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실증사학의 이념 — 식민지 조선에 온 역사주의 : Ideology of Positivist Historiography: Historicism in Colonial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종욱-
dc.date.accessioned2024-05-27T08:35:47Z-
dc.date.available2024-05-27T08:35:47Z-
dc.date.created2020-05-28-
dc.date.created2020-05-28-
dc.date.created2020-05-28-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citation인문논총, Vol.76 No.3, pp.287-323-
dc.identifier.issn1598-302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203760-
dc.description.abstract랑케의 역사주의는 실증주의 역사학의 보편적 발전법칙을 비판하고개체가 지닌 고유성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역사주의는 실증주의와 마찬가지로 과학으로서의 역사학을 내세우고 엄밀한 사료 비판을 강조하였다. 역사주의 역사학이 실증사학으로 불리게 된 이유이다. 실증사학은 사실 파악과 가치 판단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19세기 이래 실증사학의 이념은 국가와 민족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이병도가 이끈 진단학회는 과학과 민족의 결합을 지향했다. 일본 실증사학의 국민사에 맞서한국의 국민사를 세우고자 한 것이다. 식민사학과 이병도의 역사학은모두 실증사학이었다. 동아시아에 온 역사주의 실증사학은 각 나라와지역에서 나란히 국민사 역할을 떠맡은 셈이다. 식민지기 잠재되어 있던 민족이라는 이념은 해방과 더불어 민족사 서술로 구현되었다. 실증사학이 견지해 온 민족이라는 이념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21세기 지속가능한 역사학을 구성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인문학연구원-
dc.title실증사학의 이념 — 식민지 조선에 온 역사주의-
dc.title.alternativeIdeology of Positivist Historiography: Historicism in Colonial Korea-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7326/jhsnu.76.3.201908.287-
dc.citation.journaltitle인문논총-
dc.citation.endpage323-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87-
dc.citation.volume76-
dc.identifier.kciidART00250135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홍종욱-
dc.type.docType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subject.keywordAuthor역사주의, 랑케, 실증사학, 식민사학, 진단학회, 이병도, Historicism, Ranke, Positivist Historiography, Colonialism Historiography, Chin-Tan Society, Lee Byeong-do-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