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홍타이지 시기(1626~1643) 후금-청과 명 간의 강화교섭 전개 양상과 그 의미 : Qing Taizong Hongtaijis Peace Negotiations with the Ming, 1626-1643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재완

Advisor
구범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강화교섭명청 전쟁홍타이지원숭환화북침공명청교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2023. 8. 구범진.
Abstract
Hongtaiji(皇太極, r.1626-1643) ascended the throne as the second Han(汗) of the Later Jin(後金). After he died, Dorgon(多爾袞) advanced into Pek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Shanhai Pass(山海關). The Qing(淸) eventually won the war by destroying the Southern Ming(南明). Since Hongtaijis state had won the Ming-Qing War and in the end had conquered the Ming(明) proper, he tended to be understood as having had the conquest of the Ming proper as an early goal.
This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explain his peace negotiations with the Ming. Many studies have identified his peace negotiations as a strategy designed to achieve the goal of conquering the Ming. This thesis departs from such a teleological approach and attempts to examine the overall development of peace negotiations during the Hongtaiji period.
In the early phase of Hongtaijis peace negotiations, the counterpart was Yuan Chonghuan(袁崇煥). Having heard the news of Nurhacis death, Yuan dispatched the envoys to present his condolences to Nurhaci. In response, Hongtaiji wrote a letter to Yuan. As Yuan did not reply, Hongtaiji sent another letter presenting specific conditions for the peace agreement.
At this point, Hongtaiji and Yuan Chonghuan used peace negotiations as a deceptive tactic. Hongtaiji secured time on the Ming front and sent an army to Chosŏn to eliminate Mao Wenlong(毛文龍). Yuan took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to construct castles in the Liaoxi(遼西) region. As the negotiations were stopped, Hongtaiji launched an attack on Yuan's side. Hongtaiji suggested negotiations on the battlefield, but he did not get any reaction back from Yuan's side.
After the defeat of this attack, Hongtaiji dispatched envoys to offer condolences on the death of the Ming Emperor and to suggest peace negotiations. However, the Ming side rejected the envoys visit. Soon after, Yuan returned to Liaodong after his resignation, and Hongtaiji made peace talk with him again. The negotiations broke down despite Hongtaijis concessions regarding seals and the eras name. In response, Hongtaiji invaded Huabei(華北). On the battlefield of the invasion, he suggested negotiations with the Ming emperor and the officials in Liaodong.
The invasion of Huabei in 1632 took place along with an expedition against the Chakhar Ligdan. In the sixth year of the Tiancong era(1632), the Later Jin-Mongol allied forces marched north toward Ligdan. As Ligdans whereabouts were not known, they turned their forces south and launched an invasion of Mongolian cities along the Ming frontier. On the way back to Shenyang(瀋陽), Hongtaiji negotiated with the officials from the Xuanfu(宣府). During this negotiation, he repeatedly invoked the precedent of Tümed Altan, arguing that the Later Jin would receive the goods that the Ming had offered for peaceful relations with the Mongols. Resuming trade with the Ming was another major agenda of the negotiation.
In the era of Chongde(崇德, 1636-1643), the Minister of War(兵部尙書) of the Ming court actively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a peace agreement with the Qing. In the third year of the Chongde era(1638), Yang Sichang(楊嗣昌) received the Ming emperor's authorization to send envoys to Shenyang for a negotiation. It seems that the trade issues were being discussed along with the precedent of Altan. However, the negotiation was leaked at the Ming court, which gave Hongtaiji a pretext for raiding Huabei.
After the Ming army was defeated at the Battle of Songshan and Jinzhou(松錦之戰), the Ming court considered reconciliation with the Qing. Chen Xinjia(陳新甲), a Minister of War, dispatched envoys to Shenyang. Hongtaiji proposed that the Qing would set the Tashan(塔山) area as a border and resume trade in the adjacent place. Another condition was that the Qing would take a similar amount of presents the Ming had provided for the Chakhar. However, the negotiations were stopped again. After this, Hongtaiji decided to invade Huabei.
