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작문 영역 평가의 타당성 검토 - 선다형 점수와 수행형 점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 A Review of the Validity of the CSAT Indirect Writing Assess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성민; 민병곤

Issue Date
2016-06
Publisher
한국작문학회
Citation
작문연구 No.29, pp.163-209
Abstract
이 연구는 그 동안 선다형 문항을 통해 학습자의 작문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 온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간접평가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습자 127명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작문 영역의 선다형 문항(15문항) 점수와 의견 제시형 글쓰기(opinion essay)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 통합적 글쓰기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 준거별,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다형 문항과 수행형 문항 점수의 총점 간 상관관계는 .471로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두 점수 간 상호 예언력을 갖는 학생의 비율은 21.5%에 불과했다. 둘째, 수행형 문항의 항목별 점수에 대한 선다형 점수의 상관관계는 고쳐 쓰기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표현, 조직,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에서 벗어난 글쓰기 결과물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내용 항목에 편차가 벌어진 반면 선다형 점수의 예언력은 표현 항목에서 제한적으로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여학생은 고쳐 쓰기 유형의 선다형 문항에서, 남학생은 계획하기와 내용 조직하기 유형의 선다형 문항에서 수행형 문항의 모든 평가 항목과 비교적 고른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multiple-choice test score and a writing performance-based test scor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27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ur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by sub-criteria were employed to evaluate performance by gender and the efficacy of the Writing From Sources produ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total score and the writing performance-based test total score was .471. The ratio of participant predictability by either score was merely 21.5%.
Second, there was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score and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total score. This correlation was also identified vi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writing products.
Thir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male students overall.
Fourth, sub-areas of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scores demonstrating the most prominent effect on writing performance by gender were as follows: Planning and Organizing Ideas for male students, and Editing for Purpose and Styl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SSN
1738-883X
URI
https://hdl.handle.net/10371/19844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