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늙음에 대한 인식과 格物의 공부 : Aging and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종묵

Issue Date
2016-06
Publisher
근역한문학회
Cit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pp.9-36
Abstract
조선의 문인들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는 노화 현상을 두고 성찰의 계기로 삼았다. 노화는 이가 빠지고, 머리가 세거나 빠지는 현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조선의 문인들은 이러한 노화 현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노화로 인하여 오히려 더 나은 점이 생길 수 있다는 성찰의 공부를 하였다. 金昌翕은 노화 현상을 통해 마음의 평정을 얻을 수 있고 언어의 실수를 막을 수 있다고 여기며, 담박한 음식을 먹고 조용히 정신을 편하게 가짐으로써 허물을 줄여나갈 계기로 삼았다. 金震陽은 자신이 대머리인 것을 당연시하였으며 그의 벗 權近은 자신의 검어진 얼굴 때문에 까마귀로 놀림 받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대머리와 검은 얼굴은 겉으로 드러난 외모요 바꾸지 못하는 것이지만, 그 속에 있는 마음의 덕과 능력은 스스로 어떻게 배양하는가에 그 성취가 달려 있다고 했다. 늙어 외모가 추해진 것을 두고 오히려 마음의 공부거리로 삼은 것이다. 조선시대나 근년에 이르기까지 노년의 기준은 환갑이었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환갑을 맞는 사람을 위한 글을 많이 지었는데, 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을 축하하는 일반적인 내용과 함께 자기 혁신의 계기로 삼게 하는 권려의 뜻을 담았다. 李夏坤은 육체의 노화를 보고 정신이 노숙해지도록 하는 계기로 삼으라 했고, 李用休는 개인의 장수를 넘어 국가의 장수를 이루는 확장의 혁신을 도모하라고 했다. 그리고 朴永元은 얼마 남지 않은 환갑 이후의 세월을 자신만을 위한 시간으로 만드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것이 조선시대 문인이 늙음을 두고 깨달음을 얻은 격물의 공부였다.
The literati of the Chosŏn period tried to transform the natural and daily encounter with the process of aging, into a chance for introspection and self-examination. The most typical process of aging would be losing teeth, or the whitening of hair, or losing it altogether. The literati of Chosŏn tried to accept such signs of aging as something natural, and made a breakthrough in thought by perceiving the process of aging as a positive experience. Kim Ch'anghŭp(金昌翕) thought that aging allows one to achieve peace of mind and reduce the slip of tongue. By eating light food and putting the mind at ease, he tried to make aging a chance to fix ones faults. Kim Chinyang(金震陽) regarded his bald head as something natural. His friend Kwŏn Kŭn also made little of the fact that he is being laughed at because of his darkening skin due to old age. He said that bald head and dark skin form the outward appearance of a person that cannot be changed, but that inner virtues and abilities can always be cultivated into something greater. In other words, he transformed his unsightly appearance due to aging into a chance to cultivate ones mind.
During the Chosŏn period and even up till now, old age meant being over sixty. Many literati of the late Chosŏn period left writings for those who turned sixty. These writings not only congratulate those who have turned sixty for achieving longevity, great wealth and honor, but also advise them to make old age a chance for self-innovation. I hagon(李夏坤) advised that the old should confront their aging body, and make it a chance for their mind to mature as well. I yonghyu(李用休) recommended that one should go beyond individual longevity toward national longevity, broadening and extending the experience of aging into a chance for social innovation. Pak Yŏngwŏn(朴永元)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pending time after the age of sixty, solely for oneself. Such were the revelations of Chosŏns literati on aging, achieved through the study of things.
ISSN
1225-1313
URI
https://hdl.handle.net/10371/198450
DOI
https://doi.org/10.17260/jklc.2016.44..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