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층 대상 노동시장 진출 지원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 분석 : Analysis of the Importance by Areas of Labor Market Entry Support Program for Yout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진철; 양인준; 김민희; 구장회; 이선우; 고재성; 김태환

Issue Date
2022-04
Publisher
한국직업교육학회
Citation
직업교육연구, Vol.41 No.3, pp.1-29
Abstract
이 연구는 청년층 대상 노동시장 진출 지원 프로그램인 『청년도전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청년구직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청년도전 지원사업에 참여한 805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도전 지원사업 프로그램 대영역 및 중영역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이하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청년층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별과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별 AHP 분석을 시행하여 중요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내 대영역별 중요도 인식 차이와 관련하여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 반면, 밀착상담 영역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내 중영역별 중요도 인식 차이와 관련하여 구직기술 및 서비스연계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 반면, 자기탐색, 기초상담 영역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대영역 및 중영역별 중요도 인식 차이와 관련하여 성별 및 최종학력 분류집단 간에는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에 참여한 청년층의 학습효과 개선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별 콘텐츠 개발 및 기관담당자와 프로그램 강연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청년도전 지원사업 중영역을 구성하는 세부 프로그램별 중요도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층의 구직기간 혹은 구직단념기간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청년도전 지원사업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정기적인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기성과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ISSN
1225-4762
URI
https://hdl.handle.net/10371/203650
DOI
https://doi.org/10.37210/JVER.2022.41.3.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