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唐 德宗의 국가 운영과 帝國 재건 : State Governance and Reconstruction of the Empire under Emperor Dezong of Tang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종성

Advisor
조성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唐 德宗安史의 亂漕運路陸贄藩鎭財政外交吐蕃위구르宦官神策軍제국 재건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2023. 8. 조성우.
Abstract
After the rebellion of An Lushan, Emperor Dezong(德宗) faced various challenges in reconstructing the empire. One crucial task was to secure the Jianghuai(江淮) Canal, which was essential for financial operations and closely related to the post-rebellion state governance.
During the reign of Emperor Xuanzong(玄宗), Tang court actively began utilizing the Canal as a transportation route to transfer goods from Jiangnan region to Chang'an. Subsequently, the steady economic development in Jiangnan reg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ang government's finance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its revenue. However, after the rebellion of An Lushan, Tang Dynasty could not fully control the Jianghuai Canal, as the rebel-held territories, including Bianzhou(汴州) and Xuzhou(徐州), obstructed the major points along the route. Many of these rebellious fanzhens were led by former generals under An Lushan and Shi Siming's command. Tang Dynasty, unable to suppress them completely, faced opposition and resistance in the Hebei(河北) and Henan(河南) provinces.
To counter the rebel forces, Tang court deployed troops in the regions of Hedong(河東), Henan, and Huainan(淮南) provinces, strategically positioning them to be supplied with provisions through the transportation of goods from Jiangnan region. However, continuous military efforts against the neighboring powerful states of Tubo(吐蕃) Empire and Uyghur Empire resulted in the exhaustion of resources and manpower, making it challenging for Tang Dynasty to confront the rebellious regions fully.
Emperor Dezong focused on establishing peaceful relations with the Tubo Empire instead of maintaining strained relations. This allowed Tang Dynasty to redirect military and material resources from the northwest frontiers to concentrate on internal issues. When the rebellion in Jianzhong(建中) Era escalated, the rebel-held territories blocked both the Jianghuai and Jianghan(江漢) Canal, disrupting the flow of materials to Chang'an. However, through active responses by Tang Dynasty, both transport routes were eventually secured, and the initiative was gained in confronting the rebellious regions.
Meanwhile, an internal uprising occurred in Chengde fanzhen, led by Wang Wujun(王武俊) who assassinated the regional commander Li Weiyue(李惟岳). Wang Wujun defected to Tang government, leading to a favorabl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for Tang Dynasty. In response, the rebellious fanzhens urged Tang government to expel all the regional commanders who had joined them and replace them with civil officials, as they believed it would be a more loyal and reliable choice. This proposal was received widespread support from the regional commanders including Li Xilie(李希烈) of Huaixi(淮西) fanzhen. He further complicated the situation by teaming up with the rebels and blocking the Jianghuai Canal, making financial operations for Tang Dynasty difficult.
When Li Xilie attacked the areas adjacent to the Jianghuai Canal, Emperor Dezong dispatched troops led by General Geshu Yao(哥舒曜) to counter the rebellion. However, Geshu Yao suffered defeat and was subsequently besieged in Xiangcheng(襄城),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safety of the Jianghuai Canal, making it difficult for Tang Dynasty to supply provisions. In an attempt to support the besieged Geshu Yao, the Emperor failed to reward the Jiongyuan(涇原) Army sufficiently, leading to their rebellion. This event, known as the "Jingshizhibian(涇師之變)" had a direct impact on the disruption of the Jianghuai Canal. As a result, Emperor Dezong fled from Chang'an to Fengtian(奉天).
