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찰카메라와 환경DNA 방법을 활용한 도시 내 습지의 조류 다양성 분석 : Analysis of bird diversity in urban wetland using camera trapping and eDNA metabarcod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윤

Advisor
송영근
Issue Date
202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관찰카메라환경DNA조류 다양성도시 습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3. 8. 송영근.
Abstract
생물다양성의 주요한 위협으로 간주되는 도시생태계는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으며 빠르게 변화하기에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조류는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환경조건의 변화를 잘 나타내어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파악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는 분류군으로 전통적인 현장 조사 방식을 통하여 조사되어왔다. 그러나 현장 조사 방식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이를 보완하는 모니터링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분류군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훼손의 위험이 있는 도시 내 녹지를 대상으로 관찰카메라와 환경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동시에 진행하여 생태계 모니터링 방법에 따른 조류상 결과를 비교하고 도시생태계에 적합한 모니터링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북한산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진관동 습지를 대상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종을 관찰하는 관찰카메라 모니터링과 생물이 환경으로 방출한 유전물질(DNA)을 검출하는 환경DNA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총 6대의 관찰카메라를 설치하여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163일 동안 관찰카메라 모니터링을 진행하였고, 2022년 2월부터 6월까지 매달 1회의 환경DNA 샘플링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총 15,154개의 영상과 120개의 환경DNA 샘플을 취득하였으며, 총 23과 55종의 조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그중 관찰카메라 모니터링을 통하여 확인된 종은 총 20과 47종이고, 환경DNA 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종은 총 12과 15종이다.
관찰카메라 모니터링은 현장 조사 방식의 시간적 한계를 보완하며 비교적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나 촬영 범위 내에 개체가 촬영되어야 한다는 공간적인 한계가 있다. 환경DNA 방법은 현장 조사 방식이 지닌 시공간적인 한계를 보완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전적으로 유사한 종을 명확하게 구분해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두 가지의 모니터링 방법을 함께 이용할 경우, 상호 간의 보완이 가능하며, 모두 한 번의 조사로 목표한 분류군 외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취득한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이후 복원 및 보전 계획의 근거로 이용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50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