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 생태자산의 훼손 취약성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 차이- 경기도 파주지역을 대상으로 -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Residents' Perception of the Vulnerability of Local Ecological Assets - Focused on Paju, Gyeonggi-do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용훈; 이주경; 김도은; 권혁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한국조경학회
Citation
한국조경학회지, Vol.49 No.1, pp.31-41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개발압력이 증가하여 생태자산 관리에 대한 많은 과제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를 대상으로,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지역 주민 인식평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가치관의 차이를 밝히는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생태자산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 성향을 구분하였으며, 성향에 따른 그룹별로 생태자산 훼손 취약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파주시 주민 중에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습지나 기수역, 산림 등 자연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자연보전 그룹과 왕릉 및 묘역 등 문화유산과 연계된 생태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유산보전 그룹 등 크게 두 성향이 구분되었다. 두 설명그룹은 각 생태자산의 보전 인식, 활용 인식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훼손도 평가에서는 비슷한 성향으로 답했으며, 특히 25개의 생태자산 중 2개 자산을 제외하고 모두 개발압력을 받고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자연보전 그룹이 유산보전 그룹보다 생태자산의 훼손에 대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자산 중에서는 산남습지, 특히 공릉천, 공릉천 기수지역, 심학산의 관리에 대해서 자연보전 그룹이 훼손 가능성에 대해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각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들의 가치관의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파주시 생태자산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targets the city of Paju, Gyeonggi-do, where many challenges are facing ecological assets management due to the increase in recent development. Using th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 the study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local ecological assets. The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for revealing differences in opinions, was applied to classify the narrative groups, which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in evaluating each asset. Next,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vulnerability of ecological asse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ity of Paju was divided into two main narrative groups: a 'Nature Conservation Group' and a 'Heritage Conservation Group'. The Nature Conservation Group wanted to prioritize ecologically valuable assets, such as wetlands, brackish zones, and forests. The Heritage Conservation Group preferred preserving ecological assets having a cultural contexts, such as royal tombs, grave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Evaluating the ecological assets, the two groups identified 23 ecological sites under threat from development among the 25 ecological sites considered. The Nature Conservation Group noted the importance of sites such as the Sannam Wetlands, Gongneungcheon, Gongneungcheon Brackish Zone, and Simhak Mountain. These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ecological assets in the city. The study found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values for each ecological asset by residents. Th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data for decision-making on ecological asset management in the city of Paju.
ISSN
1225-1755
URI
https://hdl.handle.net/10371/203709
DOI
https://doi.org/10.9715/KILA.2021.49.1.03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