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크로노토프를 활용한 <강호사시가>와 <전원사시가>의 비교 : Comparison between Kangho-sasiga and Jeonwon-sasiga using a chronotop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미지; 고정희

Issue Date
2022-02
Publisher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Citation
고전문학과 교육 No.49, pp.183-223
Abstract
이 글은 바흐친(Bakhtin)의 크로노토프 이론을 서정시 장르에 적용한 라딘(Ladin)의 마이크로 크로노토프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와 의 문학적 시공간을 비교하고, 이로부터 강호 시조와 전가 시조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는 문장보다 작은 단위의 언어적 요소들이 갖는 시공간적인 암시로,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들은 통사(syntax)에 의해 누적되며 작품의 시공간을 구축한다. 와 는 사시의 영원한 순환 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사시가 장르를 차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는 사시가 장르와 조화를 이루는 천인합일의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를 사용하여 낙관적이고 이념적인 세계관을 드러내는 반면, 는 사시가와 이질적인 자연과 인간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를 개입시킴으로써 전대의 도학적인 자연과는 구분되는 현실적인 시공간을 그려 낸다. 또한 의 제석의 시간은 인간 화자의 죽음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앞서 사시에 나타났던 자연과 인간의 불일치를 극대화하는 시적 장치가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크로노토프 분석은 학습자들이 작품을 미시적인 층위로부터 읽어 나가는 것이 작품에 반영된 세계관을 이해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
ISSN
1598-7108
URI
https://hdl.handle.net/10371/199349
DOI
https://doi.org/10.17319/cle.2022..49.18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