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치사적 맥락에서 본 김창흡 산문 : 政治史视角下的金昌翕散文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종미

Advisor
김대중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김창흡산문정치사적 맥락원한가문노론 헤게모니경세적 지향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김대중 .
Abstract
本論文的研究目的是從政治史視角下探究三淵金昌翕的散文世界。爲此, 本論文以政治史爲出發點,並綜合文、史、哲三個方面,來對此展開具體分析。本論文之所以選擇從政治史視角這一角度來探析金昌翕的散文世界,是爲了突出體現出政治史背景對於金昌翕而言,並不僅僅只是外在性要素,而是和金昌翕本人緊密相關融爲一體這一目的。也就是說,關於政治史的探索過程其實就是對金昌翕本人的具體剖析過程。因此,本論文將政治史視角分爲四個層面,並以此來探究金昌翕的散文世界。
在正式進入主題前,先從文獻學的角度對《三淵集》進行了考察整理。首先分析整理了原集的刊行及內容刪減問題。接下來,分析整理了《拾遺》的異本體系狀況及其收錄作品的真僞問題。
接下來, 本論文按照政治史視角的四個層面, 對金昌翕的散文世界進行了深入探析。
第一層面就是,在金昌翕一生中起著至關重要地位的政治史背景及黨爭史背景。從這個角度出發, 重新考察了金昌翕的生涯、人際關系網及政治軌跡。首先, 結合金昌翕的隱居地、學術走向及肅宗朝的政治動向,將金昌翕的一生分爲: 探索期、蟄伏期、雪嶽山隱居期及谷雲老年期。其次,根據階級特性,將金昌翕的交友對象分爲: 京華世族、地方文人、中庶層、僧侶,並對其進行了考察。最後,結合政局發展,將金昌翕的政治軌跡分成兩個階段: 甲戌換局~雪嶽山隱居期、雪嶽隱居期~辛丑換局, 以此來考察金昌翕的政治活動情況.
第二層面就是,給壯洞金門及金昌翕帶來重大影響的政治史事件或黨派鬥爭事件。本論文從這個角度出發,探究了金昌翕作爲家族守護者的形象。本論文以仇恨這一情感作爲分析的切入點,來探析金昌翕在黨派鬥爭過程中,是如何將壯洞金門視爲一生死共同體,並以此來強調家族內部團結的。 金昌翕如此強調家族內部團結的根本原因,正是基於仇恨這一情感。金昌翕對害死父親金壽恒的元凶南人黨派及其幫凶少論黨派充滿了仇恨。因此,在甲戌換局之後,立志爲父報仇的金昌翕,明確區分了敵我關系,對反對黨派采取了強硬、不妥協的態度,並對其表現出了極度的警覺性和攻擊性。
但是,金昌翕並沒有被仇恨這種情感所束縛,他選擇了一條自省,以求達到普世目的的道路。這條道路就是開放性正統主義思想探索道路。這也就是本論文政治史視角的第三層面--構成政治史和黨爭史思想基礎的思想探索。
金昌翕基本上是一位堅持朱子學爲正統思想的老論知識分子。但是,金昌翕並沒有陷入思想僵化。他在正統主義思想框架內,部分吸收借鑒佛教和道家思想,實現了思想上的靈活性和開放性。金昌翕試圖以更加靈活的方式重新架構朱子學的正統性。因此,金昌翕批判了湖中老論爲了穩固自己的學術正統性,而過度神化宋時烈的行爲,以此來謀求老論在政治上的霸權鬥爭戰略。不僅如此,金昌翕還試圖找到儒家經世意識與佛教普渡眾生之間的共鳴,以此展現出作爲老論知識分子的治世態度。對金昌翕而言,朱子學爲其提供了判斷是非的絕對標准。這種對反對派的尖銳批判與攻擊的態度,同政治上嚴格區分敵我的邏輯有其相似之處。這可以被視爲仇恨這一情感在思想上的轉化。然而,在吸收借鑒佛教和老莊思想之後,金昌翕在思想層面上展現出了更加靈活開放的姿態。
第四層面就是,關聯到當時政治社會中的各種問題並尋求解決方案的經世傾向。從這個角度來探析了金昌翕對朝鮮國內外的經世態度。從朝鮮國內角度來看,金昌翕對科舉制度、疏決、軍役、土地改量、農業等問題都有著深切地關注。不僅如此,金昌翕還將視野投向東亞,對朝清關系展現出了十足的關注。他從中道和變通的角度,追求義理和現實之間的平衡,提出了靈活的華夷觀點。他的正統論也是如此。金昌翕正統論的核心是基於現實層面上的領土的大小及實力的強弱,而不是所謂的義理名分。基於這樣的邏輯,可以認爲金昌翕承認了淸朝的正統地位。這與堅守對明義理和朝鮮中華主義的宋時烈學派的觀點是不同的。但即便金昌翕視淸朝爲正統,也不意味著他無條件接納淸朝。金昌翕對淸朝時刻保持警惕,以防其再次侵犯朝鮮,因此金昌翕一直很重視白頭山的地理戰略位置。
金昌翕不再僅僅代表家族利益或黨派利益,他的視野擴大到了國家層面。但他並沒有突破了自己作爲老論的黨派屬性。從當時的政治曆史背景來看,金昌翕的經世論也是基於老論能夠在與反對黨派的霸權鬥爭中取得勝利,從而成爲國家統治主體的這一前提下展開的。金昌翕的華夷觀及正統論雖然與宋時烈的北伐論形成鮮明對比,但這並不意味著金昌翕突破了自己的老論黨派屬性。
從政治史視角探討金昌翕的散文世界,本論文可以得出以下結論:
金昌翕政治軌跡的根本出發點就是仇恨這一情感,這一情感分爲中心軸和離心軸,中心軸則努力保持著仇恨這一情感的原始面貌,而離心軸則試圖掙脫仇恨這一情感的束縛,並進行自我擴展。這兩者共同織就了金昌翕的散文世界。離心軸消解了中心軸的僵化,同時由於離心軸更加強烈地運作,最終造就了金昌翕的開放正統主義思維及謀求柔性戰略的老論統治階級思維。從個人角度來看的話,金昌翕的探索是始於仇恨這一情感,既不受其束縛,同時也無法從中完全擺脫出來的自我探索之旅;從現實政治角度來看,金昌翕的探索是爲老論統治階級謀求霸權戰略的探索之旅。爲了讓老論統治階級能夠通過自我調節能力,更加靈活地鞏固和維持其統治地位,而不至於陷入僵化。金昌翕個人的自我探索與其身爲老論這一黨派屬性有著密不可分的關系,從而也證實了金昌翕散文具有政治性這一特徵。
