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라이프니츠의 주름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bnizs fold concept -via interpretation of G. Deleuze
- 들뢰즈의 해석을 경유하여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성근

Advisor
김상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 라이프니츠모나드주름/주름구조/주름운동영혼과 신체의 통일로서의 예정조화지각표현들뢰즈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3. 8. 김상환.
Abstract
Currently, due to the high status of natural science, Gottfried Wilhelm Leibniz(1646.7.1.~1716.11.14.) draws attention as a founder of the binary system, combinatorics, and calculus, whichs became important inquiry tool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However, Leibniz's areas of research are much more extensive. They include philosophy, engineering(mechanics), law, theology, linguistics, history, natural science(physics, life science, geography), and more. Even after 300 years, Leibniz's numerous works are still being compiled into the Opera. And the underlying academic field that supports Leibniz's researches is clearly his Metaphysics.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principles of his metaphysics are synthesized in last published work, Les Principes de la Philosophie ou La Monadologie(below Monadology), which was written two years before his passing in 1714.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organize Leibniz's thoughts are also based on this text which can becomes a reference point to examine changes, associations, and coherence of concepts and topics over his life.
The methods and approaches to Leibniz study concerning this matter vary, but it is crucial to trace the connections between concepts and the context of discussions within Monadology. My particular interest is the discussion in §61 about the (overlapped) folds ("replis") that the monad possesses as a soul. This is related to the significant theme in Leibniz's expression theory, where the distinct perception as an internal action of monads and the concurrence with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covered. So far, it is rare that attempt to directly elucidate these topics through the "folds" concept. This issue arises from the fact that, in Leibniz's works, "folds" only appear as examples without receiving conceptual definitions or precise explanations about what is it. It seem to have been considered merely as a metaphors for explanation or daily terms used in text. As a result, they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upon examining Leibniz's texts in order, we can discove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folds" in the process of his thoughts changes. Especially in Leibniz's works after 1695, which can be seen as the period of maturity of his thinking, the concept of "fold" is frequently presented.
Considering that his works are still being compiled, the first text where the concept of "folds" can be found in Leibniz's writings is "Pacidius Philareti" written in 1676, as whose thoughts transitioned from his mid-period to later period. In this text, the folded structures[complicata] is presented as a way to understand material objects as physical continua concerning their infinite division. This concept is also applied whe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machines in the text "Système nouveau pour expliquer la nature des substances et leur communication entre elles, aussi bien que lunion de lame avec le corps"(1695, "System"). Furthermore, it appears in the Nouveaux essais sur l'entendement humain(New Essays) written between 1704 and 1705, where it is presented as a structure that can explain the generation of the ideas in the human brain while contrasting with the immaterial perception of monads. Therefore, the instances where the concept of "fold" is used concerning the soul are only found in the two works from the same period, Monadology §61 and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Grace(PNG) §13. However, if we consid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folded structure and perception in New Essays, we cannot overlook its role in explaining the action of perception in the overlapped folds of the soul. Thus, unless other texts are discovered where the fold concept is directly used concerning the soul and perception, we can infer that this concept is connected to consistent thinking processes. Historically, this inference corresponds to Leibniz's thoughts transition from natural science to monadological metaphysics.
The explanations found in Monadology and PNG reveal the differences in how objects, as proper organic body belonging to the soul, and the soul's perception represent the universe. The "fold" seems as a mediator for expressing these two divided and asymmetric realms as a same world. It is associated with the possibility of explaining the agreement of different realities and existent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folds theory" that can examine Leibniz's stance of mature period through this concept. If this discussion is reasonable, we can attempt to interpret and connect the specific topics Leibniz addresses in Monadology from the use of the fold concept. In detail, the discussion of "soul's overlapped folds" in Monadology §61 shows that the expression and folds cannot be simply read as an internal structure of monads or a perspective agreement among monads. In this phrase, it is evident that objects immediately reflect, express the entire universe in accordance of the principle of material plenitude. In contrast, the perception of the soul is limited since it can only read within itself what is perceived distinctly. The reason for this limitation is directly stated as "it cannot unfold all at once all that is overlap folded within it, for this proceeds to infinite." While the sensation of material objects and the perception of the soul are different kind of recognition,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equal expression of the whole universe through the way in which the soul possesses its own body. In this respect, "fold" open up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symbolic or analogic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ructure of organic bodies and the perception of the soul at the level of expressi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oul and the body based on the principle of pre-established harmony. Despite pre-established harmony exists at various levels, it is need to emphasize that the combination or concurrence of the soul and the body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monads" and Monadology. This also gives validity to the explana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Leibniz's thoughts, transitioning from its association with physics in the mid-period to being centered around metaphysics in the later period. In Leibniz's philosophy, especially, in the concept of simple substances are established as monads by virtue of the concept of force. And the existence of such forces set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mmaterial monad as a soul and composite organic bodies. Despite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oul, they form a unified continuum, i.e., a living organism like a human or an animal. At the same time, their activities in different realms correspond to each other by ruled under the principle of pre-established harmony. PNG §13 reveals that the perception of "us" as human beings, the unified entity of the soul and body, is explained through the overlapped folds of the soul and its confused perceptions. This indicates that "folds" is not merely a metaphor or a term chosen to help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fold holds a different position compared to the "vinculum substantiale," doctrine which is introduced in Leibniz's correspondence with Des Bosses but eventually abandoned.
