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노인에서의 노쇠 관련요인과 의료이용에의 영향 : Factors related to frailty and the effects on medical use among the Korean elderl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민설

Advisor
김홍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노쇠의료이용의료비노인실태조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8. 김홍수.
Abstract
As the population ages, the importance of healthy aging to maintain function in old age is being emphasized. Frailty is a state in which intrinsic capacities decrease with aging and become vulnerable to various stresses. When frailty deteriorates, it is easy to progress to a state of permanent disability. Thus, for healthy aging, it is very important to screen frailty early and prevent deterior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factors related to frailty. In particular, in a trend where a comprehensive model of frailty is being emphasized,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related factors in a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way.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rapidly increasing elderly medical use has become a subject of important policy atten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edical use of frail elderly, who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health-related events.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frailty-related factors mainly approached with individual factors, and few studies have dealt with factors in multiple domains. In addition, many studies on frailty and medical use were conducted overseas, while domestic studies were limited to a single community or a specific age group.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related to frailty using representative and up-to-date domestic data,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frailty on medical use when considering these factors.
As research data,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9819 people. In the frailty-related factor analysis, each variable belonging to demographic, physical, cognitive-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relationship with frailty, a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ailty on medical use,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health checkup participation, outpatient service use, inpatient service use, and medical expense expenditure. And the relationship with frailt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onfi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15.0% of the total elderly in Korea were frail, and 53.1% were in pre-frail state.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nual household income, and contact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were found to be factors related to frailty in the demographic and social domains. Polypharmacy, visual impairment, and chewing function in the physical domain were also found to be related.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cognitive psychological domain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frailty, and in the environmental domain, som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living convenience in housing. In a multivariate analysis to confirm the effect of frailty on medical use, it was found that frailty had an effect of lowering the use of health checkup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a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In univariat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railty increased outpatient service use and medical expenditure,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frailty by analyzing frailty-related factors of multiple domains using dat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elderl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effect of frailty on medical use in the elderly in Korea,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frailty in each service type. If follow-up studies with prospective intervention and studies including detailed medical use data are conduct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effectively to the policies for frailty prevention and medical use management.
고령화에 따라 노년기에도 기능을 유지하는 건강 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노쇠는 노화에 따라 내재적 능력이 저하되어 여러 스트레스에 취약해지는 상태로, 악화 시 영구적인 장애 상태로 빠지기 쉽다. 건강한 노화를 위해서는 노쇠를 조기에 선별하고 악화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노쇠와 관련된 여러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노쇠의 포괄적 모델이 강조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는 관련 요인 또한 포괄적, 다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급증하는 노인 의료이용이 중요한 정책적 관심의 대상이 된 상황에서, 건강 악화 스트레스에 특히 취약한 노쇠 노인의 의료 이용을 확인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노쇠의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단일 요인 또는 개별 영역 내에서 접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다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노쇠와 의료이용에 대한 연구는 해외 연구가 다수로, 국내 연구는 일개 지역사회 또는 특정 연령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최신의 국내 자료를 이용하여, 노쇠에 대한 다면적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노쇠의 의료이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결측값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총 981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음이항 회귀분석,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노쇠 관련 요인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신체적, 인지 심리적, 환경적 영역에 속하는 각 변수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노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노쇠의 의료이용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건강검진, 외래 서비스, 급성기 입원 서비스 이용 및 의료비 지출로 선정하여 독립변수인 노쇠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노인 중 전체의 15.0%가 노쇠 상태이며, 전 노쇠 상태는 53.1%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영역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연간 가구 소득, 가족 및 지인과의 왕래 등이, 신체적 영역 내에서는 다약제 복용, 시력, 저작기능 등이 노쇠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인지 심리적 영역의 우울 및 인지기능 또한 노쇠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환경적 영역 내에서는 주택의 노인 생활 편의성에서 일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의료이용에 대한 노쇠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노쇠가 건강검진 이용률은 낮추고 급성기 입원은 증가시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노쇠가 외래 서비스 이용 및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면적 요인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사용하여 국내 노인의 다면적 노쇠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노쇠에 대한 포괄적 평가 및 중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노인에서 노쇠의 의료이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서비스 유형별로 노쇠의 영향이 나타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전향적 중재 연구 와 구체적인 의료이용 자료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노쇠의 예방 및 의료이용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0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5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