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한정부사 只, 就, 才 대조 연구 : 现代汉语限定副词只/就/才对比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천천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정부사연용의미기능유일성한량성양태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3. 8. 박정구.
Abstract
现代汉语限定副词只、就、才不仅使用频率高,而且语义多样,用法复杂。限定副词只、就、才在语义上存在明显差异,在功能上呈现不同面貌,但是《现代汉语词典》中的限定副词就的第一个义项和《现代汉语八百词》中的限定副词就、才的第一个义项都是相当于只,没有明确说明这三个限定副词的语义功能差异。而且《现代汉语词典》中的限定副词只和《现代汉语八百词》中的限定副词就都可以限定范围,但是只和就能否经常相互替代还是个疑问。《现代汉语词典》中的限定副词才和《现代汉语八百词》中的限定副词只、就、才都可以限定数量,但是这可能会引起在所有限定数量的句子中可以相同使用这三个限定副词的误解。此外,虽然限定副词只、就、才的对比研究很多,但是还需要更多语用上的对比分析,句法、语义上的对比分析也还需要完善。
为了进行精确的分析,本文对汉语母语者进行了语感问卷调查。在分析问卷调查结果时,根据实验者将例句判断为正确句的比例来判断例句的语法性。本文由以下五章组成。第一章介绍了本文的研究对象、研究主题、研究方法等。第二章考察了限定副词只、就、才的非连用特征。具体考察了限定副词只、就、才在是否含有数量成分时修饰主语、谓语、状语的句法、语义、语用特征。第三章考察了限定副词只、就、才的连用特征。具体考察了限定副词只、就、才在是否含有数量成分时修饰主语、谓语、状语的连续、非连续连用特征,以及连用的限定副词的使用频率。第四章解释了限定副词只、就、才的特征。通过只、就、才的语义变化过程,具体解释了它们的句法特征;通过只、就、才的语义功能差异,具体解释了它们的语义、语用特征。第五章总结了本文的研究成果,如下:
一、限定副词只、就、才的句法特征。先行研究中限定副词只可以限定体词性成分,然而本文的语感问卷调查结果显示,限定副词只可以修饰谓词性谓语、状语,但是难以修饰主语,难以或无法修饰体词性谓语。先行研究中限定副词就可以修饰的成分是有限的,然而本文的语感问卷调查结果显示,限定副词就难以修饰表阶级义和顺序义的体词性谓语,但是可以修饰主语、谓语、状语。先行研究中限定副词才无法修饰主语,然而本文的语感问卷调查结果显示,限定副词才难以修饰含数量成分的状语,难以或无法修饰不含数量成分的状语、动词和含数量成分的同位语结构充当的谓语,无法修饰含数量成分的同位语结构充当的主语、不含数量成分的主语、谓语,但是可以修饰含数量成分的主语、谓语、表阶级义和顺序义的体词性谓语。
二、限定副词只、就、才的语义特征。限定副词只可以限定谓词性谓语、状语的数量、范围,但是难以限定主语的数量、范围,体词性谓语的范围、时间量,难以或无法限定体词性谓语的数量,无法限定体词性谓语的程度量。限定副词就可以限定主语、谓语、状语的数量、范围,但是难以限定体词性谓语的程度量、时间量。限定副词才可以限定主语、谓语的数量、体词性谓语的程度量、时间量,但是难以限定状语的数量,难以或无法限定谓语、状语的范围,无法限定主语的范围。
三、限定副词只、就、才的语用特征。限定副词只没有预想数量,只是陈述客观事实,不显示说话者的主观评价、感情、心理状态。限定副词就蕴含说话者的主观评价、感情,比较委婉地表现了实际数量比预想数量少一点的说话者的主观心理状态。限定副词才非常直接地表现了实际数量比预想数量少很多、实际程度比预想程度低很多、实际时间比预想时间早很多的说话者的主观心理状态。
四、限定副词只、就、才的连用特征。只、就、才连续连用的限定副词的使用频率依次为就只>就才>才就>才只>只就>只才。限定副词只、就、才的前连用能力依次为只>才>就,限定副词只、就、才的后连用能力依次为就>才>只。而且只、就、才非连续连用的限定副词的使用频率依次为就1只2>就1才2>只1只2/只1就2>就1就2>只1才2。只作为非连续连用的第一个限定副词时,第二个限定副词的使用频率依次为只/就>才;就作为非连续连用的第一个限定副词时,第二个限定副词的使用频率依次为只>才>就。
五、限定副词只、就、才的语义变化过程。只经过了语气词—特殊副词—普通副词的语义变化过程,只的实化程度增强。这是先行研究中限定副词只可以修饰体词性成分,但是本文的语感调查中限定副词只变得难以修饰体词性成分的原因。就经过了从动词到限定副词,从实词到虚词的语义变化过程,就的虚化程度增强,就的语义推测以后会更加虚化。这是先行研究中限定副词就可以修饰的成分有限,但是本文的语感调查中限定副词就可以修饰的成分增多的原因。才经过了从名词到限定副词,从实词到虚词的语义变化过程,才的语义从才能变为稀少,从而产生了限定数量的语义。这是限定副词才可以修饰的成分总是和数量成分有关的原因。
六,限定副词只、就、才的语义功能差异。限定副词只的语义功能是[+唯一性]、[+限量性]、[-情态性],但是修饰体词性成分时,难以具有唯一性和限量性。无论修饰什么成分,限定副词就的语义功能都是[+唯一性]、[+限量性]、[+情态性]。限定副词才的语义功能是[-唯一性]、[+限量性]、[-情态性1]、[+情态性2],但是修饰状语时,难以具有限量性和情态性。而且限定副词就的情态性比限定副词才的情态性更加丰富。限定副词就蕴含说话者的主观肯定或否定评价、不满、同情、着急等主观感情,表现预想数量有终点,对实际数量感到满足的说话者的主观心理状态,显示委屈、妥协、确信的主观态度。但限定副词才表现预想数量有起点,对实际数量感到不足的说话者的主观心理状态,显示不满、埋怨的主观态度。
