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Aspects of Post Position Particles' Use in Spoken Korean by Native Japanese Learn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기노신사쿠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구어에서의 조사 사용구어에서 사용되는 조사조사 오류 분석조사 사용의 특성조사 오류의 특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3. 8. 구본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spect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use in spoken Korean by native Japanese learners, to reveal each characteristic, and to provide base data necessary to rebuilding post position particle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in Japanese Korean education. This thesis is divided in five chapter, and each substance is as in the following.
Chapter I first argu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thesis.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clarified in response to the lack of research related to the use of postpositional particles use in spoken Korean and the demand for learning spoken Korean in Japan. The advanced researche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postpositional particles use by Japanese Korean learners(included errors analysis), and errors analysis of Korean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thesis, there need three typ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use of various postpositional particle other than case-marking postpositional particle, for the use of postpositional particle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s, and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use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 spoken language. In this thesis, a total of 35 surveys that re-classified 26 beginner-levels postpositional particle according to meaning and function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a total of 56,664 phrases(initial 18,819 words, intermediate 18,684 words, advanced 19,161 words) were prepared through interviews with a total of 80 research participants.
Chapter II discussed to analyze the pattern of postpositional particle use in Korean spoken language.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Korean spoken languag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spoken language, and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and forms used in spoken language were examined, respectively. Next, in Section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 were clarifi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error in spoken language, the error range was set until the automatic processing stage was reached beyond the controlled processing stage, and the types of predictable investigative error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effects of target words and mor. Finally, in Section 3,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postpositional particle education in Japan was analyzed through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to lay the basis for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in the textbooks. In addition, while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the presentation or explanat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for each textbook currently used in Japan, the explanation related to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is richly described, but the presentation of 이랑 or abbreviations and abbreviations mainly used in spoken language is not sufficient.
Chapter III analyzed the patterns of postpositional particle use in spoken language. First, Section 1 described in detail the method of collecting spoken language data and the nature of the collected spoken language data among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described in Chapter I Section 3 before examining the usage pattern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choosing an interview as a method of collecting spoken materials, the subject and selection of questions used in the interview, the type of spoken language of the interview,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materials (bidirectional formality general: private content). In Section 2, the pattern of postpositional particle use in spoken languag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uses and the ratio of use according to the type of postpositional particle and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The number of use by postpositional particle type increases as the learning level increases, and the access postpositional particle shows a similar pattern regardless of the learning level, while the use rate is 65:30:5 regardless of the learning level. The number of uses according to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was the highest among the case studies, with 이 among the case studies, 은 during the supplementary investigation, and 이나 during the access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use of the subject case investigation 이 was only 35%, but it exceeded 70% when the objective case investigation 을 and the sub-fire investigation 에 were included. If 도 was included in 은 in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the proportion in use exceeded about 90%, and some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accounted for almost the majority of the investigation use. Subsequently, Section 3 examined the usage pattern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each postpositional particle item by meaning and function, focusing on postpositional particles with two or more meanings and functions. In all postpositional particle items, as the level of learning increased, various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were used, while more than 90% of the obje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에서, descriptive postpositional particle 이다, sub-fire postpositional particle 만 were used only with the most basic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regardless of the level of learning. Finally, in Section 4,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postpositional particle and use were examined. First, it is u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ostpositional particle presentation in textbooks.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was largely related to the fact that beginner learners used 하고 rather than 이랑 and, ㄴ and ㄹ, which is an abbreviation of ㄴ and ㄹ.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use of descriptive classification 이다 or supplementary 이나 was very small was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presentation of various uses of 이다 or presentation of supplementary 이나 itself. Second, it is a biased use between postpositional particles with similar meanings and functions. In particula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ere well seen between the similar meanings and functions present in the sub-shooting postpositional particle 으로 and 에. It was revealed that 으로 is well used a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means and qualifications, while에 is well used a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direction and cause of progress. Third, it is the use of research that cannot escape the language habits acquired from the mother language. In the use of all or some meanings and functions of 이, 을, 만, and 이나, unique meanings and functions that do not exist in Japanese were not well used because they could not escape the habit of using the parent Japanese.