Although Shuofang(朔方) Jiedushi Li Huaiguang(李懷光) rescued Emperor Dezong, he harbored dissatisfaction with the posthumous treatment and eventually aligned with the rebel forces, threatening Emperor Dezong and occupying the Hezhong(河中), effectively causing Tang Dynasty to lose control over the Jianghuai Canal entirely. The center of supply, Chang'an, was taken away, rendering Tang forces unable to wage war against the rebel faction. Emperor Dezong issued the "Decree of self-blame(罪己詔)", attributing the causes of the rebellions by the regional commanders to himself and vowing that if the regional commanders refrained from attacking the areas beyond their jurisdiction and cut ties with Zhu Ci(朱泚), who had proclaimed himself Emperor with the support of the Jiongyuan Army, he would grant amnesty to their forces. This was an inevitable choice made by Emperor Dezong in the unfavorable situation he found himself in. As a result, some of the rebel forces surrendered to Emperor Dezong and were granted the positions they desired as regional commande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se surrendered forces, Emperor Dezong successively suppressed the remaining rebel factions who refused to surrender.
Although the crisis was alleviated with the "Decree of Self-blame," Emperor Dezong still faced financial difficulties. To secure surplus funds, he implemented measures such as reducing officials' salaries and leaving vacancies among officials unfilled. The background behind Emperor Dezong's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fanzhen was the severe financial crisis. However, by securing control over the entire area through which the Canal passed and subduing all rebel factions outside the Hebei and Henan regions, Emperor Dezong significantly shortened the front lines with the fanzhen. This way, he managed to alleviate some of the challenges faced since the rebellion of An Lushan.
Upon his return to Chang'an, Emperor Dezong sought to diminish the potential threat to the Emperor by dividing the jurisdiction of Shuofang Army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rebellion into three smaller fanzhens. However, the Shuofang Army was a crucial faction defending the northwest border, and weakening them could have led to a vulnerability in the defense of the northwest border. To address this concern, Emperor Dezong deployed a considerable number of Shence(神策) Army to the northwest border region, placing them under the command of the Shencezhongwei(神策中尉), who consisted of eunuchs. Shencezhongwei was appointed directly by the Emperor, and Emperor Dezong used this appointment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defense in the northwest border area while reducing the potential threat of the fanzhens in that region. These measures, in conjunc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military strength near the capital, constituted a dual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trunk and weakening the branches(强幹弱枝)' to effectively confront the regional forces.
The problem aros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ubo Empire. Since the 'Surprising raid in Ping-liang Treaty(平涼劫盟)' in 787, the amicable relations between Tang Dynasty and Tubo Empire that had been maintained since Dezongs ascension to the throne were shattered, posing a threat to the safety of Chang'an. However, Tang Dynasty had not yet completely overcome the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the war and was burdened by the issue of the strong military power of Tubo Empire in the northwest border region.
To address this, Emperor Dezong engaged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Uighur Empire, Nanzhao(南詔), Abbasid Caliphate, and Tianzhu(天竺), aiming to collaboratively suppress Tubo Empire. This approach proved effective, and as the reign of Emperor Dezong progressed, the threat from Tubo Empire to the northwest border of Tang Dynasty gradually diminished. As a result, Tang Dynasty was able to establish a stable foundation for governing the empire.
Afterward, Emperor Dezong maintained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fanzhens. However, in 799 he took a different approach by mobilizing seventeen fanzhen forces to suppress the Huaixi fanzhen. The reason behind Emperor Dezong's decision was that the Huaixi fanzhen posed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Jianghuai Canal. When Chenxu(陳許) Jiedushi Quhuan(曲環) died, Wu Shaocheng(吳少誠), the Huaixi Jiedushi, took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o attack Xuzhou(許州). In response, Emperor Dezong ordered the suppression of the Huaixi fanzhen. This is also relevant to the fundamental duty of the Chenxu Jiedushi, which was to block access to the Jianghuai Canal by the Huaixi fanzhen.
However, during this campaign, Emperor Dezong chose not to appoint an commander in chief for the entire punitive force and instead attempted to control the situation through eunuchs. This attempt was aimed at preventing the establishment of a massive military force that could threaten the Emperor, but the absence of centralized command led to issues with leadership, resulting in continuous defeats for the punitive force.
