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려시대 景靈殿의 건립과 성격 변화 :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Characteristics of Gyeongneungjeon during the Goryeo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맹은지

Advisor
정요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현종혼전경령전즉위주고의례화상징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3. 8. 정요근.
Abstract
본 연구는 경령전 창건을 둘러싼 맥락과 경령전 의례의 정례화 과정에 주목하여, 원묘인 경령전의 존속 이유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국왕은 즉위 이후 돌아가신 부모님을 총 세 방면[공간]에서 모셨다. 첫째 신주를 일정 공간에 안치하였고, 둘째 능에 대한 재정비가 이루어졌으며, 마지막으로 사찰에서 신어를 모시고 기신재를 행하였다. 현종 8년에 창건된 경령전은 이러한 과정 중 돌아가신 부모님인 안종과 효숙왕후의 도덕적인 문제로 신주를 태묘에 모시지 못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건립된 시설이었다.
창건 초기 경령전은 태묘를 대신하여 안종과 효숙왕후의 신주를 모시는 혼전으로 기능했다. 당시 경령전에 이들의 신주가 모셔져 있었다는 정황은 《靈鷲山大慈恩玄化寺之碑銘》에서 경령전과 현화사에 모셔졌을 때 표현의 차이, 현종 18년(1017)에 시호가 더해진 양상 등을 통해 확인된다.
안종과 효숙왕후의 신주를 모시기 위한 일종의 혼전으로 건립된 경령전은 현종말 태조와 사친의 신어가 모셔진 공간으로 형태가 변화된다. 이는 대를 넘어선 경령전 존속을 위한 현종의 조치였다. 이러한 형식의 변화는 경령전이 현종의 정통성만이 아닌 이후 현종계 왕실의 계통을 가시화한 공간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덕종은 즉위 이후 경령전에서 친히 즉위를 고하는데, 이는 경령전의 상징성에 가장 걸맞은 의례였다고 할 수 있다. 조상에 대한 즉위 주고가 천명의 승습을 보여주는 행위인 만큼, 덕종이 경령전에 즉위를 고한 것은 태조에게 내려진 천명이 안종을 거쳐 현종을 통해 덕종에게 이어졌음을 보여주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덕종의 즉위 주고는 왕업 중흥의 상징이자 천명의 승습이라는 경령전의 상징성을 당대인들에게 다시금 인식시켜주었다. 의례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다면 그 효과만큼 사람들에게 의례로 인한 상징성이 내재화되기 때문이다. 이는 고려 말까지 경령전에서 국왕에 의한 즉위 주고가 행해졌던 것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현종말 경령전의 성격이 변화하고, 경령전에서는 즉위 주고 외에 다양한 주고 행위들이 이루어졌다. 경령전에서는 부월 출환, 원자 탄생, 왕태자칭명입부와 같은 의례 외에도 왕자 축발, 연등회, 객사사퇴연, 경행 등 다양한 의례들이 시행되었다. 이는 태묘와 달리 국왕의 혈연적 四代考妣가 모셔지던 경령전의 봉안 원리와 궐내에 자리한 경령전의 입지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 개경 환도 이후 경령전에서 행해지던 의례 행위는 축소된 양상을 보인다. 이는 개경 환도 이후 이전과 달리 궐내에 존재하던 경령전의 입지적 특성이 사라지면서 단발적인 쓰임이 줄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xt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neungjeon and the process of standardizing its rituals, with a focus on identifying the reasons for the continued existence of Gyeongneungjeon as the duplicate ancestral shrine. After ascending to the throne, the king enshrined his deceased parents in three different spaces. Firstly, he placed their spirit tablets(神主, sinju) in a designated area, secondly tomb underwent rearrangement, and finally, at the temple, they enshrined a portrait and performed ancestral remembrance ceremony(忌晨齋, gisinjae). Gyeongneungjeon,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8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was a newly built facility during the process where moral issues prevented the enshrinement of the spirit tablets(神主, sinju) of King Anjong and Queen Hyosuk in Taemyo.(太廟).
During its early construction, Gyeongneungjeon functioned as a "Honjeon(魂殿)," a place to enshrine the spirit tablets(神主, sinju) of King Anjong and Queen Hyosuk instead of the Taemyo(太廟). This circumstances supported by the difference in expressions when describing the enshrinement of their spirit tablets(神主, sinju) at Gyeongneungjeon and Hyeonhwasa in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at Yeongchuisan Daejaeunhyeonhwasa, as well as the addition of posthumous titles in the 18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1017).
As time passed, Gyeongneungjeon, a place for enshrining the spirit tablets(神主, sinju) of King Anjong and Queen Hyosuk, converted into a space for enshrining the portrait of King Taejo and his descendants. This change was a measure taken by King Hyeonjong to ensure the continued existence of Gyeongneungjeon beyond his reign and to symbolize the lineage of the Hyeonjong royal family.
When King Deokjong ascended the throne, he personally held the coronation ceremony at Gyeongneungjeon, which was the most appropriate ritual to symbolize its significance. As the coronation ceremony for an ancestor demonstrated the legitimacy of the throne, King Deokjong's coronation at Gyeongneungjeon showcased the continuity of the mandate from King Taejo through King Anjong and King Hyeonjong to him.
The coronation of King Deokjong reaffirmed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Gyeongneungjeon as a representation of the prosperity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divine mandate. If the rituals were effectively carried out, their symbolic importance would be internalized by the people. This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coronation ceremonies conducted by kings continued at Gyeongneungjeon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Gyeongneungjeon entered the late Hyeonjong period, its character changed, and various ceremonies other than the coronation were performed there. Various rituals were conducted at Gyeongneungjeon, including presentation and return of the axe, the celebration of the first birthday of a first prince the ceremony of announcing the prince bestowed a name and established a title, as well as ordination of a prince, lantern festival(yeondeunghoe), the farewell banquet of foreign envoys, and walking meditation (gyeonghaeng). These diverse rituals were carried out at Gyeongneungjeon due to its different principles of enshrining the portrait of the king's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and its geographical location within the palace, unlike Taemyo(太廟).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apital was returned to Gaegyeong, the ritual activities at Gyeongneungjeon showed a reduced scale. This was because, unlike before, when it was situated within the palace, the distinctiv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neungjeon disappeared, leading to a decline in its frequent and regular usag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8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8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