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an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 우리나라 고형 장기 이식 환자의 암 발생 현황 및 위험 요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지수

Advisor
안요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alignant neoplasmTransplantImmunosuppressa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3. 8. 안요한.
Abstract
With the number of solid organ transplantations (SOT) in Korea increasing, interest in long-term complications in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SOTRs) is also increasing. Malignancy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recipients and the use of immunosuppressants or cancer-causing virus infection is considered as risk factors. Also, it is known that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of canc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neral population. So here we reported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ancers in Korean SOTRs.
Provided personalize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we compared incidence of malignancies after SOT to general population by standardized incidence ratios (SIR) and hazard ratio (HR).
Total 25,330 (male:female 15157:10173, median age 48)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2003 to 2019, of which 1,392 (5.5%) developed cancers. SOTRs had 2 fold higher risk (SIR 2.31, 95% confidence intervals (CI) 2.19-2.44). The highest risk cancer is Kaposi sarcoma (SIR 159.14, 95% CI 90.96-258.43) followed by non-hodgkin lymphoma (SIR 11.21, 95% CI 9.39-13.29), and non-melanoma skin cancer (SIR 9.94, 95% CI 7.91-12.34). Of 1,304 patients, under 19 years old, 49 (3.8%, SIR 36.31, 95% CI 26.86-48.01) developed cancer at median age 10, of which 35 were non-hodgkin lymphoma (SIR 212.14, 95% CI 147.76-295.03). Cancer incidence was the highest after 1-3 years of transplantation (315 of 1151, SIR 1.84, 95% CI 1.65-2.06). The use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inhibitors, such as sirolimus or everolimus, as maintenance agents increased the cancer risks compared to the use of MMF (HR 1.76, 95%CI 1.01-3.07).
Cancer risks after SOT were higher than general population especially under 19 years old. As types of cancer were different from general population, close monitoring and screening is necessary in SOTRs. Also, other risk factors unanalyzed such as EBV infection should be considered.
최근 국내 장기 이식 시행 건수가 증가하면서, 장기 이식 수혜자의 장기적인 합병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악성 종양은 장기 이식 수혜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면역억제제의 사용과 암 유발 바이러스 감염 등이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장기 이식 수혜자들에서는 자주 발생하는 암과 그 위험요인은 일반 인구와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장기 이식 수혜자에서의 암 발생 현황과 그 위험 요인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국민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해 일반 인구와 장기 이식 수혜자 간의 암 발생 빈도를 비교하고 표준화 발생 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s, SIR)와 95% 신뢰구간 (95% confidence intervals, 95%CI), 위험비 (harzard ratio, HR)로 제시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총 25,330명 (남:여 15,157:10,173, 중간 연령 48세)의 환자가 장기 이식을 받았고, 그 중 1,392명(5.5%)에서 암이 발생하였다. 장기 이식 수혜자들은 일반 인구 대비 암이 발생할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SIR 2.31 95%CI 2.19-2.44) 가장 발생 위험이 높은 암은 Kaposi 육종이었고 (SIR 159.14, 95% CI 90.96-258.43), 그 다음으로 비호지킨림프종 (SIR 11.21, 95% CI 9.39-13.29)과 비흑색종피부암 (SIR 9.94, 95% CI 7.91-12.34)이었다.
19세 이하 소아 1,304명이 장기 이식을 받았고 그 중 49명 (3.8%)에서 암이 발생하였고 SIR 36.31 (95% CI 26.86-48.01)이 확인되었다. 이 중 35명이 비호지킨림프종 (SIR 212.14, 95% CI 147.76-295.03) 이었다. 암 발생빈도는 이식 후 1-3년 후에 가장 높았으며, 1,151명 중 315명에서 암이 발생하였고 SIR 1.84, 95%CI 1.65-2.06에 해당하였다.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mycophenolate mofetil을 사용했을 때와 비교해 암 발생 위험률이 증가하였다 (HR 1.76, 95%CI 1.01-3.07).
장기 이식 후 암 발생 위험은 일반 인구이 비해 높았으며, 특이 19세 이하 소아 환자에서 높았다. 장기 이식 수혜자에서는 일반 인구와 암 발생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 깊은 모니터와 스크리닝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확인하지 못한 Ebstein-barr virus 감염과 같은 다른 위험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4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