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찰공무원의 대응성에 관한 연구 : Promoting Responsiveness in Policing: The Role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ir Trust in Citizens
조직공정성 인식과 시민에 대한 신뢰의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재

Advisor
나종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행정대응성조직공정성시민에 대한 신뢰경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3. 8. 나종민.
Abstract
The Korean Police is facing challenges occurred from recent changes in and out of the organization a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newly taken effect since 2021 to offer community-oriented services. In addition, some studies have recently captured rising concerns from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Korean police officers that they do not consider they are fairly treated by the organization. Despite a growing demand for higher and better responsiveness to the publics needs in policing, very few Korean literature have conceptualized responsiveness and examined the impacts of influencing factors thereon in the context of police, let alone public sector, primarily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oncept itself.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draws on organizational justice theory to explore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ir responsiveness to the needs of the public. In addition, this study illuminates the relatively overlooked aspect of trust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the public by looking into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e officers trust in citize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responsiveness. A survey was created to measure police officers responsiveness, perception of three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and trust in citizens, and this study used its data collected from 101 police officers in Seoul, South Korea.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ponsiveness (p<.01), whereas perceive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show negative impacts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the police officers who had greater trust in citizens complete tasks in a way more responsive towards the needs of the public (p<.01). Finally, this study could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e officers trust in citizens. In short,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and highlights policy implications from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role of police officers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and their trust in citizens in promoting their responsiveness to the publics needs, which in turn will most likely—and ideally—ensure a safer society for all.
최근 경찰조직은 조직 안팎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경찰조직 내부에서는 전반적인 조직 운영의 불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는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조직 외부의 측면에서는 2021년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맞춤 치안시책 추진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시민은 경찰에게 시민의 의견과 수요에 더욱 밀착된 치안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즉, 경찰조직은 조직으로부터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구성원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그 구성원들을 통해 시민이 요구하는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여 성과를 달성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 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두 과제가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조직으로부터 공정하게 대우받는다고 인식하는 구성원일수록 조직의 목표 및 개인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더욱 노력을 기울일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직무태도 및 성과로써 시민의 요구와 이익을 업무에 반영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행정대응성에 주목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조직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경찰일수록 시민의 요구와 이익을 업무에 반영하는 수준이 높은가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경찰이 시민을 신뢰하는 수준이 높을 때 조직이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대응성 수준이 더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탐색적으로 검정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의 대응성 제고를 위한 조직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경찰관이 인식하는 행정대응성이며, 독립변수는 조직공정성 인식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경찰이 시민을 신뢰하는 수준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변수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는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 지역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서울 지역 경찰관의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3점) 이상인 반면, 절차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의 의사결정 절차의 공정성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경찰관이 인식하는 시민에 대한 대응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경찰관이 시민을 신뢰하는 수준 또한 보통 수준 이상으로 드러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공정성 인식의 유형 중 분배공정성 인식이 유일하게 행정대응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 또한 절차공정성 및 상호작용공정성 인식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시민을 신뢰하는 경찰일수록 행정대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민을 신뢰하는 수준이 높을 때 조직으로부터 공정하게 대우받는다고 인식할수록 대응성 수준이 높다는 실증적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비교적 실증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행정대응성과 관료가 시민을 신뢰하는 정도의 개념을 경찰관 개인 수준에서 고찰하고 측정 및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경찰관의 시각에서 분배공정성은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고 본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경찰관의 행정대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분배공정성 인식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차별성이 있다. 나아가 시민을 신뢰하는 경찰관일수록 시민의 요구와 이익에 대응하는 경찰업무를 수행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경찰의 행정대응성을 제고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충분히 많은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점, 응답자가 스스로 인식하는 대응성을 측정한 자료를 활용한 점, 행정대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은 점 등의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더욱 정교한 측정도구와 연구모형을 고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찰이 시민의 치안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시민의 안전 및 사회 질서 유지와 직결된 문제이다. 따라서 경찰관의 대응성에 관한 많은 이론적·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경찰조직은 구성원 간 보상의 공정한 배분을 확보하기 위해 승진제도 및 보상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구성원의 사기진작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은 단지 경찰관의 사기진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각을 반영하여 더욱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과 더불어 시민에 대한 경찰관의 신뢰 제고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6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