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 사망력 추이 최근변화에 대한 고찰 : Study of The Shifting Mortality Transi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Life Expectancy & The modal age at death
기대수명과 최빈사망연령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희주

Advisor
조영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인 사망력 추이기대 수명최빈 사망 연령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23. 8. 조영태.
Abstract
한국인 사망력 추이 최근변화에 대한 고찰
: 기대 수명과 최빈 사망 연령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한국인의 최근 사망력 추이
변화를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사망률, 생존 확률, 최빈 사망 연령
등의 사망력 데이터를 지역별, 교육수준별, 성별 등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인구 총조사
데이터와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의 교육수준별 사망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5-2020년까지의 5세별 간이 생명표를 작성하여
지역별, 교육수준별, 남,여 성별에 따른 생존확률과 기대여명 등을
비교 분석하였고 같은
기간동안 교육 수준별 최빈 사망 연령 변화 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2005-2020년까지 최근 16년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광역시 그리고 인구 감소 지역인 경상북도와
전라남도 모든 지역에서 한국인의 노년기 고령인구의 생존확률이
80세와 85세의 경우 각각 0.1포인트 이상 증가하였고 또한 같은
기간 교육수준별 기대여명 추이 또한 50세부터 64세 연령구간에서
대졸 이상, 고졸 이하, 중졸 이하 각각의 범주에서 평균 2.6세, 4.4세,
4.7세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간동안 남, 녀간 기대여명
차이가 대졸의 경우 5세이상 감소하였고 고졸의 경우에서 1.5세
이상 감소 하였다. 한편, 2005-2020년에 걸쳐 50-54세 그리고
55-59세 연령구간의 교육 수준별 생존 확률을 분석하여 검토한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남, 녀 모두의 경우에 생존확률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같은 기간에 교육 수준별 최빈 사망 연령
지표를 살펴보면 기대수명과 마찬가지로 모든 교육 수준별 그룹에서
최빈 사망 연령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20년 대졸
이상 그릅의 기대 수명이 83.8세, 최빈 사망 연령이 84세인 것으로
확인되어 기대 수명과 최빈 사망 연령이 가까워졌음이 확인되어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선진국들과 같이 생존 기간 연장이 노년기
사망률 감소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2005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인 사망력 추이
최근변화를 지역별, 성별, 교육 수준별로 생명표와 생존곡선을 통해
생존확률 기대여명 등을 살펴 본 결과 생존 곡선의 직사각형화와
노년기에 사망이 집중됨이 확인되었고 노년기의 생존확률 증가가
기대 수명의 증가와 최빈 사망 연령의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hifting mortality
transition, the life expectancy and the modal age at death by
regional groups, education level, and gender from 2005 to 2020.
The study employed KOSIS Census & MDIS the numbers of
deaths by the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survival has increased
above 0.1 point in the age between 80 to 90 years old across all
regions and th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as 2.6 years in the
group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as 4.4 years in the group
with less high school education and 4.7 years in the group with
less middle school education between 50 to 64 years old from
페이지 64 / 91
2005 to 2020. And also the modal age at death has increased
across all education level from 2005 to 2020.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d that the survival curve has been
rectanglized and the probability of survival increase of old age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as well
as the modal age at the deat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3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