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코토바를 통해 다시 묻는 '상징'의 의미 : 헤이세이 시대 천황의 이중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진-
dc.date.accessioned2024-03-07T06:13:24Z-
dc.date.available2024-03-07T06:13:24Z-
dc.date.issued2024-02-
dc.identifier.citation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30 No., pp.51-81ko_KR
dc.identifier.issn2092-68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90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천황 아키히토의 오코토바를 문학적·사상사적·정치적 텍스트로서 다루고자 한다. 2016년 「상징으로서의 직무에 대한 천황 폐하의 말씀」은 천황 자신이 상징으로서의 직무를 스스로 규정하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징이란 개념 자체가 애초부터 애매한, 혹은 정치적으로는 다양한 함의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전후 헌법에서 상징이라는 개념이 들어온 배경을 볼 때도, 전전의 대일본제국헌법에서 천황을 규정하는 방식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그런 점에서 전후의 상징천황제하에서 천황의 직무 역시 단순히 비정치적인 것으로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천황 아키히토의 오코토바를 분석하면서 그가 스스로를 재현하는 신체성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그가 그의, 그리고 국민들의 어떤 욕망을 재현/대표하고자 하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로서 본 연구는 천황이 고령화하는 사회 속에서 고령화하는 신체를 넘어 제도로서 재생하는 신체를, 말하고 듣는 신체성을 통해 정동의 공동체를, 기도하고 움직이는 신체를 통해 일본국민의 통합과 일본국이라는 상징성을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 이처럼 천황 아키히토는 과거와 미래, 권위와 권력, 일본국의 상징과 국민통합의 상징, 국체와 데모크라시라는 이중성을 재현하는데, 이는 헤이세이 시대 천황과 국민들이 함께 만들어 낸 상징으로서의 천황제를 구성한다.
ko_KR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 S1A6A3A02102886).ko_KR
dc.language.isokoko_KR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ko_KR
dc.subject아키히토-
dc.subject천황-
dc.subject오코토바-
dc.subject헤이세이-
dc.subject상징-
dc.subject대표-
dc.subjectAkihito-
dc.subjectEmperor-
dc.subjectOkotoba-
dc.subjectHeisei-
dc.subjectSymbol-
dc.subjectRepresentation-
dc.title오코토바를 통해 다시 묻는 '상징'의 의미ko_KR
dc.title.alternative헤이세이 시대 천황의 이중성-
dc.typeSNU Journalko_KR
dc.identifier.doi10.29154/ILBI.2024.30.50ko_KR
dc.citation.journaltitle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ko_KR
dc.citation.endpage81ko_KR
dc.citation.startpage51ko_KR
dc.citation.volume30ko_KR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