Chapter IV analyzed the patterns of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in spoken language. First, in Section 1, before examining the usage pattern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we discussed how to extract errors from spoken data of 9,838 words including the use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n particular, the reliability of error judgment was increased by ask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to determine whether errors were judged for omissions that often appear in spoken languages. The size of error data prepared through this is a total of 528 words (238 beginner words, 150 intermediate words, and 140 advanced words). In Section 2, the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 pattern in spoken languag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rrors to the number of uses, the ratio within errors, and the error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postpositional particle and the postpositional particle item. The ratio within errors by postpositional particle type showed that some postpositional particle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total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in all postpositional particle types. In the case of the case study, the proportion of errors in the subject postpositional particle 이 was 50.14%, and four case studies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case study error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errors in the side shooting postpositional particle 에, the purpose shooting postpositional particle 을 and the side shooting postpositional particle 에 In the auxiliary investigation, the ratio of errors in 은 was 76.27% and two auxiliary investigation errors along with Do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auxiliary investigation errors. In the connection postpositional particle, the error ratio of 이나 was 91.11%, and two connection postpositional particles along with 이랑 accounted for 100% of the total connection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The error rates for each postpositional particle item were the highest at 8.25%, 4.57%, and 18.14%, respectively, in the subject postpositional particle 이, in the supplement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 and 이나 in the access postpositional particle.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error rates of the subje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이 and the combined type 게, the obje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을 and the abbreviated ㄹ, the complement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 and the abbreviated ㄴ, the error rates of 게 and ㄴ were lower than 이 and 은. On the other hand, ㄹ was usually used in the form of 걸, but the error rate was very high compared to 을. Section 3 examin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each postpositional particle and the error pattern according to the non-grammar elements, that is, the form, replacement, omission, and addition,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 Morphological errors were mainly shown well at the beginner level. In general, morphological errors appear in the form of heteromorphic errors, and errors were see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m, while if the morphological 가 had a phonological similarity to the Japanese postpositional particle, 이 should be used, but the error of misusing 가 appeared in one direction. Replacement errors are errors that appear a lot at all learning levels. Mainly, error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more appeared at the beginner level, and error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target word appear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errors in the use of the subjective investigation 이, the objective investigation 을, and the sub-shooting investigation ㄹ에, because they did not consider the air relationship with the following words. Omitted errors were well shown at all learning levels as they analyzed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 patterns in spoken language. In most cases, it was considered a natural omission due to the nature of spoken language, but it was often omitted at the back when it was necessary to use it twice in a row, especially in relation to 은 re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ntrast or 도 representing the same meaning and function.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speak in the highest formality, Hapsho, but contrary to formality, errors were often seen due to excessive omission of investigation. In Section 4,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earners'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were clarified based on the discussion in Section 3. First, it is an error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grammar rules. The error was well shown in the form error of the connection postpositional particle 이나, the replacement error of 에 and 에서 re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lace, and the replacement error of 에 re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ime. Second, it is an error caused by the negative transition of more habits. The error was well shown in the replacement error of the auxiliary investigation 은 and the replacement error of the access investigation 이나. The replacement error of the access postpositional particle 이나 is the first error revealed through this thesis. Third, it is an err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The error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One is the fallacy related to immediacy. The error was well seen in the omission error of 도 re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ntrast, just like 은 re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Aureum.
