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웰다잉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Well-dying Sca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가혜

Advisor
박연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dvance care planningAttitude to deathPsychometricsPatient Self-Determination ActRight to dieQuality of lif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박연환.
Abstract
Well-dying, which means preparing for ones death before the end of life, is an important proc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To date, there are few instruments to asses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well-dying for adults of varying ag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well-dying scale (WDS) for adult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related to death in South Korea and to test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e followed the procedures recommended by DeVellis (2017) for scale development. We developed 36 preliminary items on a 6-point Likert scale based on the result of concept analysis, literature reviews, and existing instruments relevant to well-dying. The scale with 32 items was derived after assessing the content validity by eight experts. I-CVI was 0.88-1.00 and S-CVI/Ave was 0.96.
As for the pilot test,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30 adults and cognitive interviews with six people. The mean time of completing the survey was 5.64±2.72 minutes. A total of 32 items were derived by modifying 10 items after the pilot test.
In the main survey, we tes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32-item WDS. In August 2022, we recruited a convenience sample of 437 adults aged 19 or older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 After randomly dividing the total sample into two groups,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ere tested with data from group A (n=218),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trasted-group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with data from group B ( n=219) for testing the cross-validation. We analyzed data using Jamovi 2.2.5 and AMOS 23.0 (SPSS Inc., Chicago, US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item analysis revealed a five-factor solution in the 19 item-WDS: Searching for meaning, sharing values with families, death acceptance, death reflection, and advance decision-making. In group A,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had a Cronbach's alpha of .890.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 indices of the WDS were good: χ2=370.694 (p<.001), CMIN/df=2.611, SRMR=.060, RMSEA=.086, TLI=.902, CFI=.918. In addition, contrasted-group validity (p<.001) and convergent validity(r=.66, p<.001) were confirmed. In group B, the Cronbachs alpha was .900 on the overall scale and ranged from .842 to .916 across the sub-factor, indicating very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final WDS consists of five factors with 19 items: Searching for meaning (5 items), sharing values with family (4 items), death acceptance (4 items), death reflection (3 items), and advance decision-making (3 items). This scale is a 6-point Likert scale, with a total score ranging from 19 to 114. The higher scores indicate higher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well-dying.
The WDS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measure the well-dying of adults. Since this scale could easily and comprehensively assess the well-dying, it could be used in various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settings. Furthermore, it would contribut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of adults.
웰다잉은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위해 임종기 이전부터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삶과 죽음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웰다잉의 인지행동 수준을 포괄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도구가 미흡하며, 기존 도구는 노인 중심으로 개발되어 청장년층을 포함한 다양한 성인을 대상으로 웰다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음과 관련된 우리나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인지, 행동적 차원에서 성인의 웰다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웰다잉 측정도구의 개발은 DeVellis (2017)의 도구개발 절차를 따랐다. 선행된 개념분석 연구와 문헌고찰, 기존 도구,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6점 척도의 예비 문항 36개를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은 전문가 8인에게 내용타당도를 평가받았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32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I-CVI는 0.88~1.00, S-CVI/Ave는 0.96로 나타나 내용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예비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설문조사를 완료한 6명을 대상으로 인지면담을 수행하였다. 설문소요시간은 평균 5.64±2.72분이었고, 예비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문항 10개를 수정한 후 총 3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조사 수행 전 국문학자에게 언어 교열을 받았다.
본 조사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2일부터 2022년 8월 7일까지 온라인 커뮤니티(지역 기반 인터넷 커뮤니티, 동호회 밴드 및 카페)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 437명이었고, 연령(성인초기, 성인중기, 성인후기)에 따라 할당 후 편의표집하였다. 전체 표본을 두 집단으로 무작위 분할한 후, 집단 A(n=218)의 자료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를 검정한 후, 교차 확인을 위해 집단 B(n=219)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 대조그룹 타당도, 수렴타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Jamovi 2.2.5와 AMOS 23.0 (SPSS Inc., Chicago, USA)를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9문항의 5 요인(의미찾기, 가족 간 가치공유, 죽음수용, 죽음성찰, 사전의사결정) 구조가 도출되었다. 집단 A에서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890이었다.
교차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 적합도는 χ2=370.694 (p<.001), CMIN/df=2.611, SRMR=.060, RMSEA=.086, TLI=.902, CFI=.918로 나타났으며 도구의 내적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한편, 종교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웰다잉 총점과 각 하위 요인 점수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대조그룹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웰다잉 측정도구(김영미, 201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r = .66, p <.001)가 확인되어 도구의 외적 수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신뢰도 검정 결과, 집단 B의 자료에서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900이었고,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 는 .842~.916 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도출된 웰다잉 측정도구는 총 19문항으로 의미찾기 5문항, 가족 간 가치공유 4문항, 죽음수용 4문항, 죽음성찰 3문항, 사전의사결정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6점 리커트 척도로 총점의 범위는 19점에서 114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웰다잉의 인지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웰다잉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로 확인되었다. 이 도구는 성인의 웰다잉을 비교적 쉽고 간편하게 사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간호 연구와 실무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삶과 죽음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92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