popularization Theory advocating for arts accessibility to the masses. During this process, new forms and methods of expression were explored to reach the masses more effectively, leading to the involvement of artists in areas that were not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rt, such as signboards, stages, display windows, and posters.
Chapter 4 examines how constructivism manifested in socialist print materials in Korea during a time of severely limited production resources under colonial economic conditions. It focuses particularly on the use of geometric typography and modern imagery on magazine covers as cases that represent how rational, scientific, and international modernity aimed to be portrayed during this time. The chapter describes that constructivism's visual results were achieved through a balance between nationalist and internationalist concerns, reflecting the detailed directions and target readership of publications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time. Despite constructivism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the nation, which conflicted with its internationalist pursuit, it strategically adopted a compromise to persuade and unite the Korean public, pursuing the significant goal of independence within the colonial situation. In essence, the application of typography and image design within such a compromise was a strategic choice, interpreted as constructivism consciously adapted to the Korean context.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becomes evident that constructivism in Korea during the 1920s and 1930s was not a mere geometric art form but rather a productive ideology that could construct society in actuality, considering the socio-political and class consciousness of the time, despite the constraints of the colonial situation. Modernity, which emphasized rationality, science, and internationalism, even in a restricted production environment, was effectively conveyed through the visual ideology of constructivism. The combination of modern geometric imagery and traditional, nationalist calligraphic typography appealed to the Korean public. The visual material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demonstrate how constructivism in socialist print materials reflected the socio-economic constraints of colonial Korea and achieved a balance between nationalist and internationalist concerns, effectively portraying the social structure of Korea under socialism.
이 연구는 1920-30년대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주의 성향의 인쇄물에서 보이는 이미지와 타이포그래피의 활용을 통해 조선의 환경에서 형성된 구축주의적 특징과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구축주의는 오랫동안 러시아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개괄되거나 일본에서 유래된 구성주의(構成主義)라는 이름과 동일시되어, 실제 그에 내재된 성격과 일제강점기 조선의 환경을 반영하여 발현된 양상에 주목하기보다는 서구에서 유입된 기하추상의 예술양식으로 인식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구축주의는 태생적으로 정치혁명과 맞물려 발생하고 성장했었고, 그것이 추구한 사회적 공공성과 과학적 합리성에 따라 현대 디자인 개념의 형성에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움직임으로서 양식사조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축주의를 동시대적으로 수용하여 발현된 조선의 양상과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드러난 한국 디자인 역사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고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주의 인쇄물을 분석하여 조선 특유의 구축주의적 특징과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논문의 1장은 연구의 서론으로서 연구목적과 방법, 및 선행연구에 대해 서술했다. 양식과 이에 따른 조형 분석 위주로 이루어졌던 기존 연구들 가운데 출간된 김민수(2022)의 연구는 한국에서의 구축주의가 러시아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생산주의에 기반한 개념으로서, 당시 식민지였던 조선의 배경에서 현실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 김복진과 이상의 삶을 통해 그 분투적 과정을 밝혀냈다. 조선 구축주의가 결핍적 사회상황에서 구축된 삶의 예술과 새로운 예술의 치열한 추구였다는 이 선행연구의 큰 틀 안에서, 본 논문은 특히 인쇄물의 영역에서 나타난 독특한 특징을 발견하고 이에 주목했음을 밝힌다.