현대중국어 한정부사 只, 就, 才는 사용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의미가 다양하며 용법이 복잡하다. 한정부사 只, 就, 才는 의미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며 기능적으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지만, 《现代汉语词典》에서 한정부사 就의 첫 번째 의미 항목과 《现代汉语八百词》에서 한정부사 就와 才의 첫 번째 의미 항목은 모두 只와 같다고 하였는데, 이 세 한정부사의 의미기능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또한 《现代汉语词典》에서의 한정부사 只와 《现代汉语八百词》에서의 한정부사 就는 모두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只와 就는 항상 서로 대체될 수 있을지 아직 의문이다. 《现代汉语词典》에서의 한정부사 才와 《现代汉语八百词》에서의 한정부사 只, 就, 才는 모두 수량을 한정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모든 수량을 한정하는 문장에서 이 세 한정부사를 똑같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 외에, 한정부사 只, 就, 才에 대한 대조 연구가 많지만, 더 많은 화용적 대조 분석이 필요하고, 통사적, 의미적 대조 분석도 보완될 필요가 있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중국어 원어민 화자를 대상으로 어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분석할 때 실험자가 예문을 정문으로 판단한 비율에 따라 예문의 문법성을 판단하였다. 본고의 내용은 다섯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이며, 본고의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제2장은 只, 就, 才가 비연용하는 경우에 갖는 특성 부분이다. 只, 就, 才가 수량 성분 유무에 따라 주어, 술어, 부사어를 수식하는 경우 각각 어떤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3장은 只, 就, 才가 연용하는 경우에 갖는 특성 부분이다. 只, 就, 才가 수량 성분 유무에 따라 주어, 술어, 부사어를 수식하는 연속적, 비연속적 연용 특성을 살펴보며, 연용하는 한정부사들의 사용빈도를 살펴보았다. 제4장은 只, 就, 才의 특성에 대한 해석 부분이다. 본고는 只, 就, 才의 의미변화 과정을 통해 이들의 통사적 특성이 나타난 원인을 해석한 다음, 只, 就, 才의 의미기능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의미적, 화용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이며, 본고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통사적 특성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한정부사 只는 체언성 성분을 수식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본고의 어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정부사 只는 용언성 술어, 부사어를 수식할 수 있지만, 주어를 수식하기 어렵고, 체언성 술어를 수식하기 어렵거나 수식할 수 없다. 선행 연구에서는 한정부사 就는 수식할 수 있는 성분이 제한적이라고 하였는데, 본고의 어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정부사 就는 계급 의미와 순서 의미를 나타내는 체언성 술어를 수식하기 어렵지만, 주어, 술어, 부사어를 모두 수식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한정부사 才는 주어를 수식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본고의 어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정부사 才는 수량 성분이 포함되는 부사어를 수식하기 어렵고, 수량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부사어, 동사와 수량 성분이 포함되는 동격구조로 이루어진 술어를 수식하기 어렵거나 수식할 수 없으며, 수량 성분이 포함되는 동격구조로 이루어진 주어, 수량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주어, 술어를 수식할 수 없지만, 수량 성분이 포함되는 주어, 술어, 계급 의미와 순서 의미를 나타내는 체언성 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둘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의미적 특성이다. 한정부사 只는 용언성 술어, 부사어의 수량, 범위를 한정할 수 있지만, 주어의 수량, 범위, 체언성 술어의 범위, 시간량을 한정하기 어렵고, 체언성 술어의 수량을 한정하기 어렵거나 한정할 수 없으며, 체언성 술어의 정도량을 한정할 수 없다. 한정부사 就는 주어, 술어, 부사어의 수량, 범위를 한정할 수 있지만, 체언성 술어의 정도량, 시간량을 한정하기 어렵다. 한정부사 才는 주어, 술어의 수량, 체언성 술어의 정도량, 시간량을 한정할 수 있지만, 부사어의 수량을 한정하기 어렵고, 술어, 부사어의 범위를 한정하기 어렵거나 한정할 수 없으며, 주어의 범위를 한정할 수 없다.
