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16년 한국 정당지지자의 정치적 관용의 미시적 기초 : Analysis on Political Tolerance of the Partisans in South Korea in 2016: The Interaction Effect of Political Identity and Issue Alignment on Political Tolerance
정치적 정체성과 쟁점 선호 일관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재

Advisor
강원택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치적 관용정서적 양극화당파적 정체성당파적 정렬쟁점 선호 일관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2023. 8. 강원택.
Abstract
본 논문은 2016 년 한국 정당지지자의 당파적 그리고 이념적 정체성의 정렬 수준과 쟁점 선호 일관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들의 정치적 관용 수준이 달라질 것이라는 주장을 검증함으로써 한국 정당지지자의 극심한 정서적 양극화는 반드시 정치적 반대 집단에 대한 낮은 정치적 관용을 동반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했다. 특히, 2016 년 한국의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양당 지지자들의 당파적 정렬과 쟁점 선호 일관성의 상호작용이 이들의 정치적 관용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아가 정당지지자의 정치적 선호의 미시적 기반에 강한 당파적 정체성이 존재하는 맥락에서는 정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던 높은 수준의 쟁점 선호 일관성이 정치적 관용 수준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경험적 분석의 결과, 2016 년 한국 정당지지자의 당파적 정렬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적 관용의 수준이 감소하였다. 또한, 2016 년 한국 정당지지자의 쟁점 선호 일관성은 정서적 양극화와 정치적 관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방향성에서 상이하게 작용하였는데, 정서적 양극화를 심화시켰으나 정치적 관용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당파적 정렬과 쟁점 선호 일관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변수가 정치적 관용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기 보다는 각각 별개의 경로를 통해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조절효과 그래프를 통해서 정당지지자의 당파적 정렬의 수준이 매우 강한 맥락에서는 높은 수준의 쟁점 선호 일관성이 당파적 정렬이 정치적 관용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오히려 유의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정당지지자가 갖는 당파적 정체성과 쟁점 선호 일관성이 정서적 양극화와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효과의 유의성 및 방향성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정당지지자의 정치적 관용을 분석함에 있어서 당파적 정체성과 쟁점 선호에 관한 태도가 어떠한 제약 수준을 보이고 있는지 그 배열 방식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국 정치적 관용의 분석에 있어서 정치적 반대 집단이 정치적 선호와 성향에서 서로 차이를 갖는다는 것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 차이의 성격과 제약의 수준이 얼마나 인지적인 과정을 함의하는지의 여부가 관용 수준 결정에 중요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정당지지자 간의 극심한 정서적 양극화가 반드시 낮은 정치적 관용을 수반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정치적 관용의 미시적 기초를 분석함에 있어서 정당지지자의 정치적 정체성과 쟁점 선호의 상호작용을 보는 후속 연구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whether the extreme affective polarization of the 2016 Korean party supporters necessarily accompany low political tolerance against the out group political party. The thesis focuses on the possibility that the level of the alignment of their partisan and ideological identity and its interaction with issue preference consistency can have on their political tolerance. The thesis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high level of issue preference consistency, which was originally known to deepen affective polarization,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in the context of strong partisan identities in the political preferences of the party support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supporters partisan align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In addition, the consistency of the partisans issue preference di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level of their affective polarization and political tolerance, however, had worked differently in its direction of the effect. Finally, while the level of partisan alignment and issue align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the partisans political toleranc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variab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vertheless, the additional moderating effect graph did reveal the possibility that the high level of issue alignment could meaningfully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partisan alignment on political tolerance in the context of extreme partisan identities in the political preferences of the party supporters.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artisan identity and issue preference consistency of party supporters could work differently on their affective polarization and political tolerance. Furthermore, they also suggest that it is crucial to explore the level of constraints between partisan identity and issue preference when it comes to analyzing political tolerance of the party supporters. This thesis argues that examining how much of those constraints imply cognitive process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sans political tolerance even in the context of strong political polarization. To sum up,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xtreme affective polarization between party supporters does not necessarily involve low political tolerance, and the further academic efforts in addressing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litical identity and issue preference of party supporters are needed in analyzing the micro basis of political tolera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