This thesis adopts two main approaches to provide meaningful explanations. First, it reconfirms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of "folds" is used in Leibniz's texts. Second, it examines the adqueacy of Deleuze's interpretation in reorganizing Leibnizian philosophical system, particularly concerning "folds." And in supplementary, I incorporates methodological approach of Mogens Laerke, to regarding the second approach especially. Laerke(2015) argues that Deleuze's discussion can be meaningfully understood within Leibniz's philosophical system, specifically within the framework of monadic metaphysics. I will critically verify this argument in the context of Deleuze's work, Le Pli(The Fold). Following on these approaches, I will illuminates the role of folds in Leibniz's monadic metaphysical system. That is to say, it aims a clarification that 'fold' operates as a tool in the theory of perception which reveals the detailed mechanism of monads' 'expression'al response to the 'world'. This becomes possible by the relation between monads and its organic body, further going, the union of soul and body within pre-established harmony. At the goal, this will be presented as a concluding claim that the overlapped folds of soul in Monadology §61 deal with how perception and desire are expressed, as an inner force that completes the monad. However,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in Monadology and other texts by Leibniz, "folds" is presented as a determination concerning continua rather than the definition of "folds" itself and the process of their movement. This connection between physics and metaphysics ultimately serves as an investigation into how the specific aspects of the structure of folds and "folding" in Leibniz's philosophy can be correlated. The overlapped folds of the soul envelope the perception that the monad as a soul, possesses regarding the folds of its proper bodies and even extends to the perception concerning other dominant monads and their bodies' interrelations. It is the only way that the perspective of a monad can express the whole universe, corresponding to the perspectives of other monads.
현재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7.1.~1716.11.14.)는 자연과학의 위상에 따라, 그 주된 탐구 도구인 수학의 이진법, 조합론 및 뉴튼과 공동 발견으로 인정받는 미적분의 창시자로서 주목받는다. 그러나 라이프니츠의 연구 분야는 훨씬 방대하다. 철학의 주요 분과는 물론 공학(기계학), 수학, 법학, 신학, 언어학, 역사학, 자연과학(물리학, 생명과학, 지리학) 등에 이를 정도이다. 따라서 사후 300년이 지났지만, 수만 건에 달하는 라이프니츠의 저술은 여전히 전집으로의 정리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라이프니츠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사유 기반은 분명히 형이상학이다. 그리고 그 기초 개념과 원리들은 그의 영면을 2년 앞두고 출간된 『모나드론』(Les Principes de la Philosophie ou La Monadologie, 1714)에 종합되어 있다. 라이프니츠의 사유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연구들도 이 텍스트를 기준으로 시기상의 개념, 주제 등의 변화, 연관, 정합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다수 제시되고 있다.
