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현실주의 사진과 도큐먼트 : The Photography of Surrealism and Docu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연

Advisor
박상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초현실주의초현실주의 사진도큐먼트반-예술미셸 푸아베르던 아데스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3. 8. 박상우.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photography in surrealism, focusing on the concept of document, and to reveal the role of photography in surrealism. Since the 1970s, early theories analyzing surrealist photography often perceived it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for manifesting unrealistic images. Consequently, research on ordinary photography, found in surrealist movements,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dinary, everyday, or academic documentary photography and surrealism―rather than art photography―, this thesis applies the theories of surrealist photography by Dawn Ades and Michel Poivert.
To better comprehend surrealism, Ades expanded the subject of discussion to include the periodicals published during the movement. From this, she further discovered a unique relationship between surrealist text and photography. In her researches, this thesis focuses on photographs functioning as records or evidence for texts, that is, documents, and summarizes the role of them. According to Ades, surrealist magazines has the aspect of scientific magazines that devoted to research. Within these, photography is not considered as a artistic form typically found in art magazines, but rather as a document to record and verify the research contents.
In this context, Ades finds that photography, in novels and texts published in surrealist magazines, was used as a document of specific concepts for the revolution of thought and conscious, by André Breton, a pioneer of surrealism. Photography that can objectively captures reality was used as a document to record the place of marvellous as an experience of surrealistic beauty and to reveal convulsive beauty that appears in nature. Ades also reviews and analyzes the photographs used by Breton's antagonist, Georges Bataille. Both utilized documentary photography, but their theoretical goals diverged, with Breton aiming for non-materialism and Bataille advocating base materialism.
Ades study, despite its importance in highlighting documentary photography within surrealism,requires further exploration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ealism and document photography, particularly since it places great importance on photographs taken by surrealist photographers. Accordingly, this thesis reviews Poiverts research of surrealist photography, which emphasizes that the use of photography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actice of photography in surrealist photography. According to Poivert, surrealists favored reusing photographs produced in cultures outside of art, rather than creating their owns. They misused 19th century anachronistic photographic images, and accordingly, Poivert detects the paradoxical characteristic of anti-modern avant-garde in surrealist photography: the reuses of past photographs as an avant-garde movement to pioneer the future through revolution.
As such, surrealism disrupted the realm of art by employing photography, which was considered an anti-artistic cultural product until that time. Poivert investigates how these anti-artistic photographs acquired artistic value through surrealists. Under the same desire to unite art and life, Breton and Bataille each utilize anti-artistic documents of the past for completely different theories of beauty. They maintained the use-value of anti-artistic document photography while bestowing it with artistic value through poetic interpret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new aesthetic valu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photographic documents in surrealism, the history of automatism as a key principle of surrealism is reconstruc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ealism and documentary photography.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ealism and photography is most clearly revealed in the concept of automatism, and it is also clarify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Bretons surrealism. To this end, we examine the impact of occultism and psychiatr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automatism, and analyze their relationship with scientific photographic document in it.
And Poivert argues that photography was strategically used when surrealism was criticized for failing to be an art movement participating in political revolution due to the idealistic nature of early automatism. According to Poivert, scientific document, the photograph of electric flame which denotes the capture of an image, could serve as a material means of materialistic automatism by presenting the moment when an thought emergence in concrete and visually.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thesis intends to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in surrealism through documentary photography. With this opportunity, hope that various photographic images that exist in the surrealist movement but have not been noticed will be illuminated from a new perspective.
본고는 도큐먼트 개념을 중심으로 초현실주의 사진을 검토하고 초현실주의에서 사진의 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 이후 초현실주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는 초기의 연구들은 초현실주의 사진을 비현실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예술적 표현 매체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로 인해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발견되는 사진들 중 조형적으로 평범한 사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예술 사진이 아닌 평범하고 일상적이거나 혹은 학문적인 도큐먼트 사진과 초현실주의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던 아데스와 미셸 푸아베르의 초현실주의 사진론을 연구의 틀로 삼는다.