Hongtaiji repeatedly exhibited the following behaviors. When the negotiations progressed and were interrupted by the Mings attributable issues, Hongtaiji used such a situation as a pretext to attack the Ming. He then suggested negotiations again on the battlefield. As the Ming did not respond, he resumed his attack. This alternation between negotiation and attack is reminiscent of the outer frontier strategy of nomadic empires which was suggested by Thomas J. Barfield. Economic difficulties that the Manchu state was facing were behind such behaviors. Hongtaiji repeatedly exhibited behaviors similar to the outer frontier strategy and sought to coexist with the Ming by achieving a peace agreement with it.
In conclusion, Hongtaijis peace negotiations were not used as a well-designed strategy to achieve the great goal of conquering the Ming. It was the great achievements of the Qing that caused the misunderstanding of his Hongtaijis negotiations as a far-sighted and carefully planned strategy to conquer China.
홍타이지는 천명 11년(1626) 아버지 누르하치의 뒤를 이어 후금의 한(汗)으로 즉위하였다. 명과의 전쟁은 그가 사망할 때까지 끝나지 않았다. 요동 방어의 중요 거점인 산해관(山海關)을 넘어 북경성에 진주한 자는 누르하치도 홍타이지도 아닌 섭정왕(攝政王) 도르곤(多爾袞)이었다. 이후 청은 남명 정권을 멸망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자가 되었다. 그런데 누르하치가 수립한 국가가 명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중원을 정복하였다는 사실로 인해 누르하치와 홍타이지는 일찍부터 중원 정복을 목표로 삼았다고 이해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이해는 홍타이지가 명과 전쟁 중에 수행한 군사 작전뿐만 아니라 강화교섭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되었다. 다수의 연구에서 홍타이지가 중원 정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화교섭이라는 전략을 치밀하게 계획하여 수행하였다고 파악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론적 접근법에서 벗어나 홍타이지 시기 강화교섭의 전개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명과의 교섭 당시 왕래했던 실물 문서의 도판, 당안 자료와 더불어 󰡔天聰實錄稿󰡕 등 원시 사료 및 그에 준하는 사료들을 활용하였다.
천명 11년(1626) 누르하치의 사망 소식을 확인한 요동순무(遼東巡撫) 원숭환(袁崇煥)은 이라마(李喇嘛) 등 사신 일행을 파견하여 조의를 표하고 새롭게 한으로 즉위한 홍타이지에게 축하를 전했다. 홍타이지는 서신을 보내 이제 자신과 양국 간의 사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하였다. 원숭환은 답신을 보내지 않았고, 홍타이지는 천총 원년(1627) 정월 8일에 재차 서신을 보내 강화의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시기 홍타이지와 원숭환은 기만 작전으로 교섭을 활용하였다. 홍타이지는 교섭의 제안을 통해 명 측 전선에서 시간을 확보하는 한편 모문룡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선 쪽으로 군대를 발동하였다. 원숭환은 요서(遼西) 지역에 성을 수축하여 후금에 대한 방비를 강화하였다. 이후 양측 간에는 서신이 더 왕래하였으나 원숭환이 답신을 보내지 않게 되면서 교섭은 중단되었다. 홍타이지는 교섭의 중단을 명분으로 삼아 영금지전(寧錦之戰, 1627)에 착수하였다. 그런데 이 영금지전의 전장에서 홍타이지는 금주성(錦州城)의 태감에게 교섭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응하지 않자 홍타이지는 공격을 재개하였다.
영금지전에서의 패배 이후 홍타이지는 몽골의 타이지와 라마를 파견하여 천계제(天啟帝)의 죽음에 조의를 표하고 교섭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명 측은 조문을 거절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임해있던 원숭환이 요동독사(遼東督師)로 복귀하였고 홍타이지는 그와 다시 교섭을 진행하였다. 이 교섭에서 홍타이지가 인장과 연호에 관한 원숭환의 요구를 상당 부분 수용하였음에도 교섭은 중단되었다. 이를 명분으로 홍타이지는 화북을 침공하였고 그 과정에서 명 황제, 요동의 관원에게 교섭을 제안하였다.