본론의 시작인 2장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사회에서 발견된 민속과 종교에 대한 탐색과 서구 문화의 수용이 주고받은 관계 위에서 아방가르드 운동이 형성되었음을 설명하고, 이 흐름에서 예술의 사회화와 이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구축주의의 흐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간략히 짚어보았다. 자기 정체성 구축을 위한 민족주의와 근대적 자기 발전을 위한 국제주의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러시아 사회는 혁명과 내전 이후 물질적 기반이 파괴되었다. 사회 혁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함께 일어난 구축주의는 유희적 감상을 위한 관조적 예술에서 일상 삶의 예술로의 전환임과 동시에 사회주의 혁명으로 인한 새로운 시대환경의 삶의 양식을 예술을 통해 생산하고 구축하고자 한 예술가들의 사회운동이었다. 또한 구축주의는 초국경적 계급의 연대를 중시했던 그 정치적 배경에 따라 국제주의를 추구했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이 운동 특유의 기하학적인 시각양식과도 연결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소련 정부는 척박한 경제적 상황과 함께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기 위해 새로운 국가 문자를 만들어 활용하고자 했고, 이에 구축주의는 인쇄매체에서 그 능력을 십분 발휘했다. 특히 당시 사회주의의 국제주의적 성격, 과학적 기계주의 미학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에 있어 산세리프체의 사용이 두드러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은 1920-30년대 사회주의와 함께 구축주의가 유입되던 시기에 대한 이해를 위해 조선 사회주의 운동이 형성되는 간략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사회주의 인쇄물을 통해 사상이 확산된 점을 통해 조선의 사회주의 운동이 사회주의의 전조선 전파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 코민테른의 요구와 식민 지배하라는 국내 상황에 따라 민족주의가 전략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인쇄물은 러시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선전·선동의 중요한 도구였다. 이 시기에 연해주 한인사회에서는『선봉』,『적기』,『신생활』등 사회주의 간행물이 발간되었고, 이의 편집은 선전·선동을 위해 효과적인 디자인의 역할을 인지하고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조선에서도 사회주의 관련 교양서가 강한 검열 속에서도 문학책이나 종교 서적 등으로 위장, 유입되었다는 사실은 인쇄물이 사상의 전파에 큰 역할을 담당했음을 증명한다.
한편, 조선의 구축주의에 주된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져 온 일본의 의식적 구성주의는 독일에서 표현주의의 활동을 목격한 무라야마 토모요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그는 귀국한 후, 일본 미래파와 예술에 대한 지향점을 공유했고, 당시 일본을 휩쓸던 방일한 부를류크와 팔모프의 영향으로 러시아 후기 미래파의 동양지향적이고 자기표현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선의 예술가들은 이를 수용적으로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위와 같이 형성된 일본의 신흥미술에서 부르주아적 성격을 인지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조선의 현실에서 필요한 현대 예술에 대해 보다 이데올로기적으로 이해했고, 이에 따라 자신들의 무기로서의 예술에 관한 주장을 펼치게 되었다. 무라야마가 의식적 구성주의 개념으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전인 1923년 2월『상공세계』에서 김복진이 발표한「광고회화의 예술운동」, 이후 9월「신흥미술과 그 표적」에서는 그에게서 예술이 일상 삶의 예술, 산업생산의 예술로의 전환되는 과정이 드러난다. 여기에서 그는 스테파노바나 간이 주장한 이데올로기로서 러시아 구축주의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조선의 생산환경에서 현실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이후「경성 각 상점 간판 품평회」와「종로상가 진열창 품평기」등 각종 현실 조선의 일상 시각 환경에 대한 비평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예술 담론의 전개는 조선에서 구축주의가 기하학적 예술양식으로서 평면적으로 수용되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새로운 삶건설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 유용(有用) 및 계급의식과 강하게 결부되어 산업과 생산, 그리고 정치투쟁의 무기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여기에서 