아데스는 초현실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운동 기간 내 발간된 정기간행물을 논의 대상으로 확장시켰으며, 나아가 이를 토대로 초현실주의 텍스트와 사진 사이에 특별한 상호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본고는 아데스의 이러한 연구에서 텍스트를 위한 기록이나 증거로서, 즉 도큐먼트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사진들에 주목하여 그 역할을 정리한다. 아데스에 의하면 초현실주의 잡지는 연구에 전념하는 과학 잡지의 면모를 지니며, 그 안에서 사진은 일반 예술 잡지에 실린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연구 내용을 검증하고 예시하기 위한 도큐먼트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데스는 소설과 초현실주의 잡지에 실린 텍스트에서 사진이 초현실주의 선구자 앙드레 브르통의 의식의 혁명을 위한 특정 개념들의 도큐먼트로 사용되었음을 발견한다. 현실을 객관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사진은 초현실주의적 미에 대한 경험으로서 경이의 장소를 기록하고 자연에서 나타나는 경련적 아름다움을 드러내기 위한 도큐먼트로 활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아데스는 브르통의 적대자 조르주 바타이유가 사용하고 있는 사진을 함께 검토하고 분석한다. 브르통과 바타이유는 모두 도큐먼트적 사진을 사용하지만 각각 비유물론과 낮은 유물론이라는 상이한 이론적 목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데스의 연구는 초현실주의에서 도큐먼트의 기능을 하는 조형적으로 평범한 사진 이미지에 주목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분명 의미 있으나, 초현실주의 사진가에 의해 제작된 사진에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초현실주의와 도큐먼트 사진의 관계를 더욱 다채롭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초현실주의 사진에서 사진의 실천보다는 사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푸아베르의 초현실주의 사진론을 검토한다. 푸아베르에 의하면 초현실주의자들은 사진을 제작하는 것보다 예술 바깥의 문화에서 생산된 사진을 재사용하는 것을 애호하였다. 그들은 19세기의 시대착오적 사진 이미지들을 오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푸아베르는 혁명을 통해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아방가르드 운동이면서 과거의 사진을 재사용한다는 점에서 반-모던적 아방가르드라는 역설적 특징을 초현실주의의 사진 활용 양상에서 탐지한다.
이처럼 초현실주의는 그 당시까지도 여전히 문화의 산물로서 반-예술성을 내포한 사진을 활용하여 예술의 영역을 교란시켰다. 푸아베르는 이러한 반-예술적 사진이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어떠한 목적에서 초현실주의의 예술 담론 내에서 다루어지게 된 것인지 검토한다. 예술과 삶을 결속시키고자 하는 동일한 욕망 아래, 미에 대한 상이한 이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브르통과 바타이유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과거의 반-예술적 도큐먼트을 활용하였다. 그들은 반-예술적 도큐먼트 사진의 사용가치를 그대로 보존한 채로, 시적으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거나 새로운 미적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사진이 예술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가장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현실주의에 나타나는 도큐먼트 사진의 이해를 바탕으로, 초현실주의와 도큐먼트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초현실주의의 핵심 원리로서 자동기술법의 역사를 재구축한다. 이는 푸아베르의 견지에 자동기술법에서 초현실주의와 사진의 관계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이론의 역사적 의식을 소명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자동기술법 원리의 초기 확립에 신비주의와 정신의학이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과학적 도큐먼트 사진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자동기술법이 갖게 된 관념론적 성격으로 인하여 초현실주의는 정치적 혁명에 참여하는 예술 운동이 될 수 없다는 비난을 받게 되었다. 푸아베르는 다름 아닌 이 시기에 사진이 자동기술법을 옹호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되었다고 주장한다. 푸아베르에 따르면 과학적 도큐먼트, 즉 이미지를 통한 사유의 포착을 암시하는 전기 불꽃 사진은 사유가 출현하는 순간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유물론적 자동기술법의 물질적 수단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본고는 초현실주의에서 사진이라는 매체가 갖는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도큐먼트 사진을 통해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계기로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존재하지만 주목받지 않았던 다양한 사진 이미지들이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되기를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3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