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행위와 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 Life History Research on Actions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action
행위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지혜

Advisor
유성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 인권 활동행위탄생성공론 영역시작의 자유실천교육적 행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3. 2. 유성상.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대부터 2022년 현재까지, 청소년 인권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공적 논의의 장에 등장한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행위와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구하였다. 우리 사회의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은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기획되는 학교교육과 강요된 학생다움의 평균적 질서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었다. 청소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정치적 이슈에 참여해 온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은 학교 안에서의 비주체적 체험을 극복하고, 공론 영역으로 나아가 행위하는 주체로서 청소년들을 가시화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최근 20년간 학교 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문제의식과 함께 촉발되었다는 점에서, 교육학 영역에서도 주의 깊게 탐구할 사회 현상이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등장이 우리 사회의 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에 대한 두 차례의 현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약 2년간,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네트워크에서 1차 현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와 같은 기초 연구를 토대로 현장에 다시 방문하여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활동 주체들의 생애사를 조명한 2차 현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2차 현지 연구에서는 1차 현지 연구에 참여했던 활동가 중, 청소년기부터 청년기까지 10년 이상 청소년 인권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두 활동 주체들의 생애사를 중점적으로 조명하였다.
연구자는 두 활동 주체들의 구술과 현지 자료를 기초로 하여, 지난 20년간 우리 사회에서 전개된 청소년 인권 활동의 발전 양상을 활동가들의 공동체적 서사 속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구성해 온 행위가 활동 주체들의 삶과 정체성 형성, 나아가 공동체 및 교육 현장의 변화에 어떠한 의미와 영향을 주었는지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인권 활동 및 활동 주체들의 삶과 행위의 여정이 담고 있는 특징과 교육적 함의를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 이론에 기초하여 고찰하였다.
주로 학교 제도 안에서 즉흥적인 충돌과 산발적인 저항의 형태로 표출되었던 초기의 청소년 인권 활동은 학교 규율에 대한 활동가 개인의 도전과 충돌의 체험을 담고 있다. 이러한 개인적인 저항 행위들은 촛불집회와 같은 정치적 장을 통해 청소년들의 공감적 연대와 담론을 형성하면서, 학교 제도 및 기성 사회를 비판하는 집단적인 목소리와 탈주 행위로 이어졌다.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은 기성 사회에서 억압되었던 청소년들의 고유한 존재 가치와 목소리를 이 사회에 드러내기 위해, 공론 영역으로 나와 행위하면서 청소년 집단의 정치성을 현실화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행위는 청소년들을 교육의 주체이자 정치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학교 현장 및 기성 제도의 변화를 요구하는 대안적인 제도를 생성하는 정치적 실천으로 이어졌다.
위와 같은 청소년 인권 활동의 흐름을 이끌어 온 두 활동 주체들의 생애는 청소년기 학교 제도 안에서 체험한 실존적 상처를 극복하고, 행위하는 자로 살아가고자 했던 주체들의 실존적 분투를 보여주었다. 입시노동에 갇혀 자신과 타인, 세계와의 관계성을 상실했던 참여자들은 청소년 인권 활동과의 만남을 통해 비판적인 사유가 촉발되면서, 학교 밖 공론 영역에 나아가 행위하는 힘을 기를 수 있었다. 학교 제도와 충돌하며 갈등했던 이들은 자퇴를 통해 학교 밖으로 탈주하여 획일화된 삶의 방향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삶의 모습을 찾아가고자 했다.
그러나 탈주 행위를 통해 사회적 주변인의 삶을 선택했던 이들은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불안정을 견뎌내는 20대 청년기를 보냈다. 30대 청년이 된 활동가의 위치에서 이들은 탈주 행위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치유하기 위해, 청소년 인권 활동가로서의 직업적 정체성과 전망을 찾아갔다. 그들은 청소년 인권 활동을 자신의 삶과 타인의 삶, 그리고 공동체를 잇는 청소년 운동의 의미 있는 서사로 연결하고 해석하면서, 청소년 인권 활동가로서 살아가는 그들의 존재를 고유한 탄생성을 실현하는 행위의 주체이자 역사와 문화를 창조하는 실천의 주체로서 정체화하였다.
