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루벤 다리오의 <푸름...>과 칠레의 근대 : Rubén Darío's Azul... and the Modern Era of Chil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석균-
dc.date.accessioned2024-05-27T08:33:18Z-
dc.date.available2024-05-27T08:33:18Z-
dc.date.created2022-09-23-
dc.date.created2022-09-23-
dc.date.created2022-09-23-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citation이베로아메리카 연구, Vol.32 No.2, pp.129-151-
dc.identifier.issn1598-777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203711-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1888년 칠레에서 발간된 루벤 다리오의 을 다룬다. 다리오는 1886년 칠레에 갔고, 그곳에서 처음으로 근대와 조우했다. 다리오에게 산티아고의 발전상과 발파라이소의 코스모폴리턴한 분위기는 너무나 인상적이었고, 그 근대성의 경험이 의 여러 텍스트, 특히 산문에 고스란히 남았다. 이는 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물론 은 다리오 개인적으로 최초의 의미 있는 작품으로, 또 모데르니스모의 시발점이 된 작품으로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다리오와 모데르니스모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1896)와 (1905) 등을 꼽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모데르니스모라는 단어의 사전적인 뜻인 근대주의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의 중요성을 다리오의 후기작들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 근대로 접어든 라틴아메리카 사회의 변화상을 이미 포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다리오를 늘 따라다녔던 비판, 즉 현실을 도외시하고 지나치게 프랑스풍 작가라는 비판을 불식시키는 면모를 보이는 점도 이 작품의 재평가가 필요한 대목이다. 비록 칠레 현실에서 추출한 라틴아메리카 근대에 대한 다리오의 비판의식이 한계가 있지만, 독자 입장에서 볼 때 그의 작품 중에서 만큼 근대의 여러 양상을 쉽게 포착할 수 있는 작품도 없기 때문이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라틴아메리카연구소-
dc.title루벤 다리오의 과 칠레의 근대-
dc.title.alternativeRubén Darío's Azul... and the Modern Era of Chile-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2927/snuibe.2021.32.2.129-
dc.citation.journaltitle이베로아메리카 연구-
dc.citation.endpage15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29-
dc.citation.volume32-
dc.identifier.kciidART002750601-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석균-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subject.keywordAuthorRubén Darío-
dc.subject.keywordAuthorAzul...-
dc.subject.keywordAuthorModern Era-
dc.subject.keywordAuthorChile-
dc.subject.keywordAuthorModernismo-
dc.subject.keywordAuthor루벤 다리오-
dc.subject.keywordAuthor푸름... 근대-
dc.subject.keywordAuthor칠레-
dc.subject.keywordAuthor모데르니스모-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