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김영현 문학 연구 : A study on Kim Yeong-hyeons Litera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하연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김영현김영현 논쟁1980년대 문학1990년대 문학내면성고문 피해자감옥취약성의 윤리상실의 슬픔동일성의 폭력애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손유경.
Abstrac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context in which Kim Yeong-hyeons name is mentioned is extremely limited. It is the so-called Controversy on Kim Yeong-hyeon, which was triggered by Kwon Seong-woos critical intention to newly signify the literature of the 90s by separation from that of the 80s in the coming new era. However, Kim Yeong-hyeons literature, which was called by Kwon Seong-woo as a promising literature that will lead a new age, has rather degenerated into the literature that needs to be settled after the mid-1990s. This study sees that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s that Kim Yeong-hyeons literature has been noted in terms of the inside of a failed progressive intellectual and the ethics of sincerity. Instead, if Kim Yeong-hyeons novels are read through the lens of the inside of a victim of torture, his literature will acquire a new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ethics of vulnerability.
In this article, the vulnerability is a concept referred to in Judith Butlers thoughts, and is primarily related to our body that can be damaged and destroyed at any time. In that sense, Kim Yeong-hyeons experience of prison and torture, which has not been adequate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corresponds to a kind of original experience related to vulnerability, and this left several traces throughout his literature. By following these traces, I focused on Kim Yeong-hyeons novel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mention experience of prison and torture in Chapter 2. In 2.1., the subject of analysis was 「Insect」, which vividly describes the pain in prison. I tried to argue that this novel is a fundamental text that summarizes Kim Yeong-hyeons literary world. By showing a bare life that has fallen into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is novel demonstrates the mechanism of the process of unmaking and making. The former is the process of physical pain being dismantled in prison and the latter is achieved by rewriting this experience of pain into text. This implies that Kim Yeong-heyons fiction writing is an ethical practice of continuing testimony between the unspeakable and the speakable and a ceaseless practice of restoring making by overturning the process of unmaking.
In 2.2, I examined the novels as part of such practice, which depict the types of victims of torture who still suffer after coming out of prison. In particular, I paid attention to their ambivalent attitude towards prison and tried to trace the cause of their psychological state. Referring to the Second War Syndrome,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oined word Military Dictatorship Syndrome proposed by Kim Yeong-hyeon, such an attitude seems to have resulted from two losses experienced by those who came out of camps or prisons: the loss of ideals and the death of others. Judging from this, the ambivalent attitude shown by the victims of torture in Kim Yeong-hyeons novel is actually just another expression of pain.
In Chapter 3, I tried to show that the experience of suffering provides a new ethical possibility to Kim Yeong-hyeons novel. It is the ethical possibility of vulnerability in the sense of Butler. First, in 3.1., I examined his novels in which the attitude of staying appeared. The characters of Kim Yeong-hyeons novels show the image of staying in the loss rather than trying to resolve it. Also, this affect of longing serves as the source of dynamism in pursuing utopia in his novels. In this way, the attitude of imagining a new community through staying in the sorrow of loss can be said to be the primary condition that enables the ethics of vulnerability. Thus, the attitude of Kim Yeong-hyeon, which repeatedly fictionalizes his experiences of prison and torture, provides ethical possibilities for his literature.
In 3.2. and 3.3., I examined in detail how the ethics of vulnerability is working in Kim Yeong-hyeons novels. In 3.2., I pointed out that his novels, which drew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from beings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single subject of laborer, expose the illusion of self-identity by causing cracks in violent identity. It leads to cognition of interdependence of human beings to realize the impossibility of perfect self-ident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thics of vulnerability. Lastly, in 3.3., I tried to show that Kim Yeong-hyeon is a writer who has a special interest in death, and his novel deals with the problem of mourning. In particular, I examined the process of his novels starting from exposing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politics of martyrdom to gradually moving toward the politics of mourning. The issue of mourning is very important in practicing the ethics of vulnerability. We can envision a non-violent community based on vulnerability(interdepende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qual mourning values.
In short, this study argues that Kim Yeong-hyeons experience of prison and torture allowed him to have a keen sense of vulnerability, which provided ethical possibilities for his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his novels were able to go beyond the typical narrative of the movement group. As such, rereading Kim Yeong-hyeons literature with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has meaning in two ways. At first, by paying attention to his identity as a victim of torture, it breaks away from the frame of the inside of a failed progressive intellectual that has been constantly reproduced since the controversy on Kim Yeong-hyeons novels was triggered. In addition, through this, Kim Yeong-hyeons literature can be settled in a position that is free from the long-standing dichotomy of liberalism vs. nationalism and 1980s literature vs. 1990s literature. Kim Yeong-hyeons literature did not retreat from the public horizon oriented toward moral imperatives to a closed inner space or escape from an oppressive public horizon to a free inner space, but rather moved from the inside to the public horizon. It was made possible because of his sensitivity to the vulnerability of the inside of victims of torture.
본 논문은 김영현의 문학을 읽는 새로운 독법으로서 고문 피해자의 내면과 취약성의 윤리라는 틀을 제안한다. 한국 문학사에서 김영현의 이름이 거론되는 대목은 극히 한정적이다. 이른바 김영현 논쟁이 바로 그것으로, 해당 논쟁은 다가오는 새 시대를 맞이하여 80년대와의 분리를 통해 90년대 문학을 새롭게 의미화하려는 비평적 욕망으로부터 촉발되었다. 그러나 90년대 초 새 시대를 열어젖힐 전도유망한 문학으로 호명된 김영현의 문학은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오히려 청산되어야 할 문학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본 논문은 그 까닭을 김영현의 문학이 실패한 진보적 지식인의 내면과 진정성의 윤리라는 차원에서 주목되어 왔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 대신 김영현의 소설을 고문 피해자의 내면이라는 렌즈로 읽어낸다면, 그의 문학은 취약성의 윤리와 관련해 새로운 의의를 획득하게 된다.