이를 따라 연구 방법이나 접근도 다양한데, 『모나드론』의 내부에서도 개념과 논의 맥락의 연관 추적은 중요하다. 여기에서 주목하는 것은 특히 §61에서의 영혼으로서 모나드가 갖는 (겹)주름(replis)에 관한 논의이다. 이는 판명한 지각이라는 모나드의 내적 작용과 모나드와 우주 전체 사물들의 조응이라는 라이프니츠 표현 이론의 중요한 주제와 관련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주제들이 직접적으로 주름 개념 자체를 통해서 조명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는 라이프니츠에게서 주름은 용례로만 나타나지, 개념적인 정의나 규정이 부여되지 않았다는 문제에서 기인한다. 주름은 설명을 위한 비유이거나 서술상 나타나는 일상적인 용어로 간주 되어 주목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라이프니츠의 텍스트들을 검토해보면, 라이프니츠의 주름 개념 사용에서 사유의 변화 과정을 나타나는 역사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라이프니츠 사유의 완숙기라 할 수 있는 1695년 이후의 저술들을 중심으로 주름 개념이 빈번히 제시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저술이 아직도 정리중임을 감안할 때, 라이프니츠에게서 주름 개념을 발굴할 수 있는 첫 텍스트는 그의 사유가 중기에서 후기로 이행하는 1676년에 작성된 『파키디우스 필라레티』이다. 이 텍스트에서는 연속체의 무한 분할과 관련하여, 물질적인 물체를 자연학적 연속체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서 주름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체와 관련한 주름구조는 1695년의 텍스트인 「실체들의 본성과 그들 사이의 소통 및 영혼과 신체의 통일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체계」(Systèm nouveau pour expliquer la nature des substances et leur communication entre elles, aussi bien que lunion de lame avec le corps)」(1695 이하 「체계」)에서 기계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이는 1704-5년 사이에 마무리된 『신인간지성론』(Nouveaux essais sur l'entendement humain)에서 인간의 뇌에서 관념의 발생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시되는 동시에 비물질적인 모나드의 지각과 대비되어 등장한다. 따라서 영혼과 관련하여 주름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는 아직 714년 동시기의 저술이며, 그의 사유 전반을 요약하고 있는 『모나드론』과 『자연과 은총의 원리』뿐이다. 그러나 『신인간지성론』의 주름구조와 지각의 대응을 주지한다면, 『모나드론』 §61과 『자연과 은총의 원리』 §13에서 영혼의 겹주름이 지각의 작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그 역할을 간과할 수는 없다. 직접적으로 영혼, 지각과 관련하여 주름 개념이 사용된 다른 텍스트가 발굴되지 않는 한, 이는 주름 개념이 일정한 사유의 연결 과정에서 제시되는 것이라는 추론을 해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도, 이는 모나드 개념의 형성과 함께 라이프니츠의 사유가 자연학에서 형이상학으로 중심을 옮기는 과정과 대응된다.
내용적으로 『모나드론』과 『자연과 은총의 원리』에서 나타나는 설명은 영혼에게 귀속되는 유기적 신체로서의 물체와 영혼의 지각이 각각 우주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때의 주름은 현상적 물체와 실체적 영혼이라는 이원적이고 비대칭적인 영역을 동일한 세계로 표현하는 매개로 보인다. 즉, 서로 다른 실재, 존재자들이 동일한 세계를 나타내는 일치에 관한 설명 가능성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 개념을 통해 라이프니츠의 성숙기 사유를 검토할 수 있는 주름론을 설정해보는 작업이 일차적인 연구의 목표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가 타당하다면, 주름 개념의 사용에 따라 『모나드론』에서 라이프니츠가 다루는 세부적인 주제들의 연결과 해석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모나드론』 §61의 영혼의 겹주름에 관한 논의는 표현과 주름을 단순히 모나드의 내적인 구조나 모나드들 사이의 관점의 일치 문제로만 읽을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분명하게, 물체는 물질적 충만성의 원리에 따라 전우주를 즉각적으로 단번에 반영, 표현한다. 이와 달리 영혼의 지각은 자신의 내부에서 판명한 것만을 읽을 수 있기에 제한적이라는 대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지각의 제한 이유는 직접적으로 영혼이 자신의 겹주름을 단번에 전개할 수 없고, 영혼의 겹주름들이 무한으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물질의 감각과 영혼의 지각은 §62에서 영혼이 그에 귀속되는 고유한 신체들을 갖는 방식을 통해 전우주에 대한 표현으로 통합된다. 그런 점에서 주름은 유기적 신체들의 구조와 영혼의 지각 사이에 놓인 상징적 또는 유비적 대응을 표현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모나드론』 §60의 모나드들은 대상에서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 인식의 변형에서 제한된다.라는 전제, 즉 지각의 판명함의 정도차에 따라 도출되는 논의이다. 