기성 사회에 새로운 행위의 가능성을 던져주며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 간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행위는 견고한 학교교육의 문법과 학생다움으로 표준화된 정체성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탄생성을 실현하려는 주체들의 욕망과 실존적 탐색의 여정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타인과는 다른 자신만의 새로움을 생성할 수 있는 시작의 자유를 통해, 이 세계에서 고유한 존재의 자리를 찾아가고자 했다. 이들의 고민은 청소년들에게 강요되었던 침묵의 문화를 넘어, 탄생적 존재로서 가진 자신만의 고유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정치 행위로서 기획되었다. 이 세계에 자신만의 고유한 탄생성을 실현하고자 한 주체들의 행위는 자유롭고 평등한 행위 공간과 사회적 조건을 만들기 위한 실천과 맞물리는 특징을 보였다.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생애를 통해 보여준 행위의 여정은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행위가 살아있는 교육적 행위 공간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를 준다. 교육적 행위 공간은 청소년들이 탄생적 존재로서 이 세계에 새로움을 가져올 수 있도록, 단일 주체를 재생산하는 경직된 구조를 넘어설 필요가 있다. 청소년들이 느끼고 생각한 바를 자신의 목소리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행위 연습이 가능하도록, 교육적 행위 공간에서는 행위의 자유와 새로움이 존중되어야 한다. 교육적 행위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을 공론 영역에서 행위하며 세계의 변화를 만드는 주체로서 존중하는 평등에 대한 감각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적 행위 공간은 청소년들의 고유한 목소리와 차이를 존중하는 시작의 자유가 가능한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ctions and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who have appeared in the public realm since the 2000s. The study draw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annah Arendt.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have resisted standardized orders of the student-likeness and the academic elitism in Korean society. They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educational and political issues to overcome their non-subjective experiences in schools, and have voiced their opinions in the public realm to visualize the youth as subjects of action. Their activities are a type of social phenomenon to be carefully explored into a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that these activities have been caused by criticism of the school system for the past 20 years.
As a long-term follow-up study, I conducted two fieldworks on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to understand their lives in Korean society. The first fieldwork had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network of the activists from 2007 to 2008. After 12 years, I revisited the fields and shed new light on the two activists life histories based on in-depth interview from 2020 to 2022. They are important participants in that they have played active roles for more than 10 year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youth movement.
Through the life histories of the activists and field materials, this study describes how youth human rights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n society for the past 20 years. Then, it examines the meanings that have brought on to the activists lives and identity establishment, and the changes in their communities and educational fields. Based on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it explore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und in the activists lives and the journey of their actions.
In the early stage of youth human rights activities, the actions were mainly expressed in the way of impromptu conflicts and sporadic resistances within the school system. These actions showed challenges and conflicts against the control and discipline of schools on an individual level. These individual resistances drove into the beginning of collective voices and actions, which criticize the school system and sociocultural structure. Their activities formed empathetic solidarity and discourse among the youth, throug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the candlelight vigil. The activists came out to the public realm and actualized the political power of the youth. In this way, the activists could reveal the uniqueness of their existences and voices that has been suppressed in our society. And their actions led to political actions to create alternative educational and social systems. They have required changes in schools and society in order to position the youth as subjects of education and politics.
The two participants have led these flows of youth human rights activities, in showing the subjects existential struggles in their lives. They have tried to heal the existential wound that they have experienced within the school system, and live as subjects of action. Due to the hard labor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y lost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well as themselves. Nevertheless, they could develop the power of action emerging from the outside of school, as their critical thinking was triggered through the encounter with other activists. The activists escaped from their schools by dropping out, and rejected a single direction of life, trying to find their own unique way of life.
However, the participants who chose to be social minorities had to spend their twenties enduring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In the position of activists who have become young adults in their thirties, they have tried to fin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spects, and heal the instability of the actions. Also, they have interpreted their actions as the meaningful narratives of youth movement, which have linked their own lives, the lives of others, and their communities. Through these actions, they have identified their existences as subjects of action to realize their unique natality in the context of Arendt, and subjects of praxis to create history and culture.
The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have created possibilities of new actions and social changes, by overcoming the grammar of schooling and the identity of student-likeness. Their actions show the desires of the subjects and the journey of their existential exploration to realize their own unique natality. They wanted to find their unique place of existence in this world, through freedom as beginning which creates their own novelty different from others. Their concerns were developed as political actio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orld based on their own unique voices, beyond the culture of silence that has been forced upon the youth. The actions of the subjects, who tried to realize their own natality in this world, were characterized by interconnecting with praxis to make a free and equal space for actions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course of shedding light on the lives of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I have com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Furthermore, I suggest that how educational space can be constructed in the way, in which subjective actions of the youth are alive. The space for educational action needs to go beyond the rigid structure that reproduces standardized subjects, so that the youth can bring something new to this world as beings of natality. In the space of educational action, liberty and novelty of actions should be respected so that the youth can express and communicate what they feel and think with their own voices. Therefore, in the context of equality, the youth should be recognized as subjects, who can act in the public realm and make changes in the world. Ultimately, the space for educational action needs to be reconstructed into an open space, providing freedom as beginning in respecting diverse voices and differences of the yout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040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