1632년 화북침공은 차하르 릭단에 대한 원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천총 6년(1632) 릭단을 향해 북상하던 후금-몽골 연합군은 릭단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자 군대를 돌려 명 변경의 몽골 바이싱을 침공했다. 연합군은 화북 변경 지역에서 물자를 약탈하였고 차하르가 명으로부터 받기로 되어있던 물자를 거두어갔다. 심양으로 귀환하는 과정에서는 산서(山西)의 선부(宣府) 관원과 교섭을 진행하여 선부 맹약(宣府 盟約)을 맺고 명과 교역을 실시하였다. 이 교섭에서 홍타이지는 명이 몽골 세력과의 평화적인 관계를 위해 제공했던 무상은(撫賞銀)을 이제 후금이 받겠다고 주장하면서 알탄의 선례를 언급했다. 전쟁으로 단절되었던 명과의 교역을 재개하는 것도 주요 안건이었다. 맹약은 연합군이 심양으로 귀환한 이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홍타이지는 천총 7년(1633)의 대토론을 거쳐 이듬해 다시 화북을 침공하였다. (1634 화북침공) 침공 발발의 원인은 선부 맹약이 명 측에 의해 파기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침공의 과정에서 교섭의 제안이 산서의 관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숭덕 연간의 강화교섭은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변경의 관원이 아닌 명 병부상서가 청과의 강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숭덕 3년(1638) 명 병부상서(兵部尙書) 양사창(楊嗣昌)은 명 황제의 재가를 받아 사신을 심양으로 파견하여 비밀교섭을 진행하였다. 교섭의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으나 교역 문제가 논의된 것으로 보이며 알탄과 융경화의(隆慶和議)가 다시 거론되었다. 비밀교섭이 누설되어 교섭은 중단되었고, 홍타이지가 화북을 침공하는 데 명분을 제공하였다.
송금지전(松錦之戰)에서 명의 대군이 청군에게 패배하여 송산・금주성에 고립됨에 따라 명에서 청과의 강화가 다시 검토되었다. 명의 병부상서 진신갑(陳新甲)은 명 황제의 재가를 받아 사신을 심양으로 파견하였다. 홍타이지는 탑산(塔山) 지역을 국경으로 삼고 그 부근에서 교역을 재개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몽골 세력이 명으로부터 받았던 정도의 예물을 받는 것도 하나의 조건이었다. 교섭은 또 중단되었고 홍타이지는 화북침공을 결정하였다. 단 그는 원정군의 지휘관에게 강화를 위한 명의 사신을 출정 길에 만나게 된다면 이들을 심양으로 보내와야 한다고 명을 내렸다. 이는 홍타이지가 숭덕 7년(1642) 교섭이 중단된 시점에서도 강화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홍타이지 시기 강화교섭은 여러 측면에서 다른 전개 양상을 보였다. 그런데 이 양상 속에서 드러나는 것은 홍타이지가 다음과 같은 양상을 반복적으로 보였다는 점이다. 교섭이 진행되고 명 측의 사유로 인해 중단되자 홍타이지는 이를 명분으로 삼아 명을 공격하였다. 이 전장에서 다시 교섭을 제안하였고 명 측이 여기에도 응하지 않자 공격을 재개하였다. 이처럼 교섭과 공격을 번갈아 수행하는 행태는 토마스 바필드(Thomas J. Barfield)가 제시한 유목국가의 외부변경전략(the outer frontier strategy)을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양상이 드러나는 배경에는 홍타이지 재위기 후금-청이 처해 있던 경제적 곤란이 있었다. 홍타이지는 명과 강화를 통해 명과 교역을 재개하고 물자를 확보하여 후금-청이 처해 있던 열악한 경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홍타이지는 외부변경전략과 유사한 양상을 반복적으로 보이면서 강화를 성사시키고자 하였고, 우선 명과의 전쟁을 중단하고 알탄의 선례를 따라 명과 공존의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7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