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셜 미디어 중독의 심리적 기제와 치료적 개입 : Social Media Addiction: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ith a focus on self and interpersonal factors
자기와 대인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정

Advisor
권석만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셜 미디어 중독SNS 중독Bergen 소셜 미디어 중독 척도 (BSMAS)I-PACE 모델소셜 미디어 사용 기대소셜 미디어 중독 치료 프로그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3. 8. 권석만.
Abstract
Social media addiction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individuals are unable to control or regulate their social media use despite the negative consequences. Research on social media addic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regardless of the strong link it has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1)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to assess social media addiction, (2) explore the psychological pathways that lead to social media addiction through a well-established theoretical framework, and (3) identify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alleviate symptoms of social media addiction.
In Study 1, the Bergen Social Media Addiction Scale (BSMAS) developed by Andreassen et al. (2016)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among 377 Korean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BSMAS demonstrated a one-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version and exhibite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social media us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t-risk, low-risk 1, low-risk 2, and normal groups. Additionally, the ROC analysis identified a cutoff point of 21, which showed excellent sensitivity(100%), specificity(95.4%), and accuracy(96%) in identifying the at-risk group.
In Study 2, the I-PACE(Interaction of Person-Affect-Cognition-Execution) model, proposed by Brand et al. (2019), was applied to social media addiction to examine the model's suitability. Considering that social media is strongy related to self-pres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this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potential pathways that lead to social media addic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7 adults nationwide, and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self pathway, pathological narcissism influenced social media addiction through self-discrepancy and social media use expectancy.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hway, loneliness and social media use expectancy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orienta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media use expectancy was a key factor in both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hways.
In Study 3, a social media addiction treat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the findings from studies 1 and 2. A small-group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was implemented. A total of 9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while 12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only completed the survey. All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before the program (pre),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post), and one month after program completion(follow-up).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levels of social media addiction an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imilar results were found when comparing pre- and post-intervention analyses within the intervention group.
This study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developing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social media addiction and providing evidence for identifying at-risk group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ntegrated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ocial media addiction, explored psychological mechanisms leading to social media addiction, and developed a program designed to alleviate social media addi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소셜 미디어 중독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 사용 행동을 통제하거나 조절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 중독이 신체적·심리적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에도 소셜 미디어 중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소셜 미디어 중독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를 마련하고, (2) 소셜 미디어 중독을 적절히 설명해 주는 이론적 틀을 통해 관련 변인들이 소셜 미디어 중독에 이르게 되는 심리학적 경로를 탐색하며, (3) 소셜 미디어 중독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법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Andreassen 등(2016)이 개발한 Bergen 소셜 미디어 중독 척도(Bergen Social Media Addiction Scale; BSMA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 377명을 대상으로 해당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확인하여 타당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한국어판 BSMAS는 원판과 마찬가지로 1요인구조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위험군, 잠재적 위험군 1-금단 저위험, 잠재적 위험군 2- 전반적 위험, 정상군의 4계층으로 분류되었다. ROC 분석을 통해 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절단점을 탐색한 결과, 21점이 최적 절단점으로 확인되었으며 21점에서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95.4%, 정확도는 96%로 우수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Brand 등(2019)의 I-PACE 모델(Interaction of Person-Affect-Cognition-Execution model)을 소셜 미디어 중독에 적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소셜 미디어가 자기 제시 및 관계 맺기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자기 및 대인관계와 관련된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였다. 전국의 성인 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자기 경로에서 병리적 자기애와 소셜 미디어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감과 소셜 미디어 사용 기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대인관계 경로에서는 대인관계 지향성이 소셜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외로움과 소셜 미디어 사용 기대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적 요인인 소셜 미디어 사용 기대는 두 경로 모두에서 핵심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소셜 미디어 중독 증상 감소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과 2의 결과를 반영한 인지행동치료 및 동기강화상담 기반의 소규모 집단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후 연구 1에서 타당화한 척도를 토대로 참여자를 선발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통제 집단과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개입 집단은 9명, 설문조사에만 응한 통제 집단은 12명이었으며, 모든 참여자는 프로그램 시작 전(사전),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추후)에 설문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개입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소셜 미디어 중독 수준이 더 크게 감소하고, 심리적 건강이 개선되었다. 개입 집단 내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해보았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중독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마련하고 위험군 선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적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소셜 미디어 중독에 이르는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 중독을 완화할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임상적 함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8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