This study introduces "political history" as a standpoint for researching Samyŏn(三淵) Kim Ch'anghŭp(金昌翕, 1653-1722)'s prose, aiming for an integrated approach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examines the world of Kim Ch'anghŭps prose in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King Suk-chongs reign.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political-historical context" in this study is to view Kim Ch'anghŭp not merely from an "external context", but rath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is existence as an individual.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Kim Ch'anghŭp's prose by dividing the "political-historical context" into four layers.
Before delving into the main discussion, a bibliographic review of Samyŏnjip(三淵集) is conducted. First, I examine the publication history of the original collection and the issue of additions and deletions. Subsequently, I look into the lineage issue of Samyŏnjipsŭbyu(三淵集拾遺) and the authenticity of the included works.
Next, I delve into the world of Kim Ch'anghŭp's prose by dividing the 'political historical context' into four levels.
Firstly, in the context of 'political historical background' or 'factional conflict background' which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in Kim Ch'anghŭp's life, I examine the formation of his life and his network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onnection with his political actions. Initially, I look into Kim Ch'anghŭp's places of retreat, academic trends, and the political flow of the King Suk-chongs reign, segmenting his life into four phases: the exploration period, the period of exile, the period of retreat to Sŏrak Mountain, and the later years of adversity. Next, with attention to class characteristics, I analyze the people whom Kim Ch'anghŭp was associated with, categorizing them into noble families, local literati, Jung-In (the middle class) and Seo-Eol(the sons of concubines), and Buddhist monks. Lastly, I study Kim Ch'anghŭp's political actions, dividing them into two periods: from the Kapsurhwan'guk to his retreat to Sŏrak Mountain, and from after the retreat until the Shinch'uk'wan'guk.