이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을 사용과 오류의 두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일본의 한국어교육에서 조사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을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먼저 이 연구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그간 조사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과 관련된 연구의 부재와 일본의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에 대한 수요에 따른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분명히 하였다. 그다음에 선행연구를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관련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관련 연구의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 사용과 관련하여 ① 격조사 외의 다양한 조사의 사용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② 학습 수준에 따른 조사 사용에 대한 유사통사적인 교수‧학습 자료, ③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에 대한 실용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급 수준의 조사 26개를 의미‧기능에 따라 다시 분류한 총 35개의 조사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총 80명(초급 35명, 중급 25명, 고급 20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총56,664어절(초급 18,819어절, 중급 18,684어절, 고급 19,161어절)의 구어 자료를 마련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전제적인 논의를 마련하였다. 먼저 1절에서 구어에서의 한국어 조사 사용의 특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 한국어 구어의 특성과 유형, 한국어 조사의 분류 체계와 구어에서 사용되는 조사 항목과 형태를 각각 살펴보았다. 그다음으로 2절에서는 한국어 조사 오류의 특성을 분명히 하였다. 구어에서의 오류 특성에 따라 통제적 처리 단계를 넘어 자동적 처리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를 오류 범위로 설정하고 목표어와 모어의 영향에 따라 예측이 가능한 조사 오류의 유형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일본에서의 한국어 조사 교육 현황을 일본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통해 분석하여 조사 교수‧학습 내용의 실제를 밝히고 교재에서 제시 빈도의 영향에 따른 오류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현재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는 교재마다 조사 항목의 제시나 설명에 차이가 큰 가운데 전체적으로 조사 오류와 관련된 설명은 풍부하게 기술되는 반면,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랑이나 생략 및 축약형의 제시는 충분하지 않음을 밝힐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1절에서는 조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Ⅰ장 3절에 기술한 연구 대상 및 방법 중 구어 자료의 수집 방법과 수집된 구어 자료의 성격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구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인터뷰를 선택한 이유,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의 주제와 선정 이유, 인터뷰의 구어 유형적 특성과 이에 따른 구어 자료의 특성(양방향 격식체 일반: 사적인 내용)에 대해 언급하였다. 2절에서는 구어에서의 조사 사용 양상을 조사 유형과 조사 항목에 따라 사용 수 및 사용 비율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사 유형에 따른 사용 수는 격조사와 보조사는 학습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고 접속조사는 학습 수준과 상관없이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사용 비율은 학습 수준과 상관없이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가 65:30:5의 비율로 사용됨을 밝혔다. 조사 항목에 따른 사용 수는 격조사 중 주격조사 이, 보조사 중 은, 접속조사 중 이나가 가장 많았다. 또한, 격조사는 주격조사 이의 사용 내 비율은 35%에 불과하였으나 목적격조사 을과 부사격조사 에를 포함하면 70%를 넘었다. 보조사도 은에 도를 포함하면 사용 내 비율이 약 90%를 넘어섰으며 격조사와 보조사는 일부의 조사 항목이 조사 사용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에 3절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의미‧기능을 지닌 조사를 중심으로 각 조사 항목의 의미‧기능별 사용 양상과 사용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학습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해당 조사가 지닌 다양한 의미‧기능을 사용하는 양상이 보인 반면, 목적격조사 을, 서술격조사 이다, 부사격조사 에서, 보조사 만은 90% 이상이 학습 수준과 상관없이 해당 조사가 지닌 가장 기본적인 의미‧기능만으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사용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교재에서 조사 제시 빈도에 따른 사용이다. 특히 초급 학습자가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접속조사로서 이랑이 아니라 하고를 사용하고 목적격조사 을의 축약형인 ㄹ이나 보조사 은의 축약형인 ㄴ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데에는 일본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해당 조사가 제시된 빈도가 크게 관련이 있었다. 또한, 서술격조사 이다나 보조사 이나의 사용 수가 매우 적은 것도 이다의 다양한 활용에 대한 제시나 보조사 이나 자체에 대한 제시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임을 밝혔다. 둘째, 유사한 의미‧기능을 지닌 조사 사이의 편중된 사용이다. 특히 중급과 고급 학습자가 부사격조사 으로와 에에 존재하는 유사한 의미‧기능 간에서 잘 보였다. 으로는 수단과 자격의 의미‧기능으로 잘 사용되는 반면, 에는 진행 방향과 원인의 의미‧기능으로 잘 사용됨을 밝혔다. 셋째, 모어에서 습득된 언어 습관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조사 사용이다. 보조사 이, 을, 만, 이나의 전체 혹은 일부 의미‧기능의 사용에 있어 모어인 일본어의 조사 사용 습관에서 벗어날 수 없으므로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는 고유의 의미‧기능을 잘 사용하지 못하였다.
