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 조직생활 의례와 사회적 장의 정치화 : The Drafting of the Social into the Political in North Korea: The Case of Conduct Review Se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Issue Date
- 2020-03
- Publisher
- 한국문화인류학회
- Citation
- 한국문화인류학, Vol.31 No.1, pp.149-178
- Abstract
- 이 논문은 생활총화라는 북한 특유의 정치의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 주민들이 생활하는 사회적 장의 관계적ㆍ정의적 특징 및 사회적 장이 체제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징발되는 방 식을 추정한다. 의례로서 생활총화는 북한 국가가 기초하고 있는 특정한 사회적 질서를 엄 격한 예식 절차 속에서 재현함으로써 그 질서를 지속적으로 복구하고 환기시킨다. 생활총화 는 수직 관계축에서 수령과 인민의 관계, 그리고 수평 관계축에서 인민들 사이의 관계, 각각 에서 형성되는 두 차원의 사회성을 예식의 질서 속에서 특유의 의례적 의사소통으로 화합 시키고자 한다. 이상적으로, 생활총화는 사회적 장의 친숙성과 수령(어머니당)-인민 간의 친 밀성을 하나의 의례 속으로 들여와서 상호 버팀목이 되도록 한다. 친숙성의 관계적ㆍ정의적 자원으로써 친밀성의 성사를 이루어내고 그 성사의 경험은 다시 친숙성의 사회적 장으로 환 원되어 주민들이 서로를 한식솔로 친밀화하도록 한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친밀성 과 친숙성은 마음의 서로 다른 차원에 각기 기대고 있으며 의례의 강제에도 불구하고 참 여자들의 관계적ㆍ정의적 경험에서 융합되기 어렵다는 데에서 생활총화의 고유한 긴장이 발 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 ISSN
- 1226-055X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