Secondly, in the context of specific 'political historical events' or 'factional conflict event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dongkimmun(a branch of Kim family which lived in Changdong, Seoul) and Kim Ch'anghŭp', I examine his role as a protector of his family lineage. Using the emotion of resentment as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I look into how Kim Ch'anghŭp perceived the Changdongkimmun as a unified community of life and death amidst the whirlwind of factional strife, emphasizing unity within the family.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Kim Ch'anghŭp's emphasis on internal cohesion of the family was his resentment towards those he deemed responsible for his father Kim Suhang's death, along with his animosity towards the rival faction. Therefore, following the Kapsurhwan'guk, Kim Ch'anghŭp, in his pursuit of vengeance, distinctly delineated friends from foes, demonstrating a rigid, uncompromising stance against the opposing faction, marked by extreme caution and aggression.
However, Kim Ch'anghŭp did not become consumed by his feelings of resentment. Instead, he ventured towards acquiring a more universal and introspective perspective. This path led him to explore an 'open-minded orthodoxy'. This corresponds to the third layer, which is the 'ideological orientation' that underpins political history and factional conflicts.
Kim Ch'anghŭp was fundamentally an elite of the Noron faction who placed Zhu Xi(朱熹)'s philosophy at the center of orthodoxy. However, within the orthodox framework, he did not fall into ideological rigidity but demonstrated flexibility and openness, partially accepting Buddhist and Laozi-Zhuangzi philosophies. Kim Ch'anghŭp aimed to redefine the orthodoxy of Zhu Xi's philosophy in a more flexible direction. As such,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the Noron hegemony strategy, he criticized the Hochungnoron for absolutizing Song Siyŏl to emphasize the academic orthodoxy of their faction. Additionally, Kim Ch'anghŭp sought to reveal his socio-participatory attitude as a Noron elite by finding a convergence between the social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the salvific consciousness of "great compassion for all beings" in Buddhism. To Kim Ch'anghŭp, Zhu Xi's philosophy provided an absolute standard for discerning right from wrong. The characteristic harsh criticism and aggressive stance of orthodoxy towards opposing factions bear a resemblance to the logic of strictly distinguishing allies from enemies in politic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undergoing a transformation on an ideological level. However, by embracing Buddhism and the philosophy of Laozi and Zhuangzi, Kim Ch'anghŭp exhibited a more flexible attitude compared to when he was consumed by the emotion of resentment.
Fourthly, in the context of the 'socio-participatory orientation' related to actively contemplating contemporary socio-political issues and seeking alternatives, I examine Kim Ch'anghŭp's socio-participatory attitude towards both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of Cho-sŏn. Starting from the broader context of the Cho-sŏn state, Kim Ch'anghŭp had specific concerns about issues such a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judicial decisions, military service, cultivation, and agriculture. Expanding his perspective to East Asia, he also had significant interest in the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Qing. From a standpoint of 'moderation' and 'adaptability,' Kim Ch'anghŭp sought a balance between righteousness and reality and advocated a flexible perspective on diplomatic relations. This perspective is closely correlated with his views on orthodoxy. What Kim Ch'anghŭp emphasized in orthodoxy was not so much the ethical righteousness or the established order, but the pragmatic aspects, specifically the size of territories and the rise and fall of powers. Based on this logic, it can be inferred that Kim Ch'anghŭp recognized the Qing dynasty as the orthodox power. His stance differs from that of the Song Siyŏl lineage, which upheld the principle of righteousness and Cho-sŏn's centrality. However, while Kim Ch'anghŭp acknowledged Qing as the orthodox, he did not unconditionally accept their dominance. Recognizing the potential threat of Qing re-invading Cho-sŏn, he had long valued the strategic position of Paektu Mountain.
