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모음의 음성 실현 연구 : A Phonetic Realization Study of Korean Vowe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은영

Advisor
김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모음음성 실현포먼트모음 공간음운론적 조건음운 현상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김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onetic properties of Korean vowels in various phonological environments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phonological conditions that could influence the formant values of vowel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formant values of vow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vowels exhibit varying formant values depending on syllable position conditions, segmental conditions, and vowel length conditions.
In Chapter 3, the phonetic realization of vowels based on syllable position conditions are described. Vowels in initial positions are pronounced at the periphery of the vowel space compared to vowels in non-initial positions, which are pronounced at the center of the vowel space.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the phenomenon of 'high-vowelization' that occurs prominently in non-initial position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close proximity of non-initial high vowels. Furthermore,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ased on vowels realized in initial positions classified 'ㅣ, ㅡ, ㅜ, ㅗ' as 'phonetic high vowels,' 'ㅔ, ㅓ' as 'phonetic mid vowels,' and 'ㅏ' as 'phonetic low vowels' using F1 values. Using F2 values, 'ㅣ, ㅔ' were classified as 'phonetic front vowels,' 'ㅡ, ㅜ, ㅏ' as 'phonetic central vowels,' and 'ㅓ, ㅗ' as 'phonetic back vowels.'
Chapter 4 details the acoustic realization of vowels based on segment conditions. The articulatory position of preceding consonants influences the formant values of succeeding vowels. When an initial consonant precedes a vowel in initial positions, phonetic front vowels show significantly higher F1 and F2 values compared to cases without an initial consonant. In non-initial positions, F2 values are higher when 'ㄱ' precedes 'ㅣ' and lower when 'ㅈ' precedes 'ㅣ,' sugges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articulatory gestures of initial consonants and these patterns. For phonetic mid and back vowels, F2 values are generally higher when followed by 'ㅈ, ㄷ/ㅅ' and lower when followed by 'ㅂ/ㄱ,' irrespective of syllable position. The articulatory position of initial consonants influences F2 values of succeeding vowels, contributing to phonological processes such as 'high vowel fronting' and 'vowel rounding'. The formant values of vowels following glide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glide. Vowels following 'j' have a large F2 value and are pronounced at the front of the vowel space. Behind 'w,' the influence of 'w' on the succeeding vowel varies. When 'ㅣ' follows 'w,' it is realized as [ɥi], wher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ɥ] lead to a smaller F1 value and a larger F2 value. If [w] is realized, its impact on F2 values varies depending on the frontness or backness of the following vowel. This is attributed to 'w' not maintaining a consistent F2 value and being influenced by the F2 value of the trailing vowel. The articulatory position of trailing consonants after vowels influences the F2 values of phonetic mid and back vowels, resulting in higher F2 values for central consonants compared to peripheral consonants. After bilabials, 'ㅗ, ㅓ' has a higher F2 value when the trailing consonant is alveolar consonants, which is phonetically related to 'unrounding'.
In Chapter 5, the phonetic realization of vowels based on vowel length conditions is presented. Variation based on vowel length is observed even in speakers aged 2-30, where contrastive vowel length has disappeared. Vowels at the extremes of vowel space are pronounced at the periphery of vowel space when realized as phonetic long vowels, and at the center of vowel space when realized as phonetic short vowels. The phonetic function of vowel length in contemporary Korean is determined to involve increased tongue tension to expand the vowel's articulatory space.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음성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여러 음운론적 환경에서 한국어의 모음이 어떠한 포먼트 값을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모음의 포먼트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모음의 포먼트 값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의 모음은 음절 위치 조건, 분절음 조건, 길이 조건에 따라 모음의 포먼트 값이 각기 달리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음절 위치 조건에 따른 모음의 음성 실현 양상이 기술된다. 어두 위치의 모음은 비어두 위치의 모음에 비해 모음 공간의 주변부에서 발음되고, 비어두 위치의 모음은 모음 공간의 중심부에서 발음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비어두 위치의 후설모음들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실현되기 때문으로, 비어두 위치에서 활발하게 일어난 고모음화 현상과 관련지어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어두 위치에서 실현된 모음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시행한 결과, F1 값을 기준으로 ㅣ, ㅡ, ㅜ, ㅗ는 음성적 고모음, ㅔ, ㅓ는 음성적 중모음, ㅏ는 음성적 저모음으로 분류되며, F2 값을 기준으로 ㅣ, ㅔ는 음성적 전설모음, ㅡ, ㅜ, ㅏ는 음성적 중설모음, ㅓ, ㅗ는 음성적 후설모음으로 분류된다.
분절음 조건에 따른 모음의 음성 실현 양상은 4장에서 기술된다. 선행음의 조음 위치는 후행 모음의 포먼트 값에 영향을 미치는바, 어두 위치에서 초성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음성적 전설모음은 초성이 없이 실현되는 경우에 비해 F1, F2 값이 크게 나타난다. 비어두 위치에서는 ㅣ 앞에 ㄱ이 선행할 때의 F2 값이 크고, ㅈ이 선행할 때의 F2 값이 작은바, 이는 초성 자음의 조음 동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음성적 중설・후설모음의 경우 대부분 음절 위치에 관계없이 ㅈ, ㄷ/ㅅ 뒤에서의 F2 값이 크고, ㅂ/ㄱ 뒤에서의 F2 값이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초성의 조음 위치는 후행하는 모음의 F2 값에 영향을 미쳐 전설고모음화나 원순모음화와 같은 음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음성적 조건을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한다. 활음에 후행하는 모음들의 포먼트 값은 활음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j 뒤의 모음은 F2 값이 크게 나타나, 보다 앞쪽에서 발음된다. w 뒤에서는 후행하는 모음에 따라 w가 미치는 영향이 다른바, w에 ㅣ가 후행하는 경우에는 [ɥi]로 실현되어 [ɥ]의 음향적 특성에 의해 F1 값은 작고, F2 값은 크게 나타난다. [w]로 실현될 경우에는 후행하는 모음의 전・후설성에 따라 F2 값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이는 w가 일정한 F2 값을 갖지 않고, 후행 모음의 F2 값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모음에 후행하는 자음의 조음 위치는 음성적 중설・후설모음의 F2 값에 영향을 미쳐 중자음이 후행할 때의 F2 값이 변자음이 후행할 때의 F2 값보다 크게 나타난다. 후행 자음의 조음 위치와 관련된 음운 현상으로 보이는 비원순모음화는 양순음 뒤의 ㅗ, ㅓ가 치조음 앞에서 높은 F2 값을 가지는 것과 음성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장에서는 길이 조건에 따른 모음의 음성 실현 양상이 기술된다. 대립적 음장이 사라진 2~30대 화자들에서도 길이에 따른 변이가 확인되는바, 모음 공간의 극단에 있는 모음들은 음성적 장음으로 실현될 때 모음 공간의 주변부에서 발음되고, 음성적 단음으로 실현될 때 모음 공간의 중심부에서 발음된다. 현대 한국어에서 길이의 음성적 기능은 혀의 긴장을 높여 모음의 조음 영역을 넓히는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