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Agroforestry Over the Past 30 Years: 1988-2019 : 혼농임업 분야의 국제개발협력 구조와 지역별 특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정은

Advisor
박미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groforestryDevelopment Cooperation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Environmental Policy CoherenceAid PathwayRegional Approach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2023. 2. 박미선.
Abstract
식량 안보 문제와 기후 변화는 전 세계의 많은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계속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다양한 연구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기후 복원력 제고 방안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노력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임업과 농축산업을 겸하는 집약적 토지 이용 체계인 혼농임업은 식량 안보,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생물 다양성 증진, 에너지 공급 등 전 지구적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19년 사이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보고 시스템(CRS)을 통해 획득한 607개의 혼농임업 분야 공적 개발 원조(ODA) 사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내용 분석법을 바탕으로 혼농임업 분야 공적 개발 원조의 자원, 행위자, 의제를 규명하고 시간과 지역별로 그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혼농임업 ODA는 리우 협약, 교토 의정서와 같은 국제 환경 협약과의 정책 일관성을 보여주었다. 주요한 국제 환경 정책 및 협약이 강화되는 상황 속에서 혼농임업 ODA가 증가하였으며, 기후변화 및 환경 정책에 기여하는 리우 마커 표기 사업도 증가하였다. 둘째, 협력 형태에 따라 세 가지 특징적인 제공 경로를 나타내었다. 경로 A는 양자협력으로 공여국에서 수원국으로 자원이 이동하는 경로이며 공여국 NGO와 정부를 중심으로 포용적이며, 참여적인 녹색 ODA를 추구하였다. 경로 B는 경로 A와 유사하게 녹색 ODA를 지향하나 보다 일반적인 환경 정책 달성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국제 NGOs와 학계가 중심이 되어 대륙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경로C는 다자협력으로 다자기구가 개별 수원국을 지원하는 경로로 수원국 정부가 사업의 수행 주체가 되어 기후변화 적응 또는 완화의 명확한 대응 목표를 가지고 지원되었다. 마지막으로, 혼농임업 ODA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보였다. 아프리카 지역은 에너지 중심의 접근법을 가지며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비즈니스 중심의 접근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시아 지역은 산촌 공동체를 중심으로 혼농임업을 발전시켰다.

본 연구는 혼농임업 ODA의 구조와 지역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제개발 협력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후 변화 대응을 목표로 혼농임업을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Food security and climate change continue to be the most critical issu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Researchers and decision-makers from all over the world have worked to fin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so as to secur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climate resilience simultaneously. Agroforestry, which combines tree management with crop or animal production, has been recognized for its potential to promote food security, long-term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agroforestry has increased over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utilized a content analysi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garding international agroforestry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1988 to 2019. It aims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ODA for agroforestry across time and region. A total of 607 projects were obtained from the OECD Creditor Reporting System.

The results reveal thre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agroforestry. First, agroforestry ODA represents global environmental policy coherence. The primary environmental policies acknowledge the crucial role of agroforestry in addressing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issues and concerns. Moreover, agroforestry ODA has broadened and diversified its agenda, contributing in particular to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policies represented by the Rio Markers. Second, three distinct agroforestry ODA pathways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ient types are identified. Pathway A targets green, inclusive, and participatory ODA with a strong emphasis on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and involves small-scale flows from a bilateral donor to an individual country. Pathway B shifts from a bilateral donor to multiple recipients with a medium scope, focusing on green ODA with a strong emphasis on comprehensive environmental goals. Pathway C connects a multilateral donor to an individual country on a large scale in pursuit of a distinct outcome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or adaptation. Lastly, there have been distinctive regional strategies for agroforestry utilization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African region takes an energy-centered approach, while the Latin American region focuses on a business-centered approach. The Asia-Pacific region develops agroforestry with a forest community-centered approach.

This research gives a comprehensive and empirical look at what agroforestry aid is and how it works. The development of agroforestry ODA has been influenced by three factors: environmental policy coherence, distinct pathways, and a regional approach. This study helps comprehend the struc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groforestry ODA. It also provides the necessary foundation for stakeholde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utilize agroforestry to advan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itigate climate change.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2039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