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지적 중재 수업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on Peer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Attribution Bias and Emotion Regulation
-귀인 편향과 정서조절능력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수진

Advisor
은지용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또래관계귀인 편향적대적 귀인 편향정서조절능력인지적 중재사회적 정보처리 이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3. 8. 은지용.
Abstract
The term Back to School Blues traditionally refers to the anxiety experienced by school of resuming school after a prolonged break. However, post-pandemic, it now describes the apprehension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ience as they anticipate their return to school. Due to the gap caused by COVID-19, many students face a myriad of challenges, most notably in forming peer relationships. Having experienced social distancing and isolation during the pandemic, these students must now adapt to peer interactions in school, a place to return after a significant gap for returning students, where as a completely new place to adapt for the new comers.
Not surprisingly, peer relations do not always result in positive outcomes that a variety of peer conflicts can emerge, potentially causing difficulties within these relationships. Temporary or easily resolvable conflicts can provide beneficial experiences, fostering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skills. Nevertheless, if such conflicts are persistent and prolonged, they can lead to multiple negative impacts, including school maladjustment. This challenge is accentuated for students who, because of the pandemic, have missed regular peer interactions in recent years.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and support during struggles with peer relationships have become crucial.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peer relationship issues using a socio-psychological approach. Specifically, using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odel, the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perceiving interpersonal situations and forming attitudes towards peers. According to this model, an individual facing situational cues undergoes cognitive stages to select and implement social behaviors. The manner in which provided information is processed can determine whether a seamless interaction ensues or attribution bias and maladaptive behaviors emerge. If students creation of a hostile bias towards peers is linked to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odel, this model can be harnessed to alleviate such biases, fostering improvements in relationships.
With these objectives in mind,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primary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in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to peer relationships. It also seeks to assess the efficacy of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designed to enhance this conne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proposed:
How do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within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influence peer relationships?
【Hypothesis 1-1】 A pronounced hostile attribution bias is likely to lead to the formation of negative peer relationships.
【Hypothesis 1-2】 A higher emotion regulatio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form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Hypothesis 1-3】 Emotion regulation will moderate the influence of hostile attribution bias tendencies on peer relationships.
Do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significantly impac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within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and peer relationships?
【Hypothesis 2-1】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will enhance emotion regulation.
【Hypothesis 2-2】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will reduce hostile attribution bias.
【Hypothesis 2-3】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will improve peer relationships.
The present study involved 341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from nine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wo primary questions. To validate the first question, surveys were conducted, incorporating elements such as peer relationships, attribution bias in hypothetical scenarios, emotion regulation, a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uld potentially impact peer relationships. These factors included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er bullying experiences, and classroom climate. To addres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 series of three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were conducted, followed by surveys assessing peer relations, attribution bias, and emotion regulation.
The outcomes from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ubstanti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ree major insights. Firstly, an amplified hostile attribution bias resulted in students forming unfavorable peer relationships, detrimentally affecting both trust and respect towards peers. Secondly, students with enhanced emotion regulation tended to establish more positive peer relationships. Lastly, emotion regulation serves as a moder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bias and peer relatio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impa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elements, which are pivotal to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on peer relations. As a result, the study integrated these insights into the structuring of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effectively address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class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essions,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examined using a paired-sample t-test. The results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 enhancement in emotion regulation post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The statistical analysis emphasize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are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the integrated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withi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While these classes significantly influenced peer relations, particularly fostering trust among peers, they not induce a noticeable change in respect towards peers. This outcome could suggest that the status among peer groups is not subject to rapid change but rather persists over a more extended period. The brief three-session may have been insufficient to induce tangible changes in relationships.
In light of these conclusions, the study emphasizes two main implications. First, th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odel clarifies how students perceive and decipher ambiguous social situations, which subsequently leads to the emergence of attribution biases and related behaviors. Moreover, research indicates that students inherent emotion regulation play a critical role in mode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attribution bias and peer relations. Therefore, in efforts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bo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acets of the information-processing model is recommended.
Second, in the context of civic education, there exists a pronounced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By adopting this approach, biases originating from the information-processing phase can be addressed, leading to the mitigation of peer conflicts and the enhancement of peer relations. Central to the cognitive intervention classes is the principle of cognitive restructuring. This method focuses on identifying and remedying the cognitive origins of negative emotions. In doing so, it not only mitigates biases but also facilitates shifts in emotions and attitudes. Its importance becomes evident when aligned with the tenets of controlled thinking and metacognition, both long-standing pillars of civic education. Encouraging students to engage critically with daily situations to instigate positive changes provides substantial insights for advancing civic education.
