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 연구 : A Study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for Beginners in Socie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소현

Advisor
최현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은퇴은퇴준비사회초년생인식역량실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3. 8. 최현자.
Abstract
Although the need for retirement is accelerating due to rapid sociocultural changes, demographic changes such as falling birth rates and aging, pension reform and job insecurity, it is difficult to think urgently about retirement. Research is also needed to prepare for retirement of the beginners in society, who have started economic independence as they start social life and earn regular financial income, but existing studies on retirement preparation have been limited to the financial sector. Accordingly,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d the area of retirement preparation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retirement preparation of social beginner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impact of retirement preparation recognition and competence.
To this end,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d retirement preparation areas such as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work and soci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hips, residential environment, mental stability, finance, and health.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y Question 1]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necessity and importance), competency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area of retirement preparation. [Study Question 2] confirm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competency, and status. [Study Question 3] attem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competencies, perceptions, and actual status of beginners in society by retirement preparation area.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40 beginners in society in their 20s and 30s with monthly income within 5 years of employment, and the main results derived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beginners in society most often postponed retirement preparations within the next five years, and generally delayed retirement preparations after their 30s. Overall, the need for all retirement preparation areas was recognized, but in response to how important each retirement preparation area was, the importance of areas closely related to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such as health, finan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as high and the deviation was low. The level of competency requir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was in the order of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and in the case of the actual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area, the level of retirement prepar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he health and financial area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average level of retirement preparation was the lowest, and the deviation was the largest compared to other areas, 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actual retirement preparation between beginners of socie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 age, job,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time of expected retirement, gender, education, and income were considered importa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dents' retirement preparation area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ork and soci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 finance /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mental stability, health /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retirement preparation capabilities, retirement preparation knowled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importance,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attitude had a different impact by area.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competency of retirement preparation was different,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ach retirement preparation area, the actual level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impact of perceived importance were also different.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and importance of each retirement preparation area, retirement preparation competency, and retirement preparation status by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importance led to actual retirement preparation. Second, not only should beginners in society be aware of the area of retirement preparation. Third, the perceived importance in all areas affected retirement preparation, especially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a, where it was difficult for beginners in society to prepare in reality. Therefore,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for each area to help beginners prepare for retirement,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that each area considers important should be increas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retirement preparation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al competen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did not reflect reality on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ers in society, more abundant research results can be derived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beginners in society if these areas are supplement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scale of retirement preparation competency was deeply related to financial competency, so it did not cover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number of scales itself was small, so stable reliability was not obtained. Nevertheless, it also showed an impact on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non-financial area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a spillover effect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reas. In addition, since the status of retirement prepar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as limited to a single question for each retirement prepar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by organizing the status of each retirement preparation area in depth and various scales.
급격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의 빠른 진행 등 인구학적인 변화, 국민연금의 재정악화로 인한 연금 개혁 가능성 그리고 고용 불안정성 등으로 은퇴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음에도 사회초년생들은 은퇴준비를 시급하게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정기적인 금전소득을 얻게 됨에 따라 경제적 독립을 시작한 청년세대인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를 위한 연구도 필요하나 기존의 은퇴준비 관련 연구는 은퇴를 앞둔 중장년층이나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재무적 영역에 국한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은퇴준비를 은퇴생활의 관점에서 삶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사회초년생들의 은퇴준비 현황과 은퇴준비 관련 인식 및 역량을 살펴보고 이들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은퇴준비의 영역을 여가 및 취미활동, 일 및 사회활동, 사회관계, 주거환경, 마음의 안정, 재무, 건강 등으로 나누어 각 은퇴준비 영역별로 은퇴준비 인식, 역량, 실태를 살펴보며, 인식과 역량이 영역별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가 어떠한지 은퇴준비에 대한 인식(필요성, 중요성), 역량(지식, 태도, 기능), 영역별 실태를 살펴보고, [연구문제 2]에서는 사회초년생의 특성에 따라 은퇴준비 인식, 역량, 실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은퇴준비 영역별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 역량, 인식 및 실태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취업한 지 5년 이내에 현재 월소득이 있는 20 ~ 30대 사회초년생 5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초년생은 은퇴준비를 향후 5년 이내로 할 것이라고 연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체로 30대 이후로 은퇴준비를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모든 은퇴준비 영역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은퇴준비 영역별로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응답에서는 건강, 재무, 주거환경 등 재무적인 은퇴준비와 관련이 깊은 영역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편차도 낮게 나타났다. 은퇴준비에 필요한 역량의 수준은 지식, 기능, 태도 순이었으며, 영역별 은퇴준비 실태의 경우 건강과 재무적 영역에서 은퇴준비를 하고 있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환경 영역의 경우 은퇴준비를 하고 있는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다른 영역에 비해 편차도 가장 커 은퇴준비 인식에 비해 사회초년생 간 실제 준비에서 차이가 큼을 시사하였다.
둘째, 사회초년생의 특성(성별, 연령, 직업, 학력, 월평균 소득, 예상 은퇴시점)에 따라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 인식, 역량, 실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성별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일수록, 학력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일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은퇴준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식 수준은 높은 반면 은퇴준비 기능의 역량과 은퇴준비를 실제로 하고 있는 수준이 낮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셋째, 응답자의 영역별 은퇴준비 실태와 은퇴준비 역량 및 영역별 인식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경제적 영역(일 및 사회활동, 사회관계, 재무), 넓은 의미의 건강 영역(여가 및 취미활동, 마음의 안정, 건강), 그리고 주거환경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은퇴준비 역량을 기준으로 볼 때, 은퇴준비 지식은 지각된 중요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은퇴준비 기능은 은퇴준비 실태에 영향을 미치고 은퇴준비 태도는 영역별로 상이한 영향을 보였다. 은퇴준비 영역별로 은퇴준비의 현황과 인식 및 역량과의 관계가 상이하였으며, 은퇴준비 역량에 따라서 은퇴준비 영역별 지각된 중요성과 실제 은퇴준비 수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각된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또한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은퇴준비 영역별 필요성과 중요성 인식, 은퇴준비 역량 및 영역별 은퇴준비 실태와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은퇴준비 영역별로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였으나 대체로 지각된 중요성이 실제 은퇴준비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 응답한 사회초년생들은 대체로 재무적 영역에 집중하여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은퇴준비가 재무적 영역에 국한되지 않으며 종합적인 영역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특히 사회초년생이 현실적으로 준비하기에 어려움이 큰 주거환경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지각된 중요성이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영역별로 상이한 접근이 필요하며, 은퇴준비 지식, 태도, 기능의 역량이 종합적으로 고려되면서 은퇴준비 중요성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회초년생의 특성에 대해 한정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 인구통계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사회초년생의 은퇴준비에 대해 보다 풍부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은퇴준비 실태의 경우 은퇴준비 영역별로 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은퇴준비 영역별 실태를 심층적이고 다양한 척도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은퇴준비 역량의 척도가 재무적 역량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은퇴준비와 관련한 다양한 측면의 역량을 포괄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재무적 영역의 은퇴준비 인식과 실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준비 영역간 전이효과(spillover effect)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은퇴준비 영역간 은퇴준비의 성격은 다르지만 상호영향이 가능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6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