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10년대 경기도의 자족성 및 관계성 변화 : The Change of Self-sufficiency and Relationality in Gyeonggi-do during the 2010s: Analysis using commuting data from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s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통근통행량을 활용한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광준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2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경기도자족성관계성통근량2010년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3. 8. 김세훈.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대 경기도 도시들의 자족성 및 관계성의 변화를 통근통행량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도시를 외곽도시, 내곽도시 그리고 중간도시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통근량이 서울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지 알아봤다.
먼저, 외곽도시에서 거주 시·군 통근율이 높게 나왔다. 도시의 자족성이 높음을 확인했다. 2010년대에 외곽도시는 제조업 등의 발달로 일자리 수가 많이 늘었다. 그리고 이것은 세대수의 증가로 이어졌다. 외곽도시의 중심성과 자족성은 경기도 평균보다 높게 증가하였다. 특히,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은 거주 시·군 통근율이 70%를 넘어섰다.
둘째, 내곽도시에서 서울 통근율이 높게 나와, 서울과의 관계성이 높음을 확인했다. 2010년대에 2기 신도시의 개발, 신분당선 등의 광역철도망 확충으로 서울에서 거리가 먼 도시에서도 서울로 많이 통근할 것이라 예상되었다. 그러나 서울 통근자의 직주근접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면서, 내곽 도시로의 집중은 여전하였다. 또한 직장 위치로써 종로구·중구는 서울 한가운데에 있어서, 경기도에서 멀기 때문에 선호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간도시에서 경기도 도시 간 통근율이 높았다. 외곽도시는 자족성이 너무 높아짐에 따라 이웃 도시와의 교류가 사라졌다. 내곽 도시, 특히, 인구가 적어서 중심성이 낮은 도시들은 서울의 강력한 중력에 이끌려 주변 경기도 도시와 관계를 맺지 못하였다. 따라서 외곽 도시와 내곽 도시 사이에 있는 중간 도시에서 도내 타 시·군 통근율이 높게 나왔다.
즉, 경기도 도시들은 서울과의 거리(또는 지방과의 거리)에 따라 자족성, 서울과의 관계성, 경기도 도시 간의 관계성이 달라진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elf-sufficiency, connectivity, and centrality changes of cities in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2010s using commuting volume. By dividing the cities in Gyeonggi Province into suburban cities, inner cities, and intermediate citie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commuting volume in relation to proximity to or distance from Seoul.
First, the residential municipality commuting rates were high in suburban cities. In the 2010s, suburban cities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job opportunit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industries. This increase in job opportunitie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centrality and self-sufficiency of suburban cities increased more than the Gyeonggi Province average. Cities like Yeosu, Gapyeong, Yangpyeong, and Yeoncheon had residential municipality commuting rates exceeding 70%.
Second, the commuting rate from inner cities to Seoul was high. In the 2010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phase of new towns and the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railway network, such as the Shinbundang Line, it was expected that even cities far from Seoul would have a significant amount of commuting to Seoul. However, despite the increased preference for proximity to workplaces, the concentration towards inner cities remained. Additionally, Jongno-gu and Jung-gu,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were not preferred as workplace locations due to their distance from Gyeonggi Province.
Third, the commuting rates between cities in Gyeonggi Province were high in intermediate cities. As the self-sufficiency of suburban cities increased excessively, the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cities disappeared. Inner cities, especially those with low population and centrality, were unabl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cities due to the strong gravitational pull of Seoul. Therefore, intermediate cities located between suburban and inner cities showed higher rates of commuting to other cities within the province.
In conclusion, the self-sufficiency, connectivity to Seoul, and relationships between cities in Gyeonggi Province vary based on the distance to Seou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5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6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