셋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화용적 특성이다. 한정부사 只는 예상 수량이 없고 객관적 사실을 진술할 뿐이며 화자의 주관적 평가, 감정, 심리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한정부사 就는 화자의 주관적 평가, 감정을 내포하고 실제 수량이 예상 수량보다 좀 적다는 화자의 주관적 심리 상태를 보다 완곡하게 표현한다. 한정부사 才는 실제 수량이 예상 수량보다 많이 적다, 실제 정도가 예상 정도보다 많이 낮다, 실제 시간이 예상 시간보다 많이 이르다는 화자의 주관적 심리 상태를 매우 솔직하게 표현한다.
넷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연용 특성이다. 只, 就, 才가 연속적 연용하는 한정부사들의 사용빈도는 就只>就才>才就>才只>只就>只才 순이다. 한정부사 只, 就, 才의 전연용 능력은 只>才>就 순이며, 후연용 능력은 就>才>只 순이다. 또한 只, 就, 才가 비연속적 연용하는 한정부사들의 사용빈도는 就1只2>就1才2>只1只2 / 只1就2>就1就2>只1才2 순이다. 只가 비연속적 연용할 때 첫 번째 한정부사로 쓰이는 경우, 두 번째 한정부사의 사용빈도는 只/就>才 순이며, 就가 비연속적 연용할 때 첫 번째 한정부사로 쓰이는 경우, 두 번째 한정부사의 사용빈도는 只>才>就 순이다.
다섯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의미변화 과정이다. 只는 어기사—특별부사—일반부사의 의미변화 과정을 거쳤고, 只의 실화 정도가 강화되었다. 이것이 선행 연구에서는 한정부사 只는 체언성 성분을 수식할 수 있었지만, 본고의 어감 설문조사에서는 한정부사 只는 체언성 성분을 수식하기 어려워졌다는 원인이다. 就는 동사에서 한정부사로, 실사에서 허사로의 의미변화 과정을 거쳤고, 就의 허화 정도가 강화되었으며, 就의 의미가 앞으로 더 허화될 것으로 추측된다. 이것이 선행 연구에서는 한정부사 就가 수식할 수 있는 성분이 제한적이었지만, 본고의 어감 설문조사에서는 한정부사 就가 수식할 수 있는 성분이 늘어났다는 원인이다. 才는 명사에서 한정부사로, 실사에서 허사로의 의미변화 과정을 거쳤고, 才의 의미가 재능에서 드물다로 변화하였으며, 수량 한정의 의미가 생겨났다. 이것이 한정부사 才가 수식할 수 있는 성분이 항상 수량 성분과 관련이 있다는 원인이다.
여섯째, 한정부사 只, 就, 才의 의미기능 차이이다. 한정부사 只의 의미기능은 [+유일성], [+한량성], [-양태성]이지만, 체언성 성분을 수식하는 경우 유일성과 한량성을 가지기 어렵다. 한정부사 就의 의미기능은 무슨 성분을 수식하든 [+유일성], [+한량성], [+양태성]이다. 한정부사 才의 의미기능은 [-유일성], [+한량성], [-양태성1], [+양태성2]이지만, 부사어를 수식하는 경우 한량성과 양태성을 가지기 어렵다. 또한 한정부사 就의 양태성은 한정부사 才의 양태성보다 더 풍부하다. 한정부사 就는 화자의 주관적 긍정, 부정 평가, 불만, 동정, 조급 등 주관적 감정을 내포하고, 예상 수량에 종점이 있고, 실제 수량에 만족을 느끼는 화자의 주관적 심리 상태를 표현하며, 억울, 타협, 확신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지만, 한정부사 才는 예상 수량에 기점이 있고, 실제 수량에 부족을 느끼는 화자의 주관적 심리 상태를 표현하며, 불만, 원망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4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5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