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김정일 정권 승자연합의 변동과 안정성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Dynamics and Stability Analysis of the Kim Jong-ils Regimes Winning Coalition: A Focus on Social Network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종윤; 노기정; 임도빈; 김경원

Issue Date
2023-09
Publisher
한국행정학회
Citation
한국행정학보, Vol.57 No.3, pp.195-230
Abstract
본 연구는 김정일 정권 승자연합의 변동과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김정일 정권의 안정성 변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출인단이론은 독재정을 독재자와 승자연합 간의 보상과 통제의 관계로 보기 때문에 승자연합을 분석하면 정권의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김정일 정권의 승자연합을 유훈통치기, 김정일 집권기, 권력이양기로 나누고, 현지지도 동행자 네트워크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김정일 정권 승자연합의 개편, 그리고 분할통치의 여부와 변동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김정일 정권의 승자연합은 유훈통치기와 김정일 집권기에는 축소되었지만 권력이양기에는 다시 확장되었다. 그리고 김정일 집권기에는 승자연합이 크게 개편되지 않았지만 역시 권력이양기에는 승자연합이 대폭 개편되었는데, 이는 권력승계과정에서 승자연합의 개편과 더불어 최대한 다양한 엘리트를 포섭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동종선호성의 측면에서는 조선노동당의 엘리트들은 전 기간에 걸쳐 동종성호성을 보였다. 조선인민군의 엘리트들의 경우 유훈통치기에는 동종선호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선군정치를 공식화한 김정일 집권기와 권력이양기의 경제행정분야 현지지도에서 동종선호성이 나타났다. 반면, 정무원의 엘리트들은 김정일 집권기 이후에 동종선호성이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동종성호성을 분석을 통해, 김정일 정권의 당과 군의 엘리트 간 분할통치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SN
1226-2536
URI
https://hdl.handle.net/10371/200323
DOI
https://doi.org/10.18333/KPAR.57.3.19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