Later, Han Quanyi(韓全義) was appointed as the Commander for Pacification and Conquest(招討使). However, he, too, was a recommended candidate by Shencezhongwei Dou Wenchang(竇文場) and had limitations in military talent. As Han Quanyi repeatedly suffered defeats, Emperor Dezong decided to pardon Huaixi fanzhen, citing Wu Shaochengs submission of a petition expressing his willingness to correct his mistakes. In September of 800, Emperor Dezong disbanded the punitive force.
Although the campaign against the Huaixi fanzhen ended in failure, Tang Dynasty was successful in safeguarding the primary defensive objective of the Jianghuai Canal. He also demonstrated to the fanzhen that he was prepared to mobilize a large-scale punitive force should any fanzhen pose a threat to it. Consequently, the failure of the campaign against the Huaixi fanzhen can be estimated as a significant event in the final stages of Emperor Dezong's efforts to reconstruct Tang Empire.
It cannot be claimed that Emperor Dezong completely resolved all the various chanllenges that were lingering in Tang Dynasty after the rebellion of An Lushan during his reign. However, it is true that Emperor Dezong laid the foundation for essential conditions for governing the empire, such as securing the Jianghuai Canal,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and preventing the fanzhen from launching incursions outside their territories. In this sense, the reign of Emperor Dezong brought together several element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reconstruction" of Tang Empire.
The fact that Tang Dynasty persisted for over a hundred years even after Emperor Dezong's reign indicates that his policies had shown effectiveness. The groundwork for subsequent emperors, including Emperor Xianzong(憲宗), to focus on addressing the fanzhen issue was already established during Emperor Dezong's era.
安史의 亂이 종식된 이후에 제위에 오른 唐의 첫 번째 황제인 德宗은 제국의 재건을 위하여 당면한 각종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특히 唐朝는 제국을 재건하기 위해서 재정 운영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江淮 漕運路의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했고, 이는 안사의 난 후 당조의 국가 운영 지침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당 玄宗 시기 長江 중하류 지역의 물자를 長安으로 수송하는 조운로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이후 경제적으로 꾸준하게 발전해온 장강 중하류 지역의 생산력은 당조의 재정에 있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하지만 안사의 난 후 당조는 강회 조운로를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는데, 그 배경에는 反側之地가 汴州·徐州와 같은 강회 조운로가 지나는 주요 거점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들 반측지지의 절도사들은 대부분이 과거 安祿山·史思明 휘하의 장수 출신으로, 당조가 이들을 전쟁 후에도 그대로 節度使로 유임시키면서 하북도와 하남도 일대에는 조정과 일부 대립하는 反側之地가 나타나게 되었다. 당조는 이들 반측지지에 대항하기 위한 병력을 河東道·河南道·淮南道 일대에 배치하고서 장강 중하류 지역의 물자를 통하여 이들 병력에 대한 보급을 진행하였으나, 인접한 강대국인 吐蕃·위구르를 방어하기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병력과 물자가 소모되었기에 당조는 반측지지와 전력을 다해 맞설 수 없었다.