Ⅳ장에서는 구어에서의 조사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1절에서 는 조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조사 사용이 포함된 9,838어절의 구어 자료에서 오류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구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생략에 대한 오류 판정 여부를 한국어교육 전문가에 요청하여 오류 판정의 신뢰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마련된 오류 자료의 규모는 총 528어절(초급 238어절, 중급 150어절, 고급 140어절)이다. 2절에서는 구어에서의 조사 오류 양상을 조사 유형과 조사 항목에 따라 사용 수 대비 오류 수, 오류 내 비율, 오류율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사 유형별 오류 내 비율은 모든 조사 유형에서 일부 조사가 전체 조사 오류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는 특성이 보였다. 격조사는 주격조사 이의 오류 내 비율이 50.14%이며 부사격조사 에, 목적격조사 을, 부사격조사 에서의 오류 내 비율을 합하면 4개의 격조사 오류가 전체 격조사 오류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보조사는 은이 오류 비율이 76.27%이며 도와 함께 2개의 보조사 오류가 전체 보조사 오류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접속조사는 이나의 오류 비율이 91.11%이며 이랑과 함께 2개의 접속조사로 전체 접속조사 오류의 100%를 차지하였다. 조사 항목별 오류율은 격조사 중 주격조사 이, 보조사 중 은, 접속조사 중 이나의 오류율이 각각 8.25%, 4.57%, 18.14%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사와 관련하여 주격조사 이와 결합형 게, 목적격조사 을과 축약형 ㄹ, 보조사 은과 축약형 ㄴ과의 오류율을 비교하면 게와 ㄴ은 이와 은보다 오류율이 낮았다. 반면, ㄹ은 대개걸의 형태로 사용되었는데 을에 비해 오류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3절에서는 각 조사의 의미‧기능과 비문법적인 요소, 즉 형태, 대치, 생략, 첨가에 따라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오류상의 특성을 밝혔다. 형태 오류는 초급 수준에서 주로 잘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형태 오류는 이형태 오류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형태 간에서 양방향으로 오류가 보인 반면, 주격조사 이처럼 이형태 가가 일본어 조사와 음운적 유사성을 지닌 경우 이를 사용해야 하는데 가를 잘못 사용하는 오류가 일방향으로 보였다. 대치 오류는 모든 학습 수준에서 많이 나타난 오류이다. 주로 모어의 영향에 따른 오류는 초급 수준에서 많이 나타났고 목표어의 영향에 따른 오류는 중급과 고급 수준에서 나타났다. 특히 주격조사 이, 목적격조사 을, 부사격조사 에 등은 후행 용언과의 공기관계를 고려 하지 못하여 잘못 사용한 오류가 많이 보였다. 생략 오류는 구어에서 조사 오류 양상을 분석한 만큼 모든 학습 수준에서 잘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구어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생략으로 간주되었으나 지금 말하는 내용에 집중하는 바람에 특히 대조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은이나 똑같이 아우름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도와 관련하여 두 번 연달아 사용해야 할 때 뒷부분에서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보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장 높은 격식체인 합쇼체로 말하는데 격식성과 상반되게 지나치게 조사를 생략하여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보였다. 4절 에서는 3절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본인 학습자의 조사 오류상의 특성을 분명히 하였다. 첫째, 문법 규칙의 단순화에 따른 오류이다. 해당 오류는 접속조사 이나의 형태 오류, 처소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에와 에서의 대치 오류, 시간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에의 대치 오류에 잘 나타났다. 둘째, 모어 습관의 부정적인 전이에 따른 오류이다. 해당 오류는 보조사 은의 대치 오류와 접속조사 이나의 대치 오류에 잘 나타났다. 접속조사 이나의 대치 오류는 이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진 오류 이다. 셋째, 구어의 특성에 따른 오류이다. 해당 오류는 구어의 특성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즉각성과 관련된 오류이다. 해당 오류는 대조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은과 똑같이 아우름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도의 생략 오류에서 잘 보였다. 또 다른 하나는 상황 의존성과 관련된 오류이다. 해당 오류는 주격조사 이와 목적격조사 을의 생략 오류에서 잘 보였다.
Ⅴ장에서는 1절에서 먼저 지금까지 내용을 장별로 요약 제시하고 2절에서는 한국어교육적 시사점과 의의를 밝힌 다음에 마지막으로 3절에서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4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3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