Kim Ch'anghŭp expanded his perspective to encompass the entire nation beyond the interests of a single clan or faction. However, this does not mean he transcended his factional identity. His socio-participatory theories, when viewed within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time, seem to b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Noron faction would emerge victorious in their hegemonic competition against the rival faction and thereby assume control of the nation's governance. His views on diplomacy and orthodoxy clearly contrasted with Song Siyŏl's advocacy for northern expansion, yet it is challenging to say that they surpassed the factional identity of the Noron.
The exploration of the world of Kim Ch'anghŭp's prose within the "political context" yields the following insights: At the outset of Kim Ch'anghŭp's political trajectory lies the emotion of "resentment". The world of his prose is intricately woven between a centripetal force that seeks to consistently maintain this primal emotion while it adapts to varying circumstances, and a centrifugal force that aims to distance itself from and not be bound by this emotion, seeking self-expansion. The rigidity of the centripetal force is allevi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Still, as the centrifugal force operates even more potently, one can discern the emergence of an "open-minded orthodoxy" or a "Noron ruling class implementing a flexibility strategy." Kim Ch'anghŭp's exploration represents, on an individual level, a personal quest that begins from "resentment". While not ensnared by this emotion, one can never be entirely free from it. In the realm of practical politics, his exploration depicts the Noron ruling class's efforts to stay adaptable, exercising self-regulation, thereby solidifying and sustaining their dominance through a flexible hegemonic strategy. This existential exploration of an individual being inextricably tied to the factional attributes of the Noron faction further underscores the "political nature" of Kim Ch'anghŭp's prose.
본고는 정치사를 김창흡 산문 연구의 시좌로 도입하여 문⋅사⋅철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면서 숙종 대 정치사적 맥락에서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의 산문 세계를 고찰하였다. 본고가 정치사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은 김창흡을 오로지 외재적 맥락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김창흡이라는 한 인간으로서의 실존을 입체적으로 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고는 정치사적 맥락을 네 가지 층위로 나누어 김창흡의 산문을 탐구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삼연집󰡕에 대한 서지적 검토를 했다. 먼저 원집의 간행 경위와 산삭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습유󰡕의 계통 문제와 수록 작품의 진위 문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정치사적 맥락을 네 가지 층위로 나누어 김창흡의 산문 세계를 본격적으로 탐구하였다.
첫째, 김창흡의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정치사적 배경 내지 당쟁사적 배경이라는 층위에서 생애와 인적 관계망의 형성을 정치적 행보와 연관 지어 고찰하였다. 먼저 김창흡의 은거지와 학문적 흐름, 숙종 대의 정치적 흐름을 고려하면서 생애를 모색기, 칩거기, 설악산 은거기, 곡운 노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계급적 성격에 유의하여 김창흡의 교유 대상을 경화 세족, 지방 문인, 중서층, 승려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창흡의 정치적 행보를 갑술환국 이후부터 설악산 은거기까지와 은거기 이후부터 신축환국까지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장동김문과 김창흡에게 큰 여파를 끼친 구체적인 정치사적 사건 내지 당쟁사적 사건이라는 층위에서 가문 수호자로서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원한이라는 감정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장동김문을 하나의 생사 공동체로 생각하고 가문 내부의 단합을 강조했던 김창흡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김창흡이 가문의 내부 결속을 강조한 동기는 부친 김수항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남인과 소론에 대한 원한이었다. 그러므로 갑술환국 뒤 김창흡은 복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지와 적의 구별을 뚜렷이 함으로써 반대 당파에 대한 강경한 비타협적 입장 및 극도의 경계심과 공격성을 표출하였다.
하지만 김창흡은 원한이라는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보편적이고 성찰적인 차원의 지평을 획득하는 길로 나아갔다. 그 길은 바로 개방적인 정통주의의 모색이었다. 이것이 바로 정치사와 당쟁사의 기저부를 형성하는 사상적 지향이라는 세 번째 층위에 해당한다.
