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의 의료접근성이 개인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 : 가용성 및 물리적 접근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Regional Healthcare Accessibility on Unmet Healthcare Needs in terms of Medical Availability and Physical Accessibi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승아

Advisor
이태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충족의료""의료접근성""의료자원의 가용성""물리적 접근성""다수준 로지스틱스 회귀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8. 이태진.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regional healthcare accessibility on individual unmet medical needs, with a multilevel analysis divided into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Using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his study examines individuals' unmet medical needs, socio-demographic factors, economic factors, health need factors, and activity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re determined b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calculate healthcare accessibility indicator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Among the 229,242 respondents of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9,834 people(5.27%) experienced unmet medical needs. Among them, the number of unmet medical experiences due to access to medical care reached 822 people(8.36%), and the rate of unmet medical experiences was shown in the order of rural areas(6.23%), small and medium-sized cities(5.05%), and large cities(4.69%).

To identify the impact of healthcare accessibility on unmet medical need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by designing five models and a null model, divided into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s. As a result, the influence at the regional level appears to be 6~7% in all models. The influence at the regional level is highest in the null model at 7.1%, and the model that is consisted of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 fiscal independence, and ratio of the population living within the service area of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model including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 fiscal independence, and walking distance to medical institutions, has the smallest regional impact at 6.1%.

Significant variables at the regional level are the number of public health centers, the walking distance to general hospitals, and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residing within the service area of gener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When inputting the walking distance variable while controlling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fiscal independence, it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As the walking distance to the general hospital increases,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needs also increases. When the medical resource variables are introduced, a positive(+) relationship is shown where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needs increase as the number of health centers increase. Additionally, when the population ratio variable within the service area of medical institutions is introduced, a positive(+) relationship is observed between a higher proportion of residents within a 10km radius of public health centers' service areas and the increase in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need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improving accessibility to general hospitals contributes to alleviating unmet medical needs, while public health centers do not show any related effect. Also, the physical accessi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appears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he availability of medical resources. Moreov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sers seem to have a greater impact on healthcare utilization than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 especially from the public sector, to resolve the unmet medical needs in regions with low healthcare accessibility. From the user's perspective, it is crucial to enhance patient convenience by providing services such as home health care and mobile medical vehicles, as well as establishing remote medical consultations and prescription systems, there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healthcare services from a "provider" standpoin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role of public health centers to provide essential healthcare services within the region and to strengthen primary ca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rimary care physician system which can prevent functional overlap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Furthermore,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in healthcare, urgent measures are needed to compensate health workers and medical institutions to provide healthcare services in medically underserved areas.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address the disparities in health care accessibility and the overall inequality and unfairness existing throughout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The ultimate goal is to minimize individuals' experiences of unmet medical need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opulations health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Keywords : Unmet Medical Needs, Healthcare Accessibility, Availability of Medical Resources, Physical Accessibility, Multilevel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Student Number : 2020-24696
본 연구는 지역의 의료접근성이 개인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인 수준과 지역 수준으로 나누어 다수준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의 미충족의료 경험,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필요 요인, 활동 요인을 파악하였고, 지역의 특성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자료를 사용하여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요인과 의료접근성 지표를 산출하였다.

2021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응답자 229,242명 중 미충족의료를 경험한 이들은 9,834명(5.27%)이었다. 그 중에서 의료접근성에 의한 미충족의료 경험은 822명(8.36%)에 달하였으며, 거주지역에 따른 미충족의료 경험율은 농어촌지역(6.23%), 중소도시(5.05%), 대도시(4.69%)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접근성의 미충족의료 경험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 수준과 개인 수준으로 다층화된 빈 모형과 5개의 모형을 설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모형에서 지역 수준의 영향력은 6~7%대로 나타났으며, 빈 모형에서 지역 수준의 영향력이 7.1%로 가장 컸고, 개인 수준, 재정자립도, 의료기관까지의 도보이동거리 변수를 투입한 모형과 개인 수준, 재정자립도, 의료기관 서비스권역 내 거주인구 비율 변수를 투입한 모형이 6.1%로, 지역 수준의 영향력이 가장 작았다.

분석 결과, 지역 수준에서 유의했던 변수는 보건소 수, 종합병원까지의 도보 이동거리, 종합병원·보건소 서비스권역 내 거주인구 비율이었다. 개인 수준의 변수와 재정자립도를 통제하고, 도보 이동거리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종합병원까지의 이동거리가 증가할수록 미충족의료 경험이 증가하는 양(+)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자원 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는 보건소 수가 증가할수록 미충족의료 경험이 증가하는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의료기관 서비스권역 내 거주인구 비율 변수를 투입한 경우, 보건소 서비스권역 10km내 거주인구 비율이 클수록 미충족의료 경험이 증가하는 양(+)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종합병원의 접근성 향상은 미충족의료 경험의 해소에 기여하지만, 보건소는 이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자원의 가용성보다는 의료기관까지의 물리적 접근성이, 지역 환경 및 특성보다 이용자 개인의 특성이 의료이용에 더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미충족의료를 해소하기 위해 정책 개입,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지원을 강조한다. 먼저 이용자 관점에서 환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방문 의료서비스, 이동진료 차량 등을 제공하고, 비대면 진료 및 처방제도를 정착시키는 등 의료서비스 제공의 관점에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급자 관점에서 의료기관 간 기능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보건소 역할을 재정립하여 지역 내 필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차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주치의제도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지역 간 의료편차를 줄이기 위해 의료취약지 지역에 의료기관 및 의료인력에 대한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의료접근성의 편차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 전반의 불평등과 비형평성을 해소할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미충족의료 경험을 최소화하고, 국민의 건강 결과와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어 : 미충족의료, 의료접근성, 의료자원의 가용성, 물리적 접근성, 다수준 로지스틱스 회귀분석

학 번 : 2020-24696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1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