제시된 조형적 방법론과 그로 인한 결과물들이 조선 사회의 특수한 현실 과제의 해결이라는 목적을 두고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1927년을 중심으로 김화산, 윤기정, 김용준, 임화 등에 의해 예술의 사회성과 계급예술로서 프로예술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쟁은 카프 내에서 예술을 정치투쟁을 위한 무기로서 인식하고 그것이 무산계급 예술운동의 역사적 임무라 주장한 내용이 채택되는 과정을 변증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예술을 혁명과 함께 현실 과제 수행을 통한 새로운 삶 건설의 무기로 인식하는 구축주의적 예술관과 이후 대두되는 예술의 볼셰비키화, 즉 예술의 대중화는 조선의 사회주의 인쇄물에서 보이는 절충적인 양식을 전략의 방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1927년 카프 예술운동의 제1차 방향전환은 알렉세이 간의 구축주의 선언에서 나타난 목적의식적 예술로 나아가자는 주장과 내용이 일치한다. 그 목적 또한 새롭고 역사적으로 필요한 사회 현실의 형태를 구축하는 것으로서 조선 현실의 경우 이는 정치투쟁으로의 전환을 뜻하는 것이었다. 거기에서 예술은 이 운동의 일익을 담당했다. 이후 1930년대 초에 카프는 제2차 방향전환을 통해 예술의 볼셰비키화, 예술대중화론으로 프로예술의 논의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가기 위한 형식과 방법이 고민되면서 간판, 무대, 진열창, 포스터 등 흔히 예술에 포함되지 않았던 영역에서 예술가들의 개입을 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조선인의 생산 경로가 극히 제한되어 있었던 식민지 경제 상황에서 의식투쟁의 무기로서의 사회주의 인쇄물, 주로 잡지 제호와 이미지의 운용에서 구축주의적 성격을 찾아보고 이를 타이포그래피 및 편집 디자인과 연결하여 분석했다. 사회주의 운동 초기에 잡지 표지에서 보이는 기하학적 서체의 활용한 사례들은 새로움, 혁신과 변화, 국제적인 모던함을 표방했다. 제2차 방향전환을 맞아 카프 내에서는 예술대중화론이 대두되었고 이후 사회주의 인쇄물의 표지에는 기하학적이고 모던한 구축주의적 이미지와 조형 방법론에 서예체나 장식적인 서체가 조합된 혼합적인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30년대에 들어서 구축주의 시각적 표현 방법은 더욱 발전된 형태로 드러났으며 사상을 떠나 진보적임과 모던함을 전달하는 의도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연구자는 조선 사회주의 인쇄물의 표지에서는 전통적 이미지와 기하학적 서체의 배열, 사진과 몽타주 등의 새로운 시각 기술과 전통적 서예 서체의 결합으로 드러나는 제호 텍스트와 이미지의 사이에 이질적이자 절충적인 관계에 주목했었다. 이러한 시각적 재료와 제작 방식은 민족주의와 국제주의가 사회주의 운동의 방향을 설정하는 주요한 기준으로서 당시 코민테른의 주요한 판단 및 결정들과 함께, 사회주의라는 기치 아래 변화하는 민족운동의 방침에 따라 민족주의와 국제주의가 뒤섞인 사회상황에서 간행물의 세부적인 지향점과 주독자층이 반영된 결과로 여겨진다. 민족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것이 국제주의를 추구하는 사회주의 구축주의에서 엄연히 비판되는 지점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서 독립을 원하던 대중에 대한 설득과 연대라는 중대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최선의 전략으로 보인다. 즉 제호 타이포그래피와 이미지 디자인의 절충적인 활용은 전략적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목적의식적인 조선의 구축주의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조선의 사회주의 인쇄물에서 보이는 구축주의적 디자인 이미지들은 식민지 상태라는 제약적인 환경에서 사회주의 운동의 방향성과 확산전략의 변화에 따라 조선의 상황에 적응하여 구현된 결과였다. 제약된 생산환경 중에서도 비교적 생산이 용이했던 인쇄매체 위에서 이들이 표방하고자 했던 합리적, 과학적, 국제적인 근대성은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사상에 적합한 구축주의라는 새로운 시각 이데올로기를 통해 나타났다. 모던한 기하학 이미지와 전통적이며 민족적인 인상의 서예체 타이포그래피의 조합은 조선 대중들의 마음을 끌기 위해 활용 가능한 표현방법이었다. 즉 이러한 이미지와 타이포그래피로 나타난 시각적 결과물들은 사회주의와 관계한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의 균형잡기를 통해 조선의 사회적 구조를 드러내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920-30년대 조선에서 구축주의는 단순 기하학적 예술양식이 아닌, 사회와 계급의식을 전제로 한 이데올로기로서 현실의 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생산적인 개념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4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1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