덕종은 즉위 후 약체화된 위구르와의 관계보다 토번과의 화친 관계 형성에 주력하였고, 이로써 당조는 서북 변경에 투입되던 물자와 병력을 반측지지와의 전쟁으로 돌림으로써 내부 번진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외교 문제가 정리된 후 당조가 建中 연간 번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자, 반측지지 또한 강회 조운로와 江漢 조운로를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장강 중하류 지역의 물자를 장안으로 수송할 수로를 끊음으로써 당조와 맞섰다. 당조 또한 해당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결국 두 조운로가 지나는 영역을 모두 확보하였고, 이에 당조는 반측지지와의 전쟁에서 주도권을 잡았다. 成德 번진 내부에서는 병란이 발생하여 王武俊이 藩帥인 李惟岳을 살해하고 조정에 투항함으로써 전황은 당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반란군 측은 조정에 투항한 번진들에 덕종이 과거 반측지지의 절도사들을 모두 내쫓고 문신으로 대체하려는 생각이라며 유세하였는데, 여기에 여러 번진의 절도사들이 호응함으로써 당조는 재차 위기를 겪게 되었다. 특히 淮西節度使 李希烈은 반란군과 합세하고서 변주를 점령하여 강회 조운로를 재차 단절시킴으로써 당조의 재정 운영을 어렵게 하였다. 여러 방면에서 전쟁을 동시에 수행해야 했던 당조가 가장 우선시했던 과제는 장안의 안전과 강회 조운로의 확보였으며, 이는 당시 陸贄가 전쟁의 이해를 정리하여 덕종에게 보고한 글에서도 확인된다. 하지만 강회 조운로의 상실로 인해 물자 보급이 어려워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덕종은 장안에서 봉천으로 피난하게 된다. 이희열이 강회 조운로와 인접한 지역을 공격하자 당조는 哥舒曜를 지휘관으로 하는 병력을 파견하여 이에 맞서게 하였지만, 가서요가 패배하고 오히려 襄城에서 포위됨으로써 강회 조운로의 안전은 크게 위협받았고 당조는 물자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포위된 가서요를 지원하기 위해 장안을 지나던 涇原軍에 황제가 충분한 상을 내리지 못하여 이들이 병란을 일으킨 것 또한 결국 조운로의 차단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에 덕종은 장안을 떠나 奉天으로 피난하는 이른바 涇師之變을 경험한다. 朔方節度使 李懷光이 봉천에 갇힌 덕종을 구원하였지만, 사후 조치에 있어 불만을 품고 이회광은 오히려 반란군과 연합하여 덕종을 위협하며 장안 동쪽의 하중부에 웅거함으로써 당조는 강회 조운로에 대한 통제권을 완전히 상실하였으며 물자 보급의 중심이 되어야 할 장안마저 빼앗겨 반측지지와의 전쟁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덕종이 「죄기조」를 반포하여 당시 각 절도사들이 일으킨 반란의 원인을 덕종 황제 본인에게 돌리며, 자기 영역 이외의 주변 번진을 공격하지 않고 涇原軍에 의해 황제로 옹립된 朱泚와의 관계를 끊는다면 어떤 번진의 병력이라도 사면하겠다고 약조한 것은 당시 당조가 처한 불리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이에 반란군 중 일부는 당조에 귀순함으로써 원하던 절도사 자리를 인정받았고, 이들의 협조를 바탕으로 당조는 귀순을 거부한 나머지 반란군을 차례로 진압하였다.
「죄기조」로 인하여 급한 위기는 벗어났지만 당조는 여전히 재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 때문에 당조는 官俸을 삭감하고 관원 가운데 결원이 생길 경우 이를 채우지 않는 등의 방책까지 동원하여 여유 재정을 확보하려 하였다. 이후 당조가 번진들이 자기 영역을 지키는 한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배경에는 심각한 재정난이 있었던 것이다. 다만 당조는 조운로가 지나는 전역을 확보하고 하북도과 하남도 일대 이외의 반측지지를 모두 제압함으로써 번진과의 전선 또한 크게 단축시킴으로써 안사의 난 이후 당조가 맞이했던 과제 중 일부를 해소하였다.
장안으로 돌아온 덕종은 반란에 가담했던 삭방군을 3개의 작은 번진으로 분할함으로써 황제를 위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다만 삭방군은 서북 변경을 방어하는 핵심 번진이기에 삭방군의 약화는 자칫 서북 변경 방어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 당조는 이에 다수의 신책군 병력을 서북 변경 지역에 배치하고 그 총괄을 宦官이 맡은 神策中尉에게 맡김으로써 약화된 서북 변경의 방어력을 보강한다. 신책중위는 황제가 전적인 임명권을 지닌 使職으로, 덕종은 이를 통해 서북 변경의 방어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해당 지역의 번진이 황제를 위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었다. 이상의 방책은 한편 수도 인근의 군사력을 강화시켜 지방 번진의 병력에 맞서는 줄기를 강하게 하고 가지를 약하게 하는(强幹弱枝) 효과도 지닌 이중적인 조치였다.
