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ducational Level and Poverty among Women in Ghana : 가나 여성의 교육수준과 빈곤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Ki-Soo Eun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24. 2. Ki-Soo Eun.
- Abstract
- Educational Level and Poverty among Women in Ghana
Godwin Appiah Kubi
International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overty is a multifaceted issue that extends beyond monetary metrics, encompassing the inability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society (Sen, 1992). In the context of Ghana's ongoing efforts to combat poverty, women's education emerges as a pivotal driver of poverty eradication, using quantitative data from the Ghana Living Standard Survey 7 (2016–2017),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nd impact between women's education levels (from primary to tertiary) and poverty among women (female-headed households) in Ghana. This study employs a probit model with marinal effect for the analysis of 4,049 female-headed household, allowing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nd impact of women's education and povert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underscore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women's education in advancing poverty eradication endeavors. As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women increases, there is decrease probability of poverty, aligning with established literature highlighting the invers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poverty.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at women's employment, mainly working in the sales and production work (Informal sector) shows an inverse significance decrease probability of poverty throughout the analysis.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activites of reducing poverty for women, emphasiz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employment opportunities with the right policy intervention to protect women in that verious economic sectors mostly the informal sector.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location, predominantly rural areas, when addressing poverty among women, as rural locations are associated with a higher poverty risk due to various challenges. The study recommends policy interventions to prioritize educational empowerment, focusing on both access and quality, to elevate women's socio-economic status and mitigate poverty. Moreover, efforts to improve employment conditions, particularly within the informal sector, could amplify poverty reduction initiatives and policies to address rural women conditions in Ghana.
Keynote: Poverty; Womens Education; Womens Employment, Probit model and marginal effect
Student number: 2022-23804
가나 여성의 교육수준과 빈곤
고드윈아피아 쿠비
국제개발전공
국제대학원
서울대학교
빈곤은 금전적 지표를 넘어서 사회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문제입니다. 빈곤 퇴치를 위한 가나의 지속적인 노력의 맥락에서 여성 교육은 빈곤 감소의 중추적인 동인으로 등장합니다. 본 연구는 가나 생활 수준 조사 7(2016/2017)의 정량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나 여성(여성이 가장인 가구)의 교육 수준(초등~고등 교육)과 빈곤 간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이 분석은 마리날 효과가 있는 프로빗 모델을 사용하고 4,049명의 여성 가장 가구를 포함하므로 여성 교육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포괄적으로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빈곤 퇴치 노력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 여성 교육의 심오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빈곤의 위험은 감소하며 이는 교육과 빈곤의 역관계를 강조하는 확립된 문헌과 일치합니다. 또한, 분석 전반에 걸친 유의미한 증거로 인해 주로 판매 및 생산 업무(비공식 부문)에 종사하는 여성 고용은 실업 상태와 대조적으로 비공식적 성격으로 인해 가나 여성의 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 이 분석은 여성의 빈곤을 줄이는 경제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경제 부문에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올바른 정책 개입을 통해 고용 기회의 잠재적 이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이 연구는 여성의 빈곤 문제를 해결할 때 주로 농촌 지역이라는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농촌 지역은 다양한 문제로 인해 더 높은 빈곤 위험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연구는 접근성과 질 모두에 중점을 두고 교육 역량 강화를 우선시하고 여성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높이고 빈곤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 개입을 권장합니다. 더욱이, 특히 비공식 부문 내에서 고용 조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가나의 농촌 여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빈곤 감소 계획과 정책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빈곤 위험; 여성교육; 여성고용과 프로빗 모델
학생번호: 2022-23804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