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안과 의원에의 접근성이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에 미치는 영향: 지역단위 패널분석 : Effect of Ophthalmology Clinic Accessibility on Fundus Examination Uptake Among Diabetic Patients: A Regional Panel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원경

Advisor
이태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안과 의원 접근성당뇨망막병증안저검사 수진율지역단위 패널분석이원고정효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8. 이태진.
Abstract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성인의 주 실명 요인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며,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상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 단계에서의 안저검사 수진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망막병증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저검사 수진율이 낮은 편으로,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안저검사 수진의 중요한 요소로 안과 의원에의 접근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의료자원에의 지리적 접근성에 지역 간 불평등이 존재하며, 이러한 접근성 차이는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과 의원의 지역 간 불균등한 분포로 인하여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에 지역 간 격차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인구 당 안과 의원 수가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19년의 11개 연도에 수집된 국가 통계(지역사회건강조사, 건강보험통계, 주민등록인구현황,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 개요)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223개 시군구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의 안과 의원 접근성과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수준의 변수들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생성해 지역(시군구) 효과와 시간(연도) 효과를 고정한 이원 고정효과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역의 도시화 정도(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에 따라 상관관계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았다.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소도시에서는 인구 10만 명 당 안과 의원 수와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대도시 및 군 지역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즉, 인구당 안과 의원 수가 적은 지역일수록 해당 지역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이 낮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다만 중소도시인 경우에만 인구당 안과 의원 수가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전체 기간을 상반기(2009~2014년)와 하반기(2015~2019년)로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반기에는 두 변수 사이 관계의 유의성이 도출되지 않았으나, 하반기에는 대도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 구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안과 의원에의 접근성이 당뇨 환자의 안저검사 수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제한적인 근거를 얻었으며, 특히 최근(2015년 이후)의 결과를 고려했을 때 중소도시 및 군 지역에서 안저검사 수진율 향상을 위해 안과 의원에의 접근성을 고려한 보건의료 정책이 의미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접근성 측정 관련 지표 설정 문제, 지역단위 패널자료의 내재적 문제 등 연구의 한계로 인하여 연구 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일반적인 보건의료 접근성 및 보건의료 이용의 관계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Diabetic retinopathy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the primary cause of blindness in adults. Fundus examination during early stage of diabetes plays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vision loss due to this condition. However, in Korea, despit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diabetic retinopathy, the fundus examinations uptake rate among diabetic patients remains low.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rate of fundus examination uptake in diabetic patients.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ophthalmology clinics can be considered a key determinant in utilization of fundus examination. In Korea, regional disparities exist in terms of access to medical resources, which is known to consequently affect the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Considering the uneven distribution of ophthalmology clinics across regions, it is highly probable that variations in the uptake rate of fundus examinations among diabetic patients exist between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number of ophthalmology clinics per unit population has an impact on the rate of fundus examination uptake among diabetic patients.

National statistics collected over an 11-year period (2009-2019)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to local ophthalmology clinics and the fundus examination uptake rate among diabetic patients in 224 cities and counties across Korea. Panel data consisting of region-level variables were constructed, and a two-way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l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urbanization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reg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ophthalmology clinics per 100,000 population in urban areas and the uptake rate of fundus examination among diabetic patient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in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These findings remained consistent when analyzing the data for the entire regions. Consequently, the research hypothesis stating that "the lower the number of ophthalmology clinics per unit population, the lower the fundus examination uptake rate among diabetic patients in the region" was rejected. Meanwhile, the entire period was divided into two halves (2009-2014 and 2015-2019) and panel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first half,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emerged. However, in the second half,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across all regions except for metropolitan areas.

The study provides limited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access to ophthalmology clinics on the fundus examination uptake rate among diabetic patients. Specifically,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outcomes obtained from the post-2015 period, it is plausible to assert that healthcare policies aimed at enhancing accessibility to eye clinics hold particular importance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Nevertheless,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due to limitations of this study, such as the choice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ccessibility and inherent issues with regional panel data. Moreo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xp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ealthcare accessibility and healthcare utiliz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4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