더구나 §61의 전우주의 물질적 충만성에 따른 물체들의 즉각적인 감지와 영혼의 겹주름에 의한 제한적 지각 곧 인식의 비대칭적 대응에 관한 논의는 §61의 도입인 합성된 것들과 단순한 것들이 상징적으로 부합/일치한다.라는 주장에 관한 근거 제시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62의 이러한 모든 물질의 결합을 통하여 이 육체가 전체 우주를 표현하는 것처럼 영혼이 자기에게 고유하게 귀속된 신체를 표상함으로써 우주를 표상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따라서 영혼의 귀속된 신체를 통한 우주에 관한 표상은 영혼의 겹주름이 단번에 펼쳐질 수 없다는 점과도 관련해 설명되어야 한다. §60의 인식은 모두 모호한 방식으로 무한한 곳까지, 즉 전체에 이른다.라는 주장은 이미 영혼의 지각이 갖는 제한성, 영혼의 겹주름이 단번에 펼쳐질 수 없는 이유를 모호한 인식으로 달리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접근한다면, 영혼의 지각과 신체에서 표현된 것 사이의 일대일 대응 혹은 하나의 지각에 관한 분석을 통해 전우주의 모든 사건을 분석해낼 수 있다는 보편적 표현론과는 대응 방식을 다르게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영혼과 신체의 대응 관계는 예정조화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물론 예정조화에는 여러 수준이 있지만, 모나드 개념의 형성과 『모나드론』의 저술에 주요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영혼과 신체의 결합 또는 일치로서의 예정조화라는 점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는 라이프니츠의 사유가 자연학과 결부된 중기에서 형이상학을 중심으로 하는 후기로 이행하는 변화과정에 관한 설명에도 타당성을 부여한다. 라이프니츠에게서 실체 개념 특히, 단순 실체 개념은 힘 개념을 통해 모나드 개념으로 정립되며, 이러한 힘의 존재가 비물질적인 영혼으로서의 모나드가 합성된 유기적 물체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신체와 영혼의 불균등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인간, 동물과 같은 하나의 통일된 연속체 즉, 생명체를 이루는 동시에, 서로 다른 영역에 속하는 그들의 활동이 대응될 수 있는 것은 예정조화의 원리에 따르기 때문이다. 『자연과 은총의 원리』 §13은 영혼과 신체의 통일체로서의 인간인 우리의 인식이 영혼의 겹주름과 모호한 지각을 통해 설명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는 주름이 단순한 비유이거나 설명을 돕기 위한 장치로써 선택된 용어가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시사한다. 라이프니츠에게서 주름은 『모나드론』 §47에서만 특이하게 한번 사용된 신플라톤주의적 방사/발출(Fulguration), 말년의 데 보스와의 서신교환에서 등장하지만 포기되는 실체적 끈(vinculum substantiale)과는 다른 지위에 있다.
여기에서는 이의 유의미한 해명을 위해 크게 두 가지 접근을 취한다. 한 가지는 라이프니츠에게서 주름 개념이 사용되는 텍스트의 맥락을 재확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라이프니츠의 주름을 중심으로 그의 사유 체계를 재정리하는 들뢰즈의 논의가 갖는 적절성을 검토하는 일이다. 그리고 이 두 접근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적인 방법으로써, 특히 두 번째 접근과 관련하여 래르케(Mogens Laerke)의 방법적 접근을 주지할 것이다. 래르케(2015)에서는 들뢰즈의 논의가 라이프니츠의 사유 체계 특히, 모나드적 형이상학 내에서도 유의미하게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를 들뢰즈의 『주름』 내에서 비판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토대로 라이프니츠의 모나드 형이상학의 체계에서 주름의 역할을 조명한다. 즉, 주름의 역할은 세계에 관한 모나드의 표현적 대응의 세부 기제를 드러내는 지각 이론의 도구라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다. 이는 모나드들과 그 유기적 신체와의 관계, 더 나아가서는, 예정조화 체계 내에서 영혼과 신체의 통일에 관한 논의 위에서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이는『모나드론』 §61의 영혼의 겹주름은 모나드를 완결짓는 내적인 힘으로서의 지각과 욕구가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를 다룬다는 결론적 주장으로 제시될 것이다. 다만, 『모나드론』과 여타 라이프니츠의 텍스트에서는 주름에 대한 정의(定義)가 아닌 연속체에 대한 규정으로서의 주름구조와 그 주름의 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제시된다는 점은 주의할 것이다. 이러한 자연학과 형이상학의 연계는 결국 이는 라이프니츠에게서 주름구조와 주름운동의 구체적 양상이 어떻게 대응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영혼의 겹주름은 영혼으로서의 모나드가 자신에게 고유한 신체들의 주름구조에 관한 판명한 지각을 갖는다는 점과 다른 주도적 모나드들의 지각에 관한 지각을 통해서 혼잡할지라도 다른 모나드들에게 귀속된 신체들 및 그들 사이의 영향 관계까지 아우른다는 점에서 겹주름이다. 이런 한에서 모나드가 갖는 관점은 다른 모나드의 관점과 조응하여 전 우주를 표현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6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