이 글에서 취약성이란 주디스 버틀러의 사유에서 참고한 개념으로서, 일차적으로 우리의 언제든지 상처 입고 훼손당할 수 있는 몸과 관련이 깊다. 그런 의미에서 그간의 연구에서 충분히 조명되지 못한 김영현의 감옥 체험 및 고문 경험은 취약성과 관련한 일종의 원체험에 해당하며, 이 원체험은 그의 문학 곳곳에 여러 흔적들을 남겨 놓았다. 2장에서는 이러한 흔적들을 좇아 감옥 체험 및 고문 경험이 직·간접적으로 언급된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살핀다. 2장 1절에서는 감옥 안에서의 고통을 생생히 묘사한 「벌레」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당 작품은 김영현의 문학 세계를 집약하고 있는 근원적인 텍스트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지대로 추락한 벌거벗은 생명을 등장시켜 감옥 안에서 육체적 고통이 해체되어가는 파괴(당)하기 과정과 이 고통의 경험을 글로 다시 써 내려가는 창조하기 과정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이 소설은 김영현에게 있어 소설 쓰기란 말할 수 없음과 말할 수 있음 사이에서 증언을 이어나가는 윤리적 실천이자 파괴(당)하기의 과정을 뒤집음으로써 창조하기를 복원시키는 부단한 수행임을 암시한다.
2장 2절에서는 그러한 실천과 수행의 일환으로서 감옥 밖으로 나온 후에도 여전히 고통받는 고문 피해자 인물 유형을 그린 소설들을 살핀다. 특히 이들이 보이는 감옥에 대한 양가적인 태도에 주목해 그와 같은 심리의 원인을 추적할 것이다. 그 방법론으로 아우슈비츠 수용소 생존자들의 저작을 경유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김영현의 소설 속 고문 피해자 인물들이 보여주는 양가적 태도는 기실 수용소 또는 감옥에서 나온 뒤 겪게 되는 두 가지 상실, 즉 이상의 상실과 타인의 죽음에서 기인한 또 다른 고통의 표현일 뿐임을 내보일 것이다.
3장에서는 위와 같은 고통의 경험이 김영현의 소설에 새로운 윤리적 가능성, 즉 버틀러적 의미에서의 취약성의 윤리적 가능성을 제공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먼저 3장 1절에서는 그 일차적 조건으로서의 머무름의 태도가 나타난 김영현의 소설들을 살핀다. 김영현의 소설 속 인물들은 상실을 해소하려 하기보다는 그 안에 머물러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움의 정동은 김영현의 소설에서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역동성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상실의 슬픔에 머물러 있음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하고자 하는 자세는 취약성의 윤리를 가능케 하는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자신의 감옥 체험 및 고문 경험을 반복해서 소설적으로 형상화하는 김영현의 태도는 그의 문학에 윤리적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3장 2절과 3절에서는 김영현의 소설에서 취약성의 윤리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3장 2절에서는 노동자라는 단일한 주체로는 온전히 설명될 수 없는 존재들로부터 저항의 가능성을 길어낸 김영현의 소설들이 폭력적 동일성에 균열을 일으킴으로써 자기동일성의 허상을 폭로한다는 것을 짚어내고자 한다. 이처럼 자기동일성의 불가능성을 깨닫는 것은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취약성의 윤리와 긴밀한 관련을 맺는다. 끝으로 3장 3절에서는 김영현은 죽음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지닌 작가이며, 그의 소설은 애도의 문제를 다루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특히 김영현의 소설이 열사의 정치에 내재한 폭력성을 폭로하는 데에서 출발해 애도의 정치를 향해 차츰차츰 나아간 과정을 살필 것이다. 취약성의 윤리를 실천하는 데에 있어서 애도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평등한 애도 가치의 확립을 통해 취약성(상호의존성)에 기반한 비폭력적인 공동체를 구상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김영현의 감옥 체험 및 고문 경험이 그로 하여금 취약성에의 예민한 감각을 지닐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는 그의 문학에 윤리적 가능성을 제공해주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그의 소설이 운동권의 전형적인 내러티브를 넘어설 수 있었던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처럼 김영현의 문학을 취약성의 개념으로 다시 읽어내는 것은 김영현의 고문 피해자로서의 정체성을 새롭게 조명하는 것인바, 김영현 논쟁이 촉발된 이후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던 실패한 진보적 지식인의 내면이라는 틀을 탈피하는 독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김영현의 문학을 자유주의 진영 대 민족주의 진영, 1980년대 문학 대 1990년대 문학이라는 유구한 이분법적 대립 구도에서 벗어난 자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김영현의 문학은 도덕적 당위를 지향하는 공적 지평에서 폐쇄적인 내면의 공간으로 후퇴했거나 억압적인 공적 지평에서 자유로운 내면의 공간으로 탈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면에서부터, 특히 고문 피해자의 내면이 지닌 취약성에의 민감한 감수성에서 말미암아 공적 지평으로 나아간 문학인 까닭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4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