김창흡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정통 사상의 중심에 놓았던 노론 엘리트이다. 하지만 정통주의적 틀 내에서 사상적 경직성에 빠지지 않고, 불교와 노장사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유연성과 개방성을 가지고 있었다. 김창흡은 주자학의 정통성을 유연한 방향으로 재정위하려고 했다. 따라서 김창흡은 노론 헤게모니 전략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호중 노론이 자기 학파의 학문적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송시열을 절대화한 것을 비판하였다. 이에 더하여 김창흡은 유가의 경세의식과 불교의 대심중생의 구세의식 사이의 접점을 찾아내 노론 엘리트로서 치세의 태도를 드러내고자 했다. 김창흡에게 주자학은 시비분별의 절대적 기준을 제공해주는 것인바, 정통주의 특유의 반대 학파에 대한 가혹한 비판과 공격적 태도는 정치적으로 적과 동지를 준엄하게 구별하는 논리와 유사성을 갖는다. 이는 원한이라는 감정이 사상의 차원에서 형태 변환을 한 결과로 해석된다. 하지만 김창흡은 불교와 노장사상을 받아들임으로써 원한이라는 감정에 사로잡혀 있을 때에 비해 더 유연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넷째,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과 관련된 경세적 지향이라는 층위에서 조선 내외에 대한 김창흡의 경세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조선 국가 전체에서 출발하여 김창흡은 과거제도, 소결, 군역, 토지 개량, 농업 등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관심을 갖고 있었다. 동아시아적 차원으로 시야를 넓혀 조청 관계에 대해서도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중도와 변통의 시각에서 의리와 현실 사이의 균형을 추구한 김창흡은 유연한 화이관을 주장했다. 화이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정통론도 마찬가지였다. 김창흡이 정통론에서 강조한 것은 의리나 명분이 아니라 현실적인 측면, 곧 영토의 크기와 세력의 성쇠였다. 이러한 논리를 토대로 보면 김창흡은 청나라를 정통으로 인정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대명의리와 조선중화주의를 견지한 송시열 계열의 입장과 다르다. 하지만 김창흡은 청나라를 정통으로 생각하면서도 무조건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며, 청나라가 조선을 재침략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면서 오래전부터 백두산의 전략적 위치를 중요시했다.
김창흡은 한 가문이나 정파의 이익을 넘어서 국가 전체를 시야에 넣게 되었지만, 정파적 정체성을 초월한 것은 아니었다. 그의 경세론도 그 당시 정치사적 맥락 속에 놓고 보면 어디까지나 노론이 반대 정파와의 헤게모니 경쟁에서 승리하여 국가 운영의 주체가 된다는 것을 전제로 개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화이론과 정통론도 송시열의 북벌론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었지만, 노론의 정파적 정체성을 초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상과 같이 정치사적 맥락에서 김창흡의 산문 세계를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창흡의 정치적 행보의 출발점에는 원한이라는 감정이 놓여 있다. 그의 산문세계는 이 원초적 감정이 상황에 따라 형태 변환을 하면서 일관되게 유지되려는 구심축과, 그와 반대로 이 감정에 거리를 두고 그에 얽매이지 않는 차원으로 스스로를 확장하려는 원심축으로 직조되어 있다. 원심축에 의해 구심축의 경직성이 해소되는 동시에 여전히 원심축이 더 강하게 작동함으로써 결국 개방적 정통주의 내지 유연화 전략을 구사하는 노론 지배층의 모습이 만들어졌다고 파악할 수 있다. 김창흡의 모색은 개인의 차원에서는 원한에서 출발하여 거기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도 그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한 인간의 자기 모색이며, 현실 정치의 차원에서는 노론 지배층이 경직화되지 않고 자기 조정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자신의 지배력을 더 유연하게 공고화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헤게모니 전략의 모색이기도 하다. 이렇게 개인의 실존적 모색이 노론의 정파적 속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에서도 김창흡 산문의 정치성을 확인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6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