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이버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법적 대응 개선 방안 : Improvement measures for legal response to cyber school violence cases - Focusing on cyber bullying and cyber sexual violence -
사이버 따돌림과 사이버 성폭력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혜진

Advisor
한인섭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교폭력사이버따돌림불링성폭력딥페이크메타버스아바타그루밍성희롱괴롭힘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회복적관계회복조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8. 한인섭.
Abstract
학교폭력의 여러 태양 중 사이버 공간에서의 따돌림,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성폭력,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에 대한 성추행, 성적인 괴롭힘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나 현행 법제는 사이버 따돌림 등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조차 제대로 확립하지 못한 채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사이버 따돌림에 대해서 배제, 소외라는 좁은 의미로 잘못 해석하고 있고, 제페토 등 가상공간에서 아바타에 대한 성추행, 성적 괴롭힘 사건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행법상 성폭력에 해당되지 않아 피해 청소년들은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이버 따돌림에 대한 법적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집단적 따돌림을 전제로 잘못 규정되어 있는 학교폭력예방법상 사이버 따돌림의 개념에 사이버 공간의 특성상 1명의 따돌림 행위와 특정인에 대한 따돌림 행위를 포함시키고, 심리적인 공격을 가하는 행위, 상대방이 고통을 느끼도록 하는 행위 등의 모호한 표현을 협박, 강요, 모욕 등 괴롭히는 행위, 상대방에게 신체적, 재산적 피해 또는 정신적인 피해를 가하는 행위로 개정하는 입법안을 제안하였다.
경미한 사이버 따돌림 행위는 형사적 규제가 아닌 학교폭력예방법의 절차에 따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해 청소년의 인격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사이버 따돌림 행위에 대해서는 미국의 여러 주, 뉴질랜드와 같이 독자적인 형사처벌 규정을 마련하여 엄중한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메타버스 공간에서 청소년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한 성추행, 성적인 괴롭힘은 사람의 신체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 아니다. 이러한 성폭력은 신체, 행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성적 자기결정권이 아니라 자기 의사에 반하여 성적 대상화가 되지 아니할 자유인 성적 인격권을 침해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비접촉 성폭력 행위를 포괄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성적 인격권 침해 범죄를 신설하는 입법론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피해 청소년들의 피해 확대를 막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므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불법 정보에 대한 유통방지의무를 청소년을 괴롭히는 유해 정보까지 확대시켜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형사 고소를 하지 않고 익명의 가해자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호주의 입법처럼 방송통신위원회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원 정보, 연락처의 제출을 요구하는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한편 청소년들 사이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 성폭력 사건도 학교폭력예방법의 적용 대상 사건이므로 학교폭력예방법의 처리 절차에 따라 진행되게 된다. 그러나 학교폭력 사건 조사를 담당하는 전담기구, 학교폭력대책심의의원회의 전문성 부족과 학교장 자치 해결제의 운영상 문제점 등으로 인해 학교 현장이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학교폭력 업무 담당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함께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 강화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가해 청소년에 대한 조치 중 사안이 경미하다는 이유로 형식적으로 부과되고 있는 현행법상의 서면사과 조치는 가해 청소년의 양심의 자유, 인격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 성폭력의 특성에 맞게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 청소년에 대한 접근 금지, 휴대폰 몰수 등의 새로운 가해 청소년에 대한 조치 처분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학교폭력 사건은 가해 청소년에 대한 엄중한 처벌, 징계만으로는 제대로 해결되기 어렵다. 이에 처리 과정에서 분쟁 조정, 관계 회복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한 회복적 사법의 역할을 강조하고, 가해 청소년의 부모뿐만 아니라 피해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와 사회, 부모 모두가 사법적 절차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율적인 학교 내 해결을 이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mong the various aspects of school violence, cyber bullying, cyber sexual violence using deepfake technology, sexual harassment of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and sexual harassment become socially significant problems, but the current legislation does not eve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such as cyber bullying. We are unable to keep pace with the pace of change. Cyber bullying is misinterpreted in a narrow sense of exclusion and alienation, and case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harassment against avatars in virtual spaces such as ZEPETO are increasing. However, as the current law does not fall under sexual violence, the victims are not protected by the law.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first tried to clarify the legal concept of cyber bullying. Under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cyber bullying is based on incorrect premise of collective bullying, but due to the nature of cyber space, one person's bullying and bullying one person must be included. And this paper proposed legislation to revise ambiguous expressions such as "action of psychological attack" and "action of causing the other party to feel pain" into "action of bullying such as intimidation, coercion, insult" and "action of physical and property damage or mental damage to the other party".
It is desirable to solve minor acts of cyber bullying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not criminal regulations. However, for serious acts of cyber bullying that severely infringe on the personality rights of victimized youth, it is necessary to take a strict response by introducing independent criminal punishment regulations, such as several states in the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And in the metaverse space, sexual assault and sexual harassment of adolescent users' avatars is not a direct attack on the human body. Such sexual violence can be said to be an act of violating the sexual personality right, which is the freedom not to become a sexual object against one's will, rather than violating the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centering on the body and behavior. Accordingly, while examining ways to comprehensively regulate the new type of non-contact sexual violence as above, a legislative alternative was proposed to establish a crime of violating sexual personality rights.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since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to prevent the expansion of damage to juvenile victims and to prevent secondary dama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must expand their duty to prevent distribution of illegal information to harmful information that harasses juveniles. Furthermore, in order to quickly identify an anonymous perpetrator without filing a criminal complaint, system that allows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o requ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to sub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was proposed, just like Australia's legislation.
When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such as cyberbullying and cyber sexual violence occurs, they are handled according to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However, schools are experiencing a lot of confusion because of lack of professionalism of the investigation body and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Committee. As a countermeasure for this, a systematic education for those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and a plan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 in charge of school were looked into.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the written apology under the current law, which is formally imposed on the grounds that the incident is minor among the actions against the juvenile offender, may violate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personality rights of the juvenile offender. Furthermore,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new measures against juvenile offenders, such as banning access to juvenile victims in cyberspace and confiscation of mobile phon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bullying and cyber sexual violence.
School violence cases cannot be properly resolved with only severe punishment and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e perpetrator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handling disputes, the role of restorative justice through revitalization of relationship restoration programs was emphasized, and it was argued that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parents of perpetrators but also for parents of victimized youths. The state, society, and parents will have to do their best to achieve a solution within autonomous schools without relying only on judicial procedur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6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