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마이카로 향하는 여정: 한국인 자동차 소유 욕망의 전개와 한계 : The Road to My Car: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 of Koreans Desire for Car Ownershi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태우

Issue Date
2024-04
Publisher
역사실학회
Citation
역사와 실학 No.83, pp.139-179
Abstract
화석에너지를 토대로 만들어진 현대문명은 기후위기와 생태계 파괴 등으로 파생되는 각종 문제가 일어나고 지구 생태계와 인류 사회가 위협받게 되면서 그 존립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자동차는 화석에너지 체제와 대량생산‧대량소비 사회의 상징으로서, 현대문명의 위기 문제를 성찰하는 데 적절한 대상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국에서의 자동차 소유 욕망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에서 다수가 자가용을 갖게 되는 마이카 시대의 기점을 살펴보았다. 자동차 등록 대수와 마이카 담론 추이를 볼 때, 3저 호황과 더불어 1인당 GDP가 급상승하고 자동차의 대량생산체제가 확립되는 1980년대 후반에 비로소 마이카 시대에 접어들었다. 197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의 자동차 소유 욕구가 시간이 갈수록 더욱 확산했고, 1980년대 들어서면 자동차에 대한 경쟁적이고 과시적인 소비 현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동차 소유 욕망이 함께한 자동차 보급은 사회 전반의 이동성(mobility)을 증대시키며 자동차 여행의 확장, 외식과 쇼핑문화의 확대로 이어졌고, 자동차 연관 산업의 발달을 촉진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산업적 변화는 자동차 중심 교통체계의 형성과 함께했다. 한국의 교통예산은 자동차 운행을 위한 도로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육교와 지하도 등 교통시설은 자동차 운행을 이동의 중심에 놓고 교통약자의 보행권을 배제한 것이었다. 한편, 자동차 소유 욕망의 실현과 자동차 중심 교통체계는 사회생태적 비용을 증가시켰다. 교통 정체와 교통사고 등 외부비용의 증가와 생태계 파괴,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끝으로 대량생산-유통-소비-폐기의 물질대사에 따른 인간의 다른 인간과 자연에 대한 착취와 기후위기를 일으키는 자동차 사회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odern civilization, which was built on fossil energy, is shaken by various problems such as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destruction. As a symbol of the fossil energy system,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society, the automobile is an appropriate object to reflect on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With this in mind, I critically examined the desire for car ownership in Korea.
First, I considered the beginning of the My Car Era, when the majority of Korea began to have their cars. Based on the number of car registrations and the trend of my car discourse, the my car era was finally entered in the late 1980s, when GDP per capita rose rapidly along with the three-low boom and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cars was established. Since the 1970s, Korean societys desire for car ownership has become more widespread over time, and the competitive and ostentatious consumption of automobiles became prominent in the 1980s. Next, the proliferation of automobiles, coupled with the desire for car ownership, increased mobility across society, leading to the expansion of automobile travel, the expansion of dining and shopping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related industries. These socio-cultural and industrial changes have been accompanied by the formation of an automobile-centered transportation system. South Korea's transportation budget was organized around roads for automobile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overpasses and underpasses put automobiles at the center of movement and excluded the right to walk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Meanwhile, the realization of the desire to own a car and the car-centred transportation system increased the socio-ecological costs. The increase in transportation external cos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traffic accidents, ecosystem destruction, air pollu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continue to this day. Fi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present a roadmap to escape from the car society that causes climate crisis and human exploitation of humans and nature through the material metabolism of mass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ISSN
1976-1023
URI
https://hdl.handle.net/10371/20334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lated Researcher

  •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Research Area 20세기 한국의 생태환경사, 한국근현대사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