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책과 문화예술의 관계: 코로나19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Arts and Culture: Focusing on Post COVID-19 Chang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도빈-
dc.date.accessioned2024-05-17T07:35:55Z-
dc.date.available2024-05-17T07:35:55Z-
dc.date.created2024-05-17-
dc.date.issued2021-06-
dc.identifier.citation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 Vol.2 No.1, pp.5-25-
dc.identifier.issn2733-789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203141-
dc.description.abstract코로나19는 우리에게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고, 그로 인해 가장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된 분야 중 하나가 문화예술 분야다. 대면과 접촉을 온전히 제외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유한 특성으로 가진 문화예술 분야에 위기를 노정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정책이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시간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문화예술계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떠한 위기상황에직면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에 펼쳐질 근미래에 문화예술계와정책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제언한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의 기능을 재구조화,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의 공유,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일반대중의 참여 및 연결성 강화, 교육과의 연계, 그리고 문화예술활동의 사회적 가치 입증의 필요성 등 5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dc.title정책과 문화예술의 관계: 코로나19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Arts and Culture: Focusing on Post COVID-19 Changes-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47415/IRAC.2.1.1-
dc.citation.journaltitle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s and Culture-
dc.citation.endpage2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5-
dc.citation.volume2-
dc.identifier.kciidART002895929-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임도빈-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subject.keywordAuthor코로나19-
dc.subject.keywordAuthor문화예술 정책-
dc.subject.keywordAuthor비대면-
dc.subject.keywordAuthor지속가능성-
dc.subject.keywordAuthorCOVID-19-
dc.subject.keywordAuthorArts and Culture Policy-
dc.subject.keywordAuthorContactless-
dc.subject.keywordAuthorSustainability-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