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창덕궁 후원의 현판(懸板)과 주련(柱聯)을 중심으로 한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Landscape Perception of the Chinese Visitors Through the Boards and Couplets of Changdeokgung Palaces Rear Gard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림; 양유선; 손용훈

Issue Date
2019-03
Publisher
한국전통조경학회
Citation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1, pp.23-32
Abstract
창덕궁 후원의 경관요소로서 현판과 주련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을 실증 연구한 사례는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중국인 관람객들이 창덕궁 후원에 있는 현판과 주련을 얼마만큼 주목을 하는가, 주목을 한다면, 얼마만큼 이해하는가, 현판과 주련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 그리고 부용지와 옥류천 권역에서 경관인식 차이가 있는가를알아보는 것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국인 관람객의 97.5%가 창덕궁 후원의 현판을 읽었으며, 이는 대부분의 중국인 관람객이 한자 기호에 대해 익숙하기 때문에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가 유의한 값(0.00 < 0.05)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이 3.39 > 2.97로 현판이 주련보다는 이해도가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체 경관을 해석에 있어서 현판과 주련에 대한 도움이 유의한 값(0.00 < 0.05)으로나타났고 평균값이 3.85 > 3.37로 현판은 주련에 비해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용지와 옥류천 권역의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인지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부용지 권역의 부용정, 옥류천 권역의 소요정 현판은주변 경관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관람객들이(4인) 공통적으로 제시한 것은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는 자신의 교육 배경, 직장,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 외에응답자는 경관 감상할 때 있어서 해설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ISSN
1738-236X
URI
https://hdl.handle.net/10371/20381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