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어게임에서 말 이해의 동적 모형 : A Dynamic Model of Speech Comprehension in Language Gam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다정

Advisor
고성룡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언어게임LCA 모형안구 운동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3. 8. 고성룡.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언어게임에서 지시 표현의 이해 과정을 LCA 모형(Usher & McClelland, 2001)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지시 표현 중 형용사에 초점을 맞추고, 맥락 의존성이 다른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처리 차이를 모형으로 설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먼저 Frank와 Goodman (2012)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형용사가 대조적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반복 검증하였고, 그러한 경향이 크기 형용사가 색깔 형용사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Sedivy 등 (1999)의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맥락에서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안구 운동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차이가 LCA 모형의 정보 입력 파라미터와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대조의 유무라는 시각적 맥락이 형용사의 안구 운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크기 형용사의 경우 대조의 유무가 안구 운동 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이 LCA 모형의 횡적 억제 파라미터와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반면 색깔 형용사의 경우 대조의 유무에 따른 안구 운동 시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언어게임에서 안구 운동 시간에 영향을 주는 두 요인을 서로 다른 LCA 모형의 파라미터의 차이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 방법과 분석의 한계를 기술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ain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referential expressions in language games with the LCA model (Usher & McClelland, 2001).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djectives among referential expressions and tried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processing between size adjectives and color adjectives, which have different context dependencies, with the model. To this end, using the method of Frank and Goodman (2012), it was replicated that adjectives could be understood in contrast and it was verified that such a tendency was greater for size adjectives than for color adjectives. Next, using the experimental method of Sedivy et al. (1999),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ccadic latency between size adjectives and color adjectives in the same context. And it was shown that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parameters of the LCA model. In addition, we figured out whether the visual context of contrast affects saccadic latency. In the case of size adjectives, contrast affected saccadic latency and was related to the lateral inhibition parameters of the mod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lor adjectives, no difference in saccadic latency was fou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ras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two factors that affect saccadic latency in language games are explained by the different parameters of the LCA model.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al method and analysis were includ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4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