문제는 토번과의 관계에서 발생하였다. 貞元 3년(787) 발생한 平涼劫盟으로 인해 덕종 즉위 초부터 이어져오던 토번과 당조 간의 화친 관계는 무너졌고, 이로써 장안의 안전은 위협받게 되었다. 하지만 당조는 아직 전쟁 후의 재정난을 온전히 극복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서북 변경 지역의 번진이 강한 군사력을 지니는 문제 또한 황제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었다. 이에 당조는 위구르·南詔·大食·天竺 등 토번의 여러 인접국과 외교적으로 교섭하여 토번을 협공함으로써 당조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변경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시도는 효과를 보아 덕종 후기로 가면서 토번의 당조의 서북 변경에 대한 위협은 점차 약해졌고, 이로써 덕종은 안정적으로 국가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후 당조는 번진에 대한 유화적인 태도를 견지하였으나, 정원 15년(799) 덕종은 17개 번진의 병력을 동원하여 회서 번진을 토벌함으로써 그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당조가 이러한 결정을 내린 이유는 회서 번진이 강회 조운로의 안전을 위협했기 때문이었다. 회서절도사 吳少誠이 陳許節度使 曲環이 사망한 틈을 타 許州를 공격하자 덕종은 회서 번진에 대한 토벌을 명령하는데, 이는 진허절도사의 기본 직능이 회서 번진의 강회 조운로에 대한 접근을 저지하는 것이었다는 사실과도 유관하다. 다만 그 과정에서 덕종은 전체 토벌군을 지휘할 통수를 두지 않은 채 환관이 맡은 감군사를 통하여 전황을 통제하려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황제를 위협할 수 있는 거대 무력 집단의 성립을 막기 위한 것이었으나, 통수의 부재로 인해 지휘력에 문제가 생긴 토벌군은 계속적으로 패배하였다. 이후 韓全義가 招討使로 임명되었지만 그 또한 신책중위 竇文場의 추천을 받은 인물로 군사적 재능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후 한전의가 군사적 무능을 노출하며 패전을 거듭하자 덕종은 명장을 초토사로 임명하기보다는, 오히려 오소성이 자신의 잘못을 고치겠다며 올린 표장을 구실로 삼아 정원 16년(800) 9월에 그를 사면하고 토벌군을 해산시키는 결정을 내린다. 해당 전쟁에서 당조는 회서 번진을 토벌하는 데에 실패하였지만, 그럼에도 강회 조운로라는 1차 방어 목표를 지켜내는 데에는 성공했으며 이를 위협하는 번진이 있다면 대규모 토벌군을 동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사실을 여러 번진에 과시하였다는 사실은 의미가 있다. 때문에 정원 15년의 회서 번진 토벌의 실패는 오히려 덕종 말기 당 제국의 재건을 위한 기초 작업이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
당조가 안사의 난 이후 안고 있던 여러 문제를 덕종이 재위 기간 동안 온전히 해결하였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덕종이 최소한 조운로의 확보와 외교 관계의 정립, 번진들로 하여금 자기 영역 밖을 침공하는 것을 제지하는 등 국가 운영을 위한 기본 조건을 마련하였음은 사실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덕종 시기를 통해 당 제국이 재건될 수 있는 여러 요소가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덕종의 사후에도 당조가 100여년이라는 짧지 않은 기간을 존속할 수 있었던 사실은 덕종 시기의 여러 정책이 효과를 보았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후 헌종을 포함한 덕종 이후의 황제들이 번진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바탕은 덕종 시기에 이미 마련되어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9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