Back to School Blues. 오랜 휴식 이후 학교로 복귀하는 상황에 대한 부담을 일컫는 이 용어는 이제 팬데믹이 끝나고 학교에 돌아가기를 주저하는 아동·청소년의 불안을 지칭하게 되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학교 생활의 공백을 경험한 학령기 학생들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이다. 팬데믹 시기에 거리두기를 명목으로 사회적 고립 상태에 놓여 있었던 이들에게는 성공적인 관계 형성 경험이 부재하다. 이들은 이제야 비로소 오랜만에 돌아오는 혹은 처음으로 경험하는 학교 공간에서 또래관계 경험을 쌓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하지만, 주지하다시피 또래관계에서 언제나 긍정적인 경험만을 축적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또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래 갈등이 일시적으로 발생하거나 쉽게 해결되는 경우, 이는 갈등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는 건설적이며 긍정적인 경험이 되지만 또래 갈등의 양상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학교 부적응을 비롯한 다수의 부적 영향이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지난 몇 년 간 또래관계 형성 경험이 전무한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는 어려움이 더 가중되는 상황이다.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조기에 개입하여 적절한 도움을 주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또래관계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정보처리 모델(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odel)에 기반하여 대인 상황을 지각하고 또래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상황적 단서에 직면한 개인은 4단계의 정신적 과정을 거쳐 사회적 행동을 선택하고 실천하게 되는데, 제공된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에 따라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도, 귀인 편향과 부적응적 행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학생들이 또래에 대해 귀인 편향을 생성하는 과정이 사회적 정보처리 모델과 관련된다면, 이를 역이용하여 편향을 개선하고 관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에 주요한 인지·정서 요인과 또래관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관계성 증진 차원에서 개발한 인지적 중재 수업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의 인지·정서 요인은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1-1】적대적 귀인 편향 성향이 높게 나타날수록 또래관계가 부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가설 1-2】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정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가설 1-3】정서조절능력은 적대적 귀인 편향 성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인지적 중재 수업은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의 인지·정서 요인과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2-1】인지적 중재 수업을 통해 적대적 귀인 편향 성향이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인지적 중재 수업을 통해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 2-3】인지적 중재 수업을 통해 또래관계가 개선될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9개 초등학교 5, 6학년 3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에 대해 검증하기 위하여 또래관계, 가상적 상황을 활용한 귀인 편향,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요소(성별, 학교 성적, 또래 괴롭힘 경험, 학급 풍토)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에 대해 검증하기 위하여 3차시의 인지적 중재 수업을 실시한 후 또래관계, 귀인 편향,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대적 귀인 편향 성향이 높게 나타날수록 학생들은 부적 또래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학생들은 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하였다. 셋째, 귀인 편향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정서조절능력은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검증을 통해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에 작용하는 인지와 정서 요인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자는 3차시의 인지적 중재 수업을 구성하여 학생들에게 투입하였고, 를 통해 수업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중재 수업 후 적대적 귀인 편향의 감소 및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통계 분석 결과는 인지적 중재 수업이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의 인지·정서 요인의 통합적 개선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인지적 중재 수업은 또래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도 의미있게 작용했다. 다만, 또래관계의 하위 요인 중 또래에 대한 신뢰감을 유의미하게 변화시켰으나, 또래에 대한 존중감을 변화시키는데 미치지는 못했다. 이에 대해서는 아이들의 또래 지위는 단기간에 변화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된다는 점과, 연구자가 설정한 3차시라는 시간이 짧아 실제적인 관계 진작을 일으키지 못했다고도 유추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은 학생들이 모호한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보처리 과정 및 이로 인해 발현되는 귀인 편향과 수반하는 행동을 설명한다. 그리고 학생이 내재하고 있는 정서조절능력은 귀인 편향과 또래관계 사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또래 관계 개선을 위한 시도를 할 때 정보처리 과정의 인지·정서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민교육적 차원에서 인지적 중재 수업을 적극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정보처리 과정에서 오는 편향을 개선하고, 또래 갈등을 예방하여 또래관계 개선을 모색할 수 있다. 인지적 중재 수업의 핵심에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한 인지적 요인에 개입함으로써 편향을 개선하고 감정과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는 인지적 재구성이 있다. 이는 사고의 과정과 그 결과로 생긴 행동을 검토한다는 점에서 그간 시민교육에서 강조된 메타인지 및 통제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학생들이 일상적 상황을 깊이 사고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꾀하도록 하는 인지적 중재 수업은 시민교육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5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