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신(竈神) 숭배과 도교: 세 갈래의 흐름 : Stove God Worship and Daoism: A Threefold Develop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20-05
Publisher
한국도교문화학회
Citation
도교문화연구, Vol.52, pp.75-132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조신에 대한 관념 및 실천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는 것으로 특히 고대의 조신 신앙이 도교와 만나면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주목한다.
조신 숭배는 기원적 7세기 이전의 주(周)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고대의 종교적 관념과 실천에 속한다. 조신 숭배는 고대 국가의 도시 발달과 함께 형성된 것으로서 거주 공간의 출입구, 공간의 중심, 물과 불을 사용하는 곳 등 삶을 영위하는 공간을 기리고 성화(聖化)하는 제의와 관련되어 발달했다.
문헌 사료에 의하면 조신 신앙의 전개는 신성의 이미지에 따라 세 갈래의 흐름, 즉 여신으로서의 조신, 남신으로서의 조신, 그리고 연단술과 관련된 조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장 고대의 의례 및 설화에 의하면 조신은 취사(炊事)와 불의 기원이 되는 여신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오행설의 유행과 유학자들의 예학 논쟁을 통해 남성신으로 변모했다. 도교에서는 동물 희생제사였던 조신 숭배를 향등을 켜고 소찬을 바치는 도교식 의례로 변모시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민간의 세시풍속에서 연말에 조신에게 바치는 희생 제사를 대체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여신으로서의 조신 신앙과 남신으로서의 조신 신앙의 전개 및 상호간의 길항과 공존, 그와 관련된 유교와 도교, 민간 신앙과의 관계에 관해 논했다. 한편 조신은 연단술을 행하던 방사(方士)들을 통해 단순히 주거 공간의 취식(炊食)과 관련된 신일뿐만 아니라 생명의 비밀과 물질의 변용과 관련된 신성으로서 중시되었고, 이는 민간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배타적인 지식 전수 방법을 통해 전개되었다.
이상의 세 흐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조신 신앙과 조(竈)의 심볼리즘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ideas and practice about the Stove God in China, especially its interaction with Daoism.
Stove God worship is an ancient Chinese religious practice dating back to the Zhou dynasty (1046BCE-256BCE). Venerating the stov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and rituals of honoring and sanctifying spaces through which people managed everyday life, such as the entrance to a home (outer gate and inner door), its center (with impluvium), the stove or the hearth, and the passages to other space or the well.
As reflected in textual sources, conceptualization of the Stove God is threefold: as a female deity, a male deity, and a deity related to alchemical creation. According to the most ancient mythologies and ritual practices, the Stove God was represented as a female deity but later became a male one. In the illustrations of 19th century China and Korea, the deity was depicted as a male god, but both male and female images of the deity are found in the East Asian religious literature and folklore.
This article discusses interaction between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deity as goddess and god, in diverse discourses of Confucianism, Daoism, and folk culture. In addition, the Stove God was not merely regarded as a deity related to cooking in a residential space, but venerated as the divinity related to the mystery of life and transformation exclusively in the alchemical tradition. Investigation of the three streams will demonstrate the range of symbolism of the Stove God.
ISSN
1598-7906
URI
https://hdl.handle.net/10371/198033
DOI
https://doi.org/10